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사 잉여금 54조 돌파…셀트리온 17.7조 '곳간 1위'

휴젤 유보율 2만% 돌파…파마리서치·대한약품·SK바사도 상위권
결손 기업 5곳…코오롱생명과학, 유보율 –476.9% '최저'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25 11:57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⑨ 잉여금 및 사내유보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잉여금 총액이 54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이 17조7000억원을 상회하며 '곳간 1위' 자리를 지킨 가운데, 휴젤은 유보율 2만%를 넘기며 재무 안정성 지표에서 독보적 위치를 보였다.

25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집계한 결과, 이들 기업의 총 잉여금은 54조1238억원으로 전년 동기 52조5779억원 대비 3.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본금은 2조4132억원으로 4.3% 늘었다. 평균 유보율은 2242.9%로, 전년 동기 2251.2%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재무 안정성을 보여주는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기업당 평균 잉여금은 약 5886억원, 평균 유보율은 2242.9%였으며, 전체 기업 중 63곳(68.5%)이 전년 대비 잉여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보율 1만%를 넘는 기업은 2곳, 5000% 이상 기업도 7곳에 달해, 업계 전반의 내실 확대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잉여금 기준 1위는 셀트리온으로, 올해 상반기 기준 17조7313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1조4496억원으로 2위에 올랐고, 유한양행(2조230억원), SK바이오사이언스(1조7114억원), 휴젤(1조5221억원), GC녹십자(1조2621억원)까지 1조원 이상 유보금을 보유한 6개 기업이 상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미약품(7495억원) ▲HK이노엔(6933억원) ▲종근당(6899억원) ▲대웅제약(6883억원) ▲동국제약(6067억원) ▲파마리서치(6059억원)도 6000억원 이상 잉여금을 유지하며 탄탄한 재무 체력을 보여줬다.

유보율 기준 1위는 휴젤로, 자본금 66억원에 잉여금 1조5221억원을 기록하며 유보율 2만3104.5%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2만1056.5%에서 더욱 상승한 수치다.

이어서 ▲파마리서치(1만1529.2%) ▲대한약품(9499.0%) ▲휴온스(6047.9%) ▲HK이노엔(4797.2%) ▲휴메딕스(4985.8%) ▲한국유나이티드제약(5293.1%) ▲에스티팜(4508.2%) ▲지씨셀(6298.3%) ▲SK바이오사이언스(4367.5%) 등이 유보율 4000% 이상 기업군에 포함됐다.

그 외에도 환인제약(3959.8%), 제일약품(2174.1%), 한미약품(2340.3%), 종근당(1999.2%), 대웅제약(2376.5%), 한독(3595.1%) 등도 높은 유보율을 기록하며, 재무 여력과 자기자본 기반 확대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모습이다.

반면, 올해 상반기 기준 결손금을 기록한 기업은 5곳이었다. ▲JW신약(–289억원, 유보율 –108.3%) ▲비보존제약(–292억원, –23.3%) ▲코오롱생명과학(–296억원, –476.9%)은 모두 전년 대비 결손이 확대됐다.

동성제약은 지난해 상반기 잉여금 215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결손금 28억원으로 전환되며 유보율도 –10.7%를 기록했고, 영진약품도 –0.3%로 마이너스를 유지했다. 이들 기업은 지속적인 영업손실 또는 투자 손실 누적에 따른 자본잠식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특히 코오롱생명과학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96억원에서 올해 –296억원으로 결손이 3배 확대되며, 유보율은 –476.9%까지 떨어졌다.

업계에서는 유보율이 기업의 재무 안정성과 외부자금 의존도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가 될 수 있지만, 절대적인 기준으로 보기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유보금이 많고 유보율이 높을수록 외부 자금 조달 없이 설비 투자나 연구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이 큰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투자 확대, M&A, 설비 투자 등에 따라 일시적으로 유보율이 낮아질 수 있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기업도 많기 때문이다.

관련기사보기

제약·바이오 '현금성 자산' 반년 간 2.6%↓…삼성바이오 최다

제약·바이오 '현금성 자산' 반년 간 2.6%↓…삼성바이오 최다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⑧현금성 자산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현금성 자산이 전기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보유 규모는 줄었지만, 기업별 자금 운용 전략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유일하게 1조6000억원대를 돌파하며 업계 최다 보유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22일 메디파나뉴스가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92개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92개 제약·바이오, R&D 비율 9%대 유지…투자금액 8.9% ↑

92개 제약·바이오, R&D 비율 9%대 유지…투자금액 8.9% ↑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⑦연구개발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해 상반기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율을 9%대 중반 수준에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매출 성장세가 연구개발비 증가 속도를 앞서면서 R&D 비율은 소폭 하락했다. 21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상반기 연결·개별 재무제표를 집계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구개발비율은 9.45%로

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50% 육박…재무 건전성 변화 주목

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50% 육박…재무 건전성 변화 주목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부채비율 평균이 50%에 가까워졌다. 자본 합계가 증가했으나 부채 합계가 더 큰 폭으로 늘어서다. 91곳 중에서 50곳은 부채비율이 상승했고, 재무 건전성 변화가 큰 업체가 눈길을 끌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부채비율 평균은 지난 6월 말 기준 49.01%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46.32%

92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현금흐름 2.3조…삼성바이오 '원톱'

92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현금흐름 2.3조…삼성바이오 '원톱'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영업활동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2곳 중 66곳이 영업활동을 통해 순현금 유입을 기록하며, 전체의 약 72%가 본업 중심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년도 유출이었던 16개 기업이 유입 전환에 성공하면서 업계 전반의 재무 회복세가 감지됐다. 반면, 일부 기업은 유입에서 유출로 돌아서며 명암이 엇갈렸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올해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판매관리비율(판관비율)이 전년 대비 낮아졌다. 전체 매출 증가율이 판관비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비용 효율이 개선된 것이다. 다만 기업별로는 상승과 하락이 반반으로 갈리며, 구조적 차이는 뚜렷한 모습이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을 분석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