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료를 여는 열쇠‥'국가 바이오 빅데이터'에 거는 기대

100만명 유전체·임상·건강정보 통합…정밀 의료 인프라 본격 가동
희귀·중증 환자부터 건강인까지…참여자 중심 데이터 수집·환류 설계
AI·초거대 모델과 융합 기대…진단·신약개발 등 의료 혁신 파급력 주목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7-24 11:50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정밀 의료의 핵심은 '데이터'다. 유전체 분석과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개인 맞춤형 의료 실현이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이를 가능케 할 고도화된 통합 데이터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100만명을 대상으로 유전체, 임상, 건강정보를 아우르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나섰다.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이 공동 추진하는 '국가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BIKO – BioBigData.Korea)'은 정밀 의료 실현을 위한 국가 전략 사업이다. 유전체, 임상 정보, 공공 및 개인 건강 데이터, 생활기록(라이프로그) 등을 대규모로 수집·통합해 고품질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BIKO 사업은 희귀·암·중증 질환자뿐 아니라 건강한 일반인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데이터 수집 체계를 갖췄다. 전국 48개 의료기관과 협력해 임상 정보와 검체를 확보하고, 공공기관 및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개인 단위로 통합·관리한다.

해당 데이터는 연구자에게 개방되며, 참여자에게도 예방·진단·치료에 도움이 되는 맞춤 정보를 환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데이터 활용의 양방향 흐름을 통해 정밀 의료의 실질적 효과를 구현하겠다는 취지다.

사업단을 이끄는 백롱민 단장(국가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단)은 대한의학회 E-NEWSLETTER의 기고문에서 "정밀 의료는 유전자뿐 아니라 환경, 생활습관, 생체신호 등 다양한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복합적인 영역"이라며 "이러한 데이터를 통합해 분석하는 것이 정밀 의료 실현의 핵심 조건"라고 강조했다.

대규모 민감정보를 수집하는 사업 특성상, 개인정보 보호와 정보보안은 필수 요건으로 설정돼 있다.

수집된 정보는 민감도에 따라 4단계(Tier)로 분류되며, 연구자는 사전 심의를 거쳐야만 가상 연구환경(VDI) 또는 클라우드 기반 분석 환경에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역시 반출 심사를 거쳐야 외부로 활용이 가능하다.

백 단장은 "개인정보보호법, 생명윤리법,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ISMS-P 인증, 개인정보 책임보험 등 기술적·관리적 보호 조치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BIKO 사업이 생산하는 고품질 바이오 빅데이터는 초거대 언어모델(LLM), 의료 특화 AI 등 최신 기술과 융합되며, 다양한 의료 혁신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특히 ▲맞춤형 진단·치료 알고리즘 개발 ▲신약후보물질 발굴 ▲복합질환 병태생리 예측 ▲부작용 대응 전략 수립 ▲정밀 코호트 자동 분류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등은 BIKO 데이터가 실질적인 활용 효과를 낼 수 있는 대표 영역으로 꼽힌다.

백 단장은 "이 사업은 단순한 데이터 수집이 아니라, 대한민국 정밀 의료를 현실화하는 국가 전략 인프라"라며 "보건의료 데이터의 공공성과 활용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는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의료계, 연구계, 산업계가 함께 협력할 때 대한민국이 AI 시대 미래 의학의 중심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보기

보산진,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본격 홍보 추진

보산진,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본격 홍보 추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단은 우리나라 국민 100만명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본격적인 홍보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 등 4개 부처·청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R&D 인프라 사업으로, 참여자의 동의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민 100만명의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축된 바이오 빅데이터는 정밀의료 실현과 바이오 산업 혁신을 위한 연구 기반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삼성서울병원,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참여

삼성서울병원,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 참여

삼성서울병원(원장 박승우)이 범부처 국가연구개발사업인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에 참여한다.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은 국민 100만명의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 공공 데이터, 개인 보유 건강 정보 등을 통합해 정밀의료 및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 연구 개발 프로젝트다. 삼성서울병원은 ▲중증질환(연구책임자 허우성 신장내과 교수) ▲희귀질환(김종원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일반국민(홍진표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등 국내에서 유일하게 3개 분야 모두 선정됐다. 삼성서울병원은 이번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전남대병원, 국가통합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 선정

전남대병원, 국가통합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 선정

전남대학교병원은 최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국가통합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국가통합 바이오빅데이터 구축사업은 국민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국가 주도 연구개발 사업이다. 참여자로부터 혈액, 소변, 조직 등의 검체와 임상정보, 의무기록, 공공기관 보유 데이터, 개인생성건강정보, 유전체 및 그 외 오믹스 데이터 등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인체유래물은행(데이터뱅크, 바이오뱅크)에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구축된 인프라는 향후 질병의 예방, 진단 및 치료법 개발, 정밀의료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