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비 "환자 진료 최선…전공의·학생 처벌하면 강력 대응"

비상진료체계 문제 있다…중증환자 진단·치료 줄고 있어
"증원 중단하면 의료개혁·의대정원 함께 논의…제발 올해만 멈춰 달라"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4-05-24 15:59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대위원장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정부가 전공의나 의대생 처벌 등을 강행할 경우엔 주 단위 휴진 등 강력 대응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24일 전의비는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3일 총회 결과와 입장을 설명했다.

최창민 전의비 위원장에 따르면 의대 교수들은 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단 입장이다. 다만 정부가 전공의나 의대생에 대한 처벌 등을 추진할 경우엔 주 단위 휴진 등 강경한 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 위원장은 "전공의 처벌이나 학생 유급 등 피해가 발생하면 우리가 뭔가를 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료에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이지만, 이대로 상황이 해결되지 않으면 수개월 내 병원 도산은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특히 내년에 전문의가 나오지 않으면 전임의도 대가 끊어진다는 점도 우려했다. 전임의 이후 교수가 될 인원들이기 때문에 의료체계 유지에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최 위원장은 "전임의는 한 명이 엄청난 역할을 하는 분들이고, 나중에 교수가 될 분들"이라며 "내년 전문의 배출이 안 되면 그 다음 전임의는 없다고 봐야 하는데, 병원 운영이 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비상진료체계에 문제가 없다는 정부 입장은 사실과 다르라고 반박했다. 학생과 전공의가 없는 상태에서 상급종합병원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체력적 한계로 신규 환자를 보지 못하는 만큼 암과 같은 중증질환으로 진단되거나 치료를 받는 환자는 줄어들고 있다는 것.

그는 "암 환자 등록과 산정특례 등록은 정부에서 실시간으로 하고 있다. 문제가 없다면 수치를 공개하면 된다"며 "정부는 매번 불리한 건 퍼센트만 이야기하고, 유리한 건 숫자로 이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계가 조건을 걸어 대화가 어렵단 정부 주장도 비판했다. 오히려 정부는 의대정원 2000명 증원이라는 가장 강력한 조건을 고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 위원장은 "가장 강력한 조건을 내걸고 마치 전공의들이 대화를 하지 않고 있다고 책임을 떠넘기고 악마화 하고 있다"며 "정부 태도에 변화가 없으니 전공의와 학생들은 의료 현장에 돌아올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전의비는 올해 증원만 중단한다면 의료개혁은 물론 의대정원도 함께 논의할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젊은 의사들과 학생들 미래를 생각해 올해는 제발 의대정원 증원 절차를 멈춰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