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10월 시행' CSO 신고제 시행규칙 내달 중 입법예고

CSO 신고제 관련 세부기준 담은 시행규칙 개정안 수립 중
그간 지적돼왔던 CSO 활동범위, 재위탁 통보 의무 등 담겨
입법예고 후 규개위·법제처 심사 통과 필요…시행 전 변수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4-05-24 06:00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오는 10월 시행될 예정인 CSO(영업대행) 신고제와 관련, 구체적인 시행 기준을 담은 시행규칙 개정안이 내달 중 입법예고될 전망이다.

23일 보건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에 따르면, 복지부는 내달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를 목표로 CSO 신고제와 관련한 세부기준을 수립하고 있다.

CSO 신고제는 오는 10월 19일부터 본격 시행되는 약사법 개정안에 담겨 있는 제도다. 개정안에 따르면, CSO는 영업소가 위치한 지자체에 영업활동을 신고해야 한다. 제약사도 CSO 업체에 대해 지출보고서 작성, 보관, 제출, 공개 등을 관리하고 교육해야 한다.

복지부가 마련 중인 시행규칙에는 CSO 활동범위, 신고의무, 교육의무, 재위탁 통보 의무 등이 담길 예정이다. 특히 재위탁 통보 의무는 CSO가 또 다른 CSO에게 위탁했을 때 관리가 안 되고 있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위탁 시 이를 통보해야 한다.

CSO 활동범위에는 허용 가능한 경제적 이익 제공이 담긴다. 예로, 의약품 제형 등을 확인하는 데 필요한 최소 수량·포장 단위로 '견본품' 또는 'sample'이라는 문자를 표기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료기관은 이렇게 제공받은 견본품을 환자에게 판매할 수 없다.

앞서 관련 업계에서는 CSO가 제공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 항목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활동에 제약이 있다는 지적이 있어왔고, 대체로 유권해석에 의존해야만 했다. 때문에 이번에 시행규칙이 개정되면 CSO 활동 범위가 명확해질 전망이다.

다만 변수는 있다. 이번 시행규칙이 내달 입법예고되면, 향후 규제개혁위원회 심사와 법제처 심사까지 통과해야만 CSO 신고제에 반영될 수 있다.

앞서 활동범위 구체화는 지난해 지출보고서 공개 의무화와 관련한 시행규칙 만들 때도 시도된 바 있다. 다만 당시에는 최종 법제처 심사 과정에서 유권해석에 맡기기로 함에 따라 통과 대상에서 제외됐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담당자가 변경될 때마다 혼선이 있다는 지적이 계속됨에 따라 이번에 재차 추진됐다.

관련기사보기

CSO 의존도 높아지는 추세인가‥비상장제약사들 판매수수료 얼마?

CSO 의존도 높아지는 추세인가‥비상장제약사들 판매수수료 얼마?

국내 제약기업들의 CSO(Contracts Sales Organization, 판매대행업체)를 통한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수년전까지만 해도 비상장 중견·중소제약사 중심으로 자체 영업인력을 줄이고 CSO를 통한 판매를 확대해 왔으나 최근에는 경동제약, 명문제약, 알리코제약, 국제약품, 위더스제약, 유유제약 등 상장제약사들도 가세해 영업을 대행업체에 맡기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영업대행사(CSO)의 지출보고서 작성 의무화 약사법 개정안을 통과된 상황이라 향후 CSO 의존도 여부에 촉각이 모아진다. 이는 판매 대행

다가오는 CSO 신고제, 수수료 지급 구조도 검토해야

다가오는 CSO 신고제, 수수료 지급 구조도 검토해야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지난 4월 개정된 약사법에 따라 CSO 신고제가 시행되면서 CSO를 통해 판촉활동을 진행하려는 제약사들은 다양한 위험을 고려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법무법인 태평양 이시항 변호사는 지난 2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윤리경영워크숍에서 'CSO 신고제의 올바른 정착'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시항 변호사의 설명에 따르면 CSO는 유형에 따라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대형 CSO의 경우 직원 수가 수백 명에 달하고 다수 제약사의 판촉업무를 대행하게 된다. CSO 신고제에 따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하반기 윤리경영 워크숍' 개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하반기 윤리경영 워크숍' 개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건강한 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윤리경영 확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24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 월드에서 '2023년 하반기 윤리경영 워크숍'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동시에 실시한 이번 워크숍은 제약바이오 자율준수관리자 및 컴플라이언스(CP) 담당자 300명 이상이 참석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건전한 의약품 유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5년 상반기부터 매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