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사제법안, 제2 의정갈등 우려에 발목…현실적 보완 관건

여야 입장차 뚜렷…민주당, 지역 의료 인력 확보에 무게 둬
복지부, 적용 대상 명확화·위반 시 면허정지 및 면허취소 가능해야
국민의힘, 강제적 의무복무…효과성의문·의료계와 갈등 우려 지적
법안 처리 논란…병합 심사 vs 개별 심사 의견 충돌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8-26 05:56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지역의사제 법안이 국회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강제 복무 방식과 제2의 의정갈등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현실적 보완, 의료계 등 관련 단체와의 협의가 핵심 과제로 확인된다.

25일 국회에 따르면 보건복지위원회 제1법안심사소위원회는 지난 19일 더불어민주당 강선우·김원이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지역의사 양성을 위한 법률안'과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이 대표 발의한 '지역의료 격차해소를 위한 특별법안' 심사과정에서 이 같은 의견을 제기했다.

심의된 제정안들은 지역의사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의사선발전형을 통해 입학한 의대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10년간 특정 지역 또는 기관에서 의무 복무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취약지 등 지역에서 근무할 의사 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지역 간 의료서비스 격차를 해소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공개된 회의록에서 복지부는 해당 법안에 대해 수정 수용 의견을 밝혔다. 이형훈 복지부 제2차관은 지역의사제 적용 대상을 의사에 한정하고 지원 주체에 국가뿐만 아니라 지자체도 명시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임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의무복무 기간을 기본 10년으로 하더라도 현실적 유연성을 부여해야 하다는 의견을 전하면서 의무복무 위반 시 위반 사유, 횟수, 정도 등에 따라 면허정지나 면허취소를 할 수 있도록 수정하자고 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은 해당 법안의 강제적 의무복무를 지적하면서 효과성에 의문이 있고 갈등을 부를 수 있는 만큼 의료계와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며 제2의 의정갈등 가능성을 지적했다.

김미애 소위원장도 "의협, 치협, 한의협 등 다수 단체가 반대하고 제정법안인 만큼 단기간에 처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자칫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며 같은 우려를 제기했다.

반면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법안의 필요성에 무게를 뒀다. 

이수진 위원은 일본의 자치의대(공공의대) 사례를 언급하며 "지역의사제도입은 부족한 지역 의료를 완전히 해결하진 못하더라도 최소한의 필요조건은 된다"며 "복지부가 수정 의견을 밝힌 만큼 다소 미흡하더라도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남인순 위원 역시 "이미 지난 국회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발의돼 논의가 됐고 의무복무제는 다른 제도에도 존재한다"며 "이번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드러난 지방 의료 공백을 고려하면 지역의사제 도입 필요성이 더 분명해졌다"고 지적했다.

심사 과정에서는 법안 처리 방식도 논란이 됐다. 

김미애 소위원장은 "이미 유사한 법안들이 다수 발의돼 있는 만큼 개별적으로 논의하기보다 병합 심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고, 이형훈 차관도 이에 대해 "충분히 동의한다"며 "여러 제정법을 각각 논의하기보다는 병합 심사 또는 함께 심의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수진 위원은 유사법안의 병합 심사에 선을 그으며 "심의중인 법안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지역의대를 가서 지역의사를 배출하는 제도다. 그리고 공공의료사관학교는 학교를 만들어서 입학생을 통해 양성하는 별도의 트랙으로 가는 것"이라며 "아예 다른 법이다"라며 병합심사에 반대했다.

소위에서 여야간 이견을 좁히지 못함에 따라 김미애 소위원장은 “해당 3건의 법안은 보다 깊이 있는 검토를 위해 계속심사하기로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보기

의사 없는 지역의료‥공공의대·지역의사제 해법은 '안갯속'

의사 없는 지역의료‥공공의대·지역의사제 해법은 '안갯속'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지역 의료 공백이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의사가 떠나면 응급실이 멈췄고, 전문의 1명 충원으로 병원이 정상화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해법으로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를 제시했지만, 의료계의 반응은 냉담하다. 두 제도 모두 실효성과 장기 정착 가능성에서 한계를 안고 있다는 이유다. 속초의료원은 최근 전담의 2명을 충원해 응급의료센터 5인 전담체계를 구축하고 24시간 진료를 재개했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도 전문의 1명이 충원되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야간 진료를 일부

대체조제 사후통보 간소화 법안소위 통과…지역의사제 계류

대체조제 사후통보 간소화 법안소위 통과…지역의사제 계류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체조제 사후통보 간소화를 위한 시스템 관리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맡기도록 하는 개정안이 국회 법안소위를 통과했다. 하지만 함께 논의된 지역의료 강화를 위한 지역의사제 관련 법안은 계류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9일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 서영석·이수진·민병덕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3건의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해 심의했다. 소위는 보건복지부가 대체조제 사후 통보 지원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업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위탁할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논의 재점화…실효성 확보가 관건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논의 재점화…실효성 확보가 관건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동력을 잃은 의료개혁의 대안으로 공공의대·지역의사제가 재조명되고 있지만 의료계 의견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도 국가의 재정적 지원범위 등 보다 구체적인 부분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야 제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공공의대·지역의사제 도입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지역별 의료 현안을 심층적으로 파악해 세부적인 방안을 마련한 후 적용하는 방식이 보다 실효성을 가질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19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지역의사제·공공의대 직회부 가나…野 "임기 내 처리"

지역의사제·공공의대 직회부 가나…野 "임기 내 처리"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대 법안 21대 국회 임기 내 처리 의지를 다시 내비치고 있다. 의대정원 2000명 증원으로 의료계가 혼란스러운 가운데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대 법안이라는 불확실성이 더해지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은 15일 '공공·필수·지역의료 살리기 TF' 4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 화두는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대법이었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정부가 의대정원 증원 규모를 발표하며 비롯된 갈등에 이목이 쏠려 있지만, 늘어난 의사를 지역과 공공 분야로 보내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