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불안정' 심화될수록 심혈관 건강 악화시켜

의정부을지대병원 강서영 교수·을지의대 구단비 학생 연구팀
불안정군, 심혈관 건강 저하 위험 1.32배 높아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9-05 12:53

의정부을지대병원 강서영 교수, 을지의대 구단비 학생

한국 성인에서 식품 불안정(food insecurity)이 심혈관 건강을 악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흡연과 고혈압이 식품 불안정의 영향을 받는 핵심 심혈관 건강 구성요소로 나타났고, 가구소득, 교육수준 등 요인과도 깊이 연관돼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 해소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서영 교수(교신저자),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구단비 학생(제1저자, 본과 2년) 연구팀은 2019년~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해 19세 이상 한국 성인 1만 4034명의 세부 건강지표 분석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미국심장협회가 제시한 7가지 심혈관 건강지표(흡연, 신체활동, 식이,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혈압, 공복혈당)를 기준으로 분석 대상 건강을 평가하고, 식품 불안정 여부에 따라 '불안정군'과 '안정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전체의 4%에 해당하는 불안정군은 안정군보다 심혈관 건강 저하 위험이 1.32배 높았다. 또 불안정 정도가 심할수록 심혈관 건강 저하 위험이 더 커지는 경향을 확인했다. 그 중 흡연율과 고혈압 지표에서 불안정군이 더 나쁜 결과를 보였다.

구단비 학생은 "식품 불안정은 단순한 영양 결핍을 넘어 심혈관 건강 불평등을 유발하고, 건강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는 사회적 요인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개인 또는 가구의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 요인이 식품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식품 불안정이 단순히 끼니를 거르는 차원을 넘어 식품의 질과 다양성 부족, 식품 구매 불안감 등 생활 기반 불안정의 한 형태라는 것이다.

선행 연구에서도 식품 불안정은 저소득층, 독거노인, 한부모 가정 등 취약계층에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소득 불평등 심화, 급격한 물가 상승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학계, 의료계가 식품 불안정으로 인한 건강 격차를 경계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강서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식품 불안정과 심혈관 건강의 연관성을 분석해 향후 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Relationship Between Food Insecurity and Poor Cardiovascular Health in Korean Adults'라는 제목으로 SCIE에 등재된 대한심장학회 학술지 Korean Circulation Journal(IF=3.1) 최신호에 게재됐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