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하 대장암 환자 30년간 80% 증가

국내 대장암, 발병률 2위·사망률 3위…예방의 핵심은 '식습관'과 '정기검진'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5-19 10:21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2022년 국내 대장암 발생 순위는 인구 10만 명당 61.1명으로,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하다. 2023년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9348명으로 폐암과 간암 다음으로 많다.

대장암은 대장이나 직장 점막에서 선종성 용종을 거쳐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 대장의 점막은 낡은 세포가 떨어지고 새로 생기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때 유전자 이상이 생기면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이 일어나 종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박나현 교수는 "대장암은 주로 60세 이상 남성에게서 흔히 발생하지만 50세 이하 젊은 환자 비율도 최근 30년간 80% 이상 증가했다. 최근 20~49세 젊은 연령층에서도 대장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조사 대상 42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대장암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 10~30%를, 환경적 요인이 70~90%를 차지한다. 유전성 대장암 증후군이나 만성 염증성 장질환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그 외에 환경적으로 고지방·저섬유 식습관, 가공육 섭취, 비만, 운동 부족, 흡연, 과도한 음주 등도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50세 이상에서는 유전자 변이 축적으로 대장암 발생 위험이 급격히 높아진다.

대장암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60세 이상에서 갑작스럽게 변비가 생기거나 변의 굵기가 가늘어지거나 흑색변이나 혈변을 보는 경우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대장암은 발생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진다. 우측 대장암은 빈혈과 우측에 만져지는 종괴, 흑색변이 흔하며 좌측 대장암이나 직장암은 혈변, 배변 습관 변화 등 직접적인 증상이 많다.

대장암은 대장내시경을 통해 병변을 확인하고 조직검사를 통해 암세포가 확인되면 확진한다. 이후 복부, 흉부 CT와 MRI 검사를 통해 병기를 결정한다.

대장암은 위치에 따라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나뉘며 치료 방법이 다르다. 전이가 없는 결장암은 수술을 먼저 시행하고 병기에 따라 항암치료를 추가로 진행하는 반면, 직장암은 조기 발견이 아니라면 항암 방사선치료를 먼저 시행한 후 수술을 진행한다. 

대장암을 예방하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식습관이다.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고, 가공육과 기름진 음식 섭취를 줄이는 식습관이 필요하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절주가 대장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국내에서는 분변잠혈검사가 선별검사로 시행되고 있지만, 대장내시경을 최소 5년에 한 번 받는 것이 더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