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 복합제 당뇨약 시장 철수 조짐

대한뉴팜 비롯한 8개사 24개 품목 식약처 품목 취소 
SGLT-2 억제제 계열 복합제 중심 처방 이동 탓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8-26 05:54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당뇨병 치료 시장에서 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 복합제가 잇단 철수 조짐을 보이고 있다. 

관련 시장이 SGLT-2 억제제+DPP-4 억제제 복합제 또는 SGLT-2 억제제+DPP-4 억제제+메트포르민 3제 복합제로 넘어간 탓으로 분석된다.  

25일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현황에 따르면 최근 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 복합제가 무더기로 품목이 취소됐다. 

관련 제약사는 대한뉴팜(시타포민)을 비롯한 국제약품(시타비스엠), 위더스제약(글리메트), 메디카코리아(리누메트), 환인제약(자누틴듀오), 안국약품(안국시타포르민), 동성제약,(스타메트), 환인제약(자누틴듀오) 등으로 총 24개 품목이다. 

이들은 의약품 품목허가에 따른 유효기간을 갱신하지 않으면서 품목이 취소됐다. 사실상 자진취하한 셈이다. 

또 셀트리온제약(셀시타정)과 보령바이오파마(에스비아정)는 시타글립틴 단일제제에 대한 품목허가 갱신을 포기하면서 허가가 취소됐다.

최근 혈당 조절 트렌드가 SGLT-2 억제제 2제 또는 3제 요법으로 기우면서다. DPP-4 억제제인 시타글립틴은 체내 인크레틴 호르몬 분해를 억제해 혈당 강하 효과를 유발하는 기전으로 2010년대 후반까지 줄곧 선호돼왔다. 

여기에 당뇨병 1차 약제인 메트포르민과의 고정 용량 투여는 당화혈색소(HbA1c) 수치 감소에 있어 글리메피리드 대비 우월한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첫 SGLT-2 억제제인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가 2013년 국내 출시되면서 조금씩 처방 트렌드에도 변화가 생겼다. 

SGLT-2 억제제는 포도당 재흡수를 막아 혈당을 낮추는 기전을 갖추고 있어 당뇨병 치료 효과 외에 체중 감소나 혈압 감소, 심부전 및 심혈관 질환 예방/치료, 신장 기능 보호 등 다양한 이점을 가지면서다. 

그러다 포시가가 2023년 4월 특허 만료되면서 시타글립틴을 포함한 DPP-4 억제제+메트포르민 복합제는 점차 경쟁력을 잃어갔다.   

당뇨병 치료 시장에서 판매액이 가장 높은 SGLT-2 억제제 계열 2제, 3제 복합제로 재편됐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SGLT-2 억제제+DPP-4 억제제 원외처방시장은 지난해 약 400억원대로 전년 대비 약 400% 이상 성장했다. 

SGLT-2 억제제 위주 처방 트렌드는 더욱 가속화 될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SGLT-2 억제제인 '자디앙(엠파글로플로진)'까지 오는 10월 특허 만료돼 후발약 출시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파글리플로진 복합제를 비롯한 엠파글로플로진 복합제 위주로 관련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 복합제에 대한 국내 제약사들의 품목 취소 사례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보기

또 다른 SGLT-2i+DPP-4i 복합제 등장…입지 확보할 수 있을까

또 다른 SGLT-2i+DPP-4i 복합제 등장…입지 확보할 수 있을까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또 다른 SGLT-2i+DPP-4i 복합제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SGLT-2 억제제 '다파글리플로진프로판디올수화물'과 DPP4-억제제 '리나글립틴'을 결합한 개량신약이 의약품 시장에 변화를 불러올지는 미지수다. 최근 식약처는 보령 '트루다파엘정10/5mg(다파글리플로진프로판디올수화물,리나글립틴)', 녹십자 '리나다파지정', HK이노엔 '다파엔젠타정10/5mg', 한국휴텍스제약 '트라시가정10/5mg' 등 8개 품목을 허가했다. 항당뇨병제 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힘쓴 아주약

"CKM, GLP-1과 SGLT-2 억제제 병용 통합적 접근 필요"

"CKM, GLP-1과 SGLT-2 억제제 병용 통합적 접근 필요"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심혈관질환-신장-대사(CKM)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전략으로 GLP-1 수용체 작용제와 SGLT-2 억제제의 병용 등과 같은 통합적 접근과 다학제적 치료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20일 서울시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진행된 '2025 대한신장학회 연례학술대회(KSN 2025)'에는 '만성 신장 질환(CKD)에서의 심혈관, 신장 및 대사(CKM) 상호작용'에 대한 주제가 하나의 세션으로 다뤄졌다. 해당 세션의 첫 번째 연자를 맡은 한승혁 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심혈관-신장-대사(CK

늘어나는 SGLT-2i+DPP-4i 복합제, '에스글리토' 도전 확대로 이어진다

늘어나는 SGLT-2i+DPP-4i 복합제, '에스글리토' 도전 확대로 이어진다

[메디파나뉴스 = 김창원 기자]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를 결합한 복합제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가운데 베링거인겔하임 '에스글리토(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리나글립틴)'에 대한 도전이 이어지고 있어 주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알리코제약에 '알리엠정'과 에스글리토를 비교하는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을 승인했다. 에스글리토에 대한 생동시험은 이미 2022년부터 시작돼 꾸준하게 이어지는 모습으로, 지난 11일 대원제약도 생동시험을 승인 받으면서 대열에 합류했다. 에스글리토는 베링거인겔하임이 SG

DPP4, '두자릿수 성장' 복합제 위주 개편…단일제 '정체'

DPP4, '두자릿수 성장' 복합제 위주 개편…단일제 '정체'

DPP-4 억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 시장이 복합제 위주로 개편되는 모양새다. 단일제는 성장이 정체하고 있는 반면, 복합제는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하며 엇갈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DPP-4 억제제 복합제는 140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9% 증가했다. 반면, 단일제는 884억원으로 1.3% 성장하는 데 그쳤다. 복합제와 단일제의 비중도 작년 상반기 58% 대 42%에서 올해 61.4% 대 38.6%로, 복합제 비중이 날로 커지는 추세다. 이는 기본적으로 메트포르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