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의사협의회 "전공의노조 환영, 14만 의사 아우를 것"

"1만 전공의들의 희생과 투쟁, 이제 합법적 쟁의로 전환"
"전공의노조 설립은 끝이 아닌 시작…전국의사노조 조직화 박차"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9-02 10:51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병원의사협의회가 대한전공의노동조합의 출범을 공식 환영하며, 이를 계기로 전국 단위 의사노조 조직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천명했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2일 성명을 통해 "지난 1년 6개월간 정부의 폭압적인 의료농단에 맞서 투쟁해 온 전공의들이 병원으로 복귀했지만, 이는 단순한 종료가 아닌 투쟁 방식의 전환"이라고 밝혔다.

병의협은 "그 과정에서 비판도 있었지만, 1만명이 넘는 전공의들이 인생의 가장 소중한 시간을 내던져 정부의 압박에 맞섰다는 점에 경의를 표한다"며 "전공의노조 설립을 발표한 것은 단순한 귀환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전공의 노조 설립 시도는 있었으나 전국 단위로 이어지지 못하고 무산됐다. 그러나 병의협은 이번엔 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공의들은 사직 투쟁을 통해 합법적 쟁의 수단의 필요성을 절실히 깨달았다"며 "복귀 과정에서도 각 단위별 노조 결성이 구체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공의노조는 현재 활동 중인 의사노조들과 연대하고 있는 사실상 유일한 의협 산하 직역협의회다.

병의협은 "전공의노조 요청이 있으면 설립과 운영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며, 최종적으로는 전공의노조와의 연대를 통해 대한민국에서 일하는 14만명 의사 모두가 참여하는 전국의사노조 조직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관련기사보기

전공의, 마침내 '노동조합' 깃발‥"값싼 노동 아닌 의료의 미래"

전공의, 마침내 '노동조합' 깃발‥"값싼 노동 아닌 의료의 미래"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수십 년간 과로와 탈진 속에서 의료현장을 지켜온 전공의들이 이제 '노동조합'의 이름으로 나섰다. 9월 1일 공식 출범한 대한전공의노동조합은 "혹사의 정당화는 끝났다"며 근로기준법·전공의법 준수와 전공의 인권 보장을 강력히 요구했다. 전공의노조는 국내 모든 수련병원을 포괄하는 전국 단위 직종별 노조로, 전공의 권익 보호와 의료체계 정상화를 목표로 한다. 유청준 위원장은 "법이 지켜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전공의들은 항의조차 하기 어렵다"며 "대한전공의노동조합은 근로기준법과 전공의법을 준수하는

전국 단위 '의사노조' 설립 논의 본격화… 對정부 협상 노리나

전국 단위 '의사노조' 설립 논의 본격화… 對정부 협상 노리나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의사노조 설립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랜 시간 이어진 전공의 등의 열악한 근로환경과 단체투쟁 시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법적 보호 아래 집단적 협상력을 갖춘 의사노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전국 단위의 조직화된 노조를 통해 전공의, 봉직의, 의대 교수 등 다양한 의사 직역의 권익을 보호하고 실효성 있는 대정부 협상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대한병원의사협의회, 의료정책연구원 공동 주최로 대한의사협회 대강당에서 개최한 '2025년 제1회 의사

저수가·장시간 노동‥'의사노조' 설립 필요성 부각

저수가·장시간 노동‥'의사노조' 설립 필요성 부각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저부담·저급여·저수가 구조와 강압적 규제가 의사의 근로조건을 악화시키고 있다.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현실을 개선하려면 의사노동조합 설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법무법인(유) LKB 김강대 대표변호사는 의료정책연구원 의료정책포럼 기고에서 의사의 근로자성, 국내 의료 현실, 노동조합 설립 필요성을 제시했다. 김 변호사는 헌법 제33조 제1항이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을 보장하고, 노동조합법이 이를 ‘쟁의행위’로 개념화해 정당한 쟁의에는 형사·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