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광약품, '라투다' 출시 1주년 심포지엄 성황리 종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100명 참석...라투다 임상 연구 및 실제 적용 사례 등 공유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08 15:40

부광약품 이제영 대표가 지난 6일 라투타 출시 1주년 심포지엄 행사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에게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부광약품 제공
부광약품은 '라투다(성분명 루라시돈염산염)' 출시 1주년을 맞이해 진행한 심포지엄이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8일 밝혔다.

부광약품은 지난 6일과 7일 서울 용산에 위치한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홀에서 'BK LIGHT(Latuda, One-Year In Korea: Gaining Hope Through Novel Treatment)'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양일 간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전국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100명이 참석했다. 전문의들은 라투다의 임상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 등을 공유했다.

심포지엄 첫째 날에는 성균관의대 홍진표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성균관의대 최정석 교수와 캐나다 토론토대학 로져 S. 맥킨타이어(Roger S. McIntyre) 교수가 강의를 진행했다.
 
첫 번째 연사인 최 교수는 "양극성장애 우울증 연구에서 라투다는 리튬 또는 발프로산과의 병용 또는 단독 복용 시에도 유의한 우울 증상 개선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기존 치료제로 효과가 부족할 경우 라투다로 변경 투여를 고려할 만하다"면서 "실제 입원 및 외래 환자에서의 라투다 사용 증례에서는 우울 증상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저하된 인지 저하, 무기력감 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강의를 맡은 맥킨타이어 교수는 "라투다는 양극성 장애 우울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이며, 경조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위약(placebo) 대비 조증척도(YMRS)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아 미국에서도 1st Line(1차 치료제)으로 처방하고 있다"며 "또한 트라우마를 경험한 소아청소년 환자에서도 유의한 개선 효과를 확인했고, 양극성 장애 환자의 삶의 질이 개선됐다"고 전했다.

둘째날인 7일 서울의대 정희연 교수가 좌장으로 참석했고, 서울의대 김세현 교수와 연세의대 김은주 교수가 강의를 맡았다.
 
첫 번째 강의에서 김세현 교수는 "라투다는 조현병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을 통해 올란자핀과 유사한 수준의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체중 감소가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준다"면서 "실제 증례에서는 사회활동이 없고 기분에 문제가 있는 타 약제 복용 환자가 라투다 복용 시 해당 증상들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됐다"고 말했다.

두 번째 강의를 맡은 김은주 교수는 "라투다는 치료제가 제한적이었던 소아청소년의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증상이 개선됐다"며 "이는 2년간의 연장 연구에서도 확인됐으며, 이때 체중 증가 등 대사 관련 지표의 변화는 정상 성장 발달기준과 차이가 없어 장기 치료에 효과와 내약성이 확인됐다"고 언급했다.

부광약품 이제영 대표는 "이번 심포지엄에서 향후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 진료 시 더 나은 치료 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국내 및 해외의 저명한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들이 지난 1년간의 라투다 사용 경험을 공유학고 소통하며, 임상에서의 긍정적 변화와 발전 방향에 대한 고견을 교류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라투다의 여정은 이제 막 첫 걸음을 뗀 것에 불과하다"며 "앞으로도 진료 현장에서 의료진들과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상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중추신경계(CNS) 치료제를 제공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련기사보기

부광약품, 하반기 'CAPA 확충·LO 타진' 성장동력 확보 주목

부광약품, 하반기 'CAPA 확충·LO 타진' 성장동력 확보 주목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부광약품이 하반기 성장동력 확보에 나서 주목된다.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공장을 인수해 CAPA(생산능력)을 확장하고, 오는 9월 임상시험 1b상 탑라인 발표를 앞두고 있는 파킨슨병 아침무동성 신약 후보물질 'CP-012' 기술수출 가능성도 타진한다. 22일 부광약품은 온라인 실적발표회 질의응답을 통해 유상증자 자금사용 계획과 기술수출 가능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부광약품은 연내 제조설비 신규 취득을 통해 생산능력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는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다.

부광약품, 올해 2Q 당기순익 64억…15분기 만에 흑자전환

부광약품, 올해 2Q 당기순익 64억…15분기 만에 흑자전환

부광약품이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이 15분기 만에 흑자로 전환됐다고 22일 밝혔다. 부광약품은 이날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6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3년 9개월 만에 흑자전환을 달성한 것이다.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426억원, 21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4%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흑자로 전환됐다. 올해 상반기 누적으로 살펴보면 연결기준 매출액은 904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26.8% 상승한 수치다. 상반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51억

OCI 지원 속 부광약품, 의약품 품절 이슈 종지부 찍나

OCI 지원 속 부광약품, 의약품 품절 이슈 종지부 찍나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부광약품이 OCI홀딩스를 등에 업고 제조역량 확보에 나선다. 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와 관련된 주식 물량 중 상당수에 OCI홀딩스가 관여함에 따라, 출자금 268억원이 부광약품에 투입되면서다. 이를 바탕으로 부광약품은 의약품 생산능력(CAPA)을 확대해 수익성을 더욱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회사로서 생산시설 증설은 그동안 미뤄왔던 최대 당면과제기 때문이다. 생산 경구제 중 퇴장방지의약품 68% 차지하지만 CAPA 부족으로 의약품 장기 품절사 '오명'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부광약품은 최근 1000

부광약품, '라투다' · '익셀' · '잘레딥' 등 CNS 심포지엄 진행

부광약품, '라투다' · '익셀' · '잘레딥' 등 CNS 심포지엄 진행

부광약품이 중추신경계(CNS) 대표 품목을 주제로 한 LIZ(Latuda, Ixel, Zaledeep)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진행한 품목은 항정신병제 '라투다(성분명 루라시돈염산염)', 우울증 치료제 '익셀(성분명 밀나시프란염산염)', 불면증 치료제 '잘레딥(성분명 잘레플론)'이다. 심포지엄은 전라남도 여수 베네치아 호텔에서 지난달 26~27일 양일 간 개최됐으며, 전국 병원 및 의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71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 첫째날에는 라투다에 대한 임상 연구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으며, 전북

부광약품, 정신과치료제 '라투다정' 런칭 심포지엄 성료

부광약품, 정신과치료제 '라투다정' 런칭 심포지엄 성료

부광약품은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 주요 우울삽화 치료제인 '라투다정'(성분명 루라시돈염산염)의 발매를 기념해 지난달 28~29일 양일간 JW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전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참석한 가운데 그랜드 런칭 심포지엄(Grand Launching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심포지엄은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의 진단과 역학, 미충족 수요, 기존 치료제들의 제한점과 라투다정의 주요 허가 임상자료를 통해 새로운 치료 전략과 특장점에 대한 질의 응답 세션 등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28일에는 라투다정의 국내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