[PSK칼럼] 어쩌다 약으로, 건강마스터

손의동 한국의약평론가회 부회장(중앙대 명예교수)

메디파나 기자2025-07-03 12:00

필자가 1974년에 약대에 입학하여 의약품에 대해 공부하고 가르치며 살아온 지 어느덧 50년이 흘렀다. 평생 약을 좇아 살아오는 동안 강산이 여러 번 바뀌었고, 디지털 헬스케어 치료법이 등장하였으며, 세포치료와 재조합유전자 기술을 이용한 생물학적제제, 면역관문 억제기전을 활용한 암 치료제 등 새로운 약들이 속속 등장했다. 이러한 끊임없는 약의 변화는 건강수명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약 개발 역사를 보면, 1953년 6·25 전쟁의 휴전협정이 체결된 그해 11월에 약사법이 공포되어 약사제도와 의약품 제조공정의 틀이 잡히기 시작했다. 이 시기 도입된 미국의 원조자금 2~3억달러가 제약산업에도 영향을 주었다. 

필자는 유년기를 농촌에서 보냈는데, 땡볕 아래서 일하시던 할아버지께서 소주를 드신 후 밤에 중조(NaHCO₃)를 복용하시던 모습이 기억난다. 필자는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40대까지는 체력이 약하고 환절기마다 감기에 잘 걸렸다. 당시에는 의약분업 이전이었기 때문에 약국에서 처방과 조제를 함께하던 시절이었다. 

약사는 돼지고기나 닭고기를 피하라고 권했고, 콧물감기에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알레르기 증상이 완화되어 무난히 회복할 수 있었다. 미국 유학 시절에도 감기 바이러스에 자주 감염되었지만, 아내가 정성껏 끓여준 고깃국과 식사량을 늘리면 면역력이 향상되어 감기에서 빠르게 회복되었던 기억이 있다.

2019년에 시작된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는 온 국민이 백신을 접종받았고, 필자도 최근 대상포진과 독감백신을 접종받아 건강하게 지내고 있다. 이제 일흔이 되었지만 특별한 질병이 없어 "어떻게 이렇게 건강한가?"하고 묻는 이들도 있다.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옛말에 사십이면 불혹(不惑), 일흔이면 고희(古稀)라는 말이 있는데 의미가 있는 말이다. 요즘 일흔살의 인지 능력은 25년 전의 53세와 같다고 하니, 더 오래 일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선진국의 근로 연령인구 비율은 현재 63%에서 2075년에는 57%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근로 수명이 5년 늘어나면 이에 따른 노동력 부족도 상쇄될 수 있다. 경제활동 기간 또한 34년에서 38년으로 늘어났다고 하니 이로 인해 60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현역으로 일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고 본다.

어쩌다 이렇게 건강해질 수 있었을까? 약 덕분이지 않을까? 제약산업은 1970년대에 30% 이상의 비약적인 성장률을 보이며 '한강의 기적'에 한 몫을 담당했다. 진단기기 등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질병의 예방과 치료 능력도 크게 향상되었다. 컴퓨터, 모바일폰을 활용하고 디지털시대를 맞이해서 일반적인 대중매체를 통해 건강 정보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밀레니얼(M) 세대는 이전의 386세대나 X세대보다 수평적 소통시대를 맞이해 자기주장이 더 강하며, 디지털 네이티브(Z) 세대는 유년기부터 고속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디지털헬스 정보가 이미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20년 전만 해도 일흔이 되면 질병으로 고생할 것이라 믿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어쩌다 건강하게 됐을까? 

앞으로 AI(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헬스케어 활용도를 높이고, 맞춤형 복약지도 서비스가 가능하며, 전문약사 제도의 시행을 원활하게 할 것이다. 제조공정은 밸리데이션이 포함된 cGMP, 품질고도화(Quality by design), 난치성 및 희귀질환에 대한 맞춤형 약 개발 등으로 더욱 정교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건강수명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그리하여 모두가 건강의 달인(達人, 마스터)이 되는 시대가 오면 아마 서로 기절초풍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Who knows?

|기고| 손의동 한국의약평론가회 부회장

- 현) 중앙대학교 대학원동문회장
- 현) 대한약학회 자문단장
- 전) 대한약학회장
- 전) 대한약리학회장
- 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학장
- 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ROTC동문회장

-----*-----
※본 기고는 메디파나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메디파나뉴스 : 메디파나 기자

기사작성시간 : 2025-07-03 12:00

관련기사보기

[PSK칼럼]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자리매김 하려면

[PSK칼럼] 글로벌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자리매김 하려면

현재 우리나라가 미래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에는 반도체, 바이오헬스, 2차전지, 미래형 모빌리티, AI 및 디지털, 항공우주산업 등이 있다.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는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분야가 없지만 필자가 몸 담고 있는 제약바이오 분야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한다. 제약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약학과 화학, 생물학에 대한 깊은 지식을 습득한 고급 인력 중심의 지식기반 산업이다. 잘 만든 신약 하나의 경제적 가치는 연매출 수십조원에 이르며, 속속 개발되고 있는 첨단의 의약품들은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가치를 높혀주

[PSK칼럼] 인슐린과 동전 던지기

[PSK칼럼] 인슐린과 동전 던지기

우리가 쓰는 약은 어디에서 왔을까 - 인슐린과 동전 던지기 1921년 여름 기초 연구에 갓 관심을 보인 프레데릭 밴팅은 토론토 대학 생리학 실험실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드디어 찾았다. 개의 췌장을 결찰해 소화효소 없이 인슐린만 분리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그전부터 가시화되긴 했지만 어느 정도로 결찰해야 소화효소와 인슐린을 차별화할 수 있는지는 아무도 확인하지 못했다. 너무 오래 췌장을 묶어두면 인슐린이 나오지 않는다. 너무 빨리 풀어버리면 소화효소와 함께 분비돼 인슐린도 분해되어 버린다. 이 미세한 틈을 포착해 안정적으로 인슐

[PSK칼럼]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PSK칼럼]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

20세기 중반 이후, 인류는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산업화, 정보화, 디지털화를 거쳐 지금의 지식기반 사회를 이룩해 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진보의 바탕에는 언제나 오랫동안 과학자들이 이룩해 온 창의적 발견들이 있었다. 과학적 연구라는 것은 그 자체로 당장 눈에 띄는 성과를 가져다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오랜 기간 축적된 기초 연구의 결실들이 기술로 꽃을 피우고, 산업을 성장시켜 왔기에 지금의 발전된 사회가 존재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삶 속에서 필수불가결한 기술로 여기고 있는 인공지능, 반도체, 의약품 등에 적용된 핵심 기술 대

[PSK칼럼] 약학과 제약산업, 사회의 건강한 소통을 위하여

[PSK칼럼] 약학과 제약산업, 사회의 건강한 소통을 위하여

우리는 현재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약학과 제약산업, 그리고 보건의료가 사회가 어떻게 소통하고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고민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면서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과학기술과 산업, 즉, 약학과 제약산업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었으며, 이러한 관심과 함께 약학과 제약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게 됩니다. 대한약학회는 1946년 창립 이래, 우리나라 약학의 발전과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를 선도해 왔습니다. 오랫동안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국민 건강 증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