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분기 의약품 수입 급감…한국 사상 첫 10위권 진입

아일랜드 등 주요 수입국 감소세…한국만 역성장 속 점유율 확대
3월 317억달러 정점 후 6월 151억달러로 급락…관세 파고 속 한국 수출 증가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20 11:22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의 의약품 수입이 올해 2분기부터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한국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 의약품 수입국 순위에서 10위권에 진입했다. 글로벌 공급망과 관세 부담으로 주요국의 대미 수출이 줄어드는 와중에도 한국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20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UN 무역통계데이터(UN Comtrade)를 인용,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의약품을 수입하는 국가로 지난해 기준 2126억 달러를 들여왔으며, 같은 해 수출액은 943억 달러로 1180억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미국의 월별 의약품 수입액은 1분기까지 증가세를 보이다가 2분기부터 급격히 줄어들었다. 올해 3월 317억달러로 월별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4월 205억달러, 5월 190억달러, 6월에는 151억달러로 급락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도 4월 1.8% 감소, 5월 12.7% 증가, 6월 10.0% 감소 등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수입국 1위인 아일랜드 역시 감소세가 뚜렷하다. 아일랜드산 수입액은 4월 45억달러로 전년 대비 33.4% 감소했으며, 6월에는 약 27억달러를 기록했다. 독일, 스위스 등 주요 수출국 역시 비슷한 하락세를 보이면서 미국 내 공급 의존도가 전반적으로 줄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의 대미 의약품 수출은 역주행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미국 의약품 수입국 순위 16위였으나, 올해 들어 꾸준히 순위를 끌어올리며 6월에는 처음으로 10위에 올랐다.

올해 월별 순위는 1월 13위, 2월 14위, 3월 20위로 다소 변동이 있었지만, 4월과 5월 연속 12위를 기록한 데 이어 6월 10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이는 관세 부과와 미국의 의약품 비축 정책 등으로 전반적인 수입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한국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증가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주요국 수출이 줄어드는 가운데 한국의 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점유율을 확대했다"며 "관세 환경이 녹록지 않지만 한국 기업들의 기술력과 공급망 안정성이 빛을 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보기

미국 의약품 관세 시나리오, 2028년 최대 250% 이를수도

미국 의약품 관세 시나리오, 2028년 최대 250% 이를수도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자비한 관세 행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의약품도 2028년까지 최대 250%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브리핑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5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의약품 관세는 처음엔 적게 부과하지만 1년에서 최대 1년반 안에 150%, 이후 250%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그동안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종합해 의약품 관세 시나리오를 예상했다. 이번 달부터 내년까지는 최대

한국, 첨단기술 바이오 10위…美·中 양강 속 도약 기반 구축

한국, 첨단기술 바이오 10위…美·中 양강 속 도약 기반 구축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한국이 하버드대 벨퍼 센터가 발표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CETI,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Index)'에서 종합 순위 5위를 기록했다. 반도체 분야의 강세가 순위를 견인한 가운데, 바이오 기술은 10위에 올랐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벨퍼 센터는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양자, 우주 등 5대 첨단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25개국을 평가한 결과를 현지시간으로 지난 5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정책 결정자와 연구자들이 국가별 기술 역량을 비교할 수 있도록

상반기 의약품 수출 실적 경신…바이오의약품 견인

상반기 의약품 수출 실적 경신…바이오의약품 견인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올해 상반기 의약품 수출이 역대 최대 반기 실적을 경신했다. 바이오의약품이 실적 경신을 견인했고, 백신류도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6일 상반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2% 증가한 137억9000만달러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분야별로는 화장품이 전년 대비 14.9% 증가한 55억1000만달러, 의약품은 20.5% 증가한 53억8000만달러, 의료기기는 0.6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32조 웃돌아…역대 최대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32조 웃돌아…역대 최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전년 30조6396억원 대비 7.3% 증가, 1998년(최초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고치인 32조8629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는 31조6965억원으로 전년 31조4606억원 대비 0.7% 증가했다. 의약품 수출실적은 12조6749억원으로 전년 9조8851억원 대비 28.2% 증가했으며, 수입실적을 상회해 무역수지가 3년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 지난해 국내 의약품등 시장의 주요 특징은 ▲의약품 생산실적 역대 최고, 원

1Q 의약품 수출 17.7% ↑…바이오의약품 호조에 '분기 최대'

1Q 의약품 수출 17.7% ↑…바이오의약품 호조에 '분기 최대'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1분기 한국 보건산업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한 가운데, 유럽 중심 바이오의약품 수출 호조가 의약품 전체 수출 확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료기기는 중국향 임플란트 수출 감소의 영향으로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4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보건산업 수출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보건산업 전체 수출액은 65억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59억2000만달러 대비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의약품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