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에이비엘바이오와의 오픈 이노베이션 R&D 성과 가시화

한국 내 권리를 보유한 담도암 치료제와 위암 치료제 임상에서 긍정적인 진전 보여
담도암 치료제, 예상보다 적은 사망자가 관찰되며 전체 생존율에 긍정적 영향 기대
위암 치료제, 병용요법 임상 1b상 용량 확장 파트 환자 모집 조기 완료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14 09:10

사진=최인환 기자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한국 내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담도암 치료제와 위암 치료제의 임상이 긍정적인 진전을 보이며 오픈 이노베이션 R&D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한독은 에이비엘바이오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토베시미그(프로젝트명 한독: HDB001A/ 컴퍼스 테라퓨틱스: CTX-009/ 에이비엘바이오: ABL001)와 지바스토믹(ABL111)에 대한 한국 내 권리를 확보했다.

토베시미그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임상 2/3상 COMPANION-002에서 전체 생존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한독의 파트너사 미국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는 12일(미국시간) 전이성 또는 재발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임상 2/3상에서 예상보다 적은 사망자가 관찰되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전체 사망률이 80%에 도달해야 진행되는 보조 평가 지표(OS 및 무진행 생존율(PFS)) 분석이 2026년 1분기로 조정됐다.

토베시미그는 임상2/3상 톱라인 결과를 통해 토베시미그와 파크리탁셀 병용요법이 파크리탁셀 단독요법 대비 전체 반응율을 유의미하게 개선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컴퍼스 테라퓨틱스는 토베시미그의 한국을 제외한 글로벌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독이 진행한 한국 임상 2상을 토대로 임상 2/3상을 진행하고 있다.

토베시미그는 담도암 1차 치료제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임상도 진행되고 있다. MD 앤더슨 암센터에서 진행되는 연구자 주도 임상(Investigator Sponsored Trial)는 현재 등록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해당 임상은 토베시미그를 담도암 치료의 1차 요법인 젬시타빈(gemcitabine), 시스플라틴(cisplatin), 더발루맙(durvalumab)에 추가요법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더불어, 한독이 한국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지바스토믹(프로젝트명: ABL111)'은 미국 바이오기업 아이맵이 위암 환자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임상 1b상 용량 확장 파트의 환자 모집이 조기 종료되며 임상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ABL111은 클라우딘 18.2 양성 위암 환자 대상으로 PD-1 계열 면역항암제 '니볼루맙', 화학항암제 '폴폭스'와 병용해 사용하는 1차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지바스토믹은 클라우딘18.2가 발현된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에서만 면역 T 세포를 활성화하도록 설계됐다. 활성화된 T 세포는 정상 세포는 보존하면서 클라우딘18.2 양성 종양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함으로써 표적 독성(On-target, Off-tumor Toxicity) 위험을 최소화한다. 지바스토믹 병용요법은 용량 증량 파트(Dose Escalation Part)에서 객관적 반응률(ORR) 71%, 질병 조절률(DCR) 100%라는 결과를 보였으며, 8mg/kg 및 12mg/kg 용량군에서는 83%의 객관적 반응율이 나타났다.

특히, 지바스토믹은 단독요법에 반응을 보인 환자들의 클라우딘18.2 발현율이 11%에서 100%까지 다양하게 나타나 낮은 클라우딘18.2 발현율을 가진 환자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임상 결과에서 3등급 부작용이 드물게 나타나고 낮은 위장관 부작용과 간독성 발생율을 보이며 양호한 안전성을 보였다. 

관련기사보기

'발매 10주년' 한독 테넬리아, 서울서 릴레이 심포지엄 개최

'발매 10주년' 한독 테넬리아, 서울서 릴레이 심포지엄 개최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3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테넬리아 발매 10주년 기념 릴레이 심포지엄'의 일환으로 지난 12일 서울 지역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한독은 2015년 출시된 테넬리아의 10년 여정을 살펴보고 당뇨병 치료에 있어 테넬리아의 역할을 집중 조망하기 위해 테넬리아 발매 10주년 기념 릴레이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3월 서울을 시작으로 6개월간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연달아 심포지엄을 개최해오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서울아

한독 '갈라폴드' 이달부터 1차 치료제로 급여 확대

한독 '갈라폴드' 이달부터 1차 치료제로 급여 확대

한독 파브리병 치료제 갈라폴드(미갈라스타트) 보험급여 기준이 이달부터 1차 치료제로 확대된다. 기존에 갈라폴드는 정맥주입요법인 효소대체요법(ERT)를 12개월 이상 투약한 만 16세 이상 환자에서 보험급여 적용이 가능했다.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갈라폴드는 효소대체요법 12개월 선행 없이 1차 치료제로 처방 가능하게 됐다. 허가사항과 동일하게 몸무게 45kg 이상, 만 12세 이상 환자부터 보험급여를 적용 받게 된다. 갈라폴드는 세계 최초의 경구용 파브리병 치료제로 아미커스가 개발했으며 한독이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현재 미국, 영

한독, 갈라폴드 GENESIS 심포지엄서 파브리병 최신지견 공유

한독, 갈라폴드 GENESIS 심포지엄서 파브리병 최신지견 공유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7월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 호텔에서 '갈라폴드 GENESIS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파브리병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이 다뤄졌으며 심장내과, 신장내과, 소아청소년과, 의학유전학과 등 파브리병을 다루는 다양한 진료과의 전문의들이 참석했다. 이와 더불어 갈라폴드의 최신 임상 결과와 함께 심장 및 신장 효과, 안전성, 복약 순응도에 대한 데이터와 국내외 다양한 환자 사례가 소개됐다. 1일차 심포지엄에서는 양산부산대병원 의학유전학과 전종근 교

에이비엘바이오, 'ABL111' 병용요법 1b상 환자 모집 조기 완료

에이비엘바이오, 'ABL111' 병용요법 1b상 환자 모집 조기 완료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미국 바이오기업 아이맵(I-Mab)과 공동 개발 중인 'ABL111(지바스토믹, Givastomig)'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상 용량 확장 파트(Dose Expansion Part)의 환자 모집을 조기에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ABL111(지바스토믹)은 PD-1 면역항암제 니볼루맙(Nivolumab) 및 화학치료제 폴폭스(mFOLFOX6)와 병용해 클라우딘18.2(암 세포의 ≥1%에서 1+ 이상 발현) 양성 위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평가받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와 아이맵은 해당 임상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