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의약품-건기식 규제 불균형, 국민건강 악영향 우려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9-22 12:00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이상지질혈증 진료 현장에서 건기식 문제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환자들이 검증된 치료제 '스타틴'은 기피하고, '홍국'과 같은 건강기능식품으로 눈을 돌리는 행태다. 부작용을 부풀린 음모론이 온라인을 타고 확산되면서 치료 시기가 늦춰지고, 결국 건강이 더 나빠져 다시 병원을 찾는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지질혈증은 증상이 없는 병이기에 약 복용을 미루기 쉽고, 생활습관 개선과 건기식으로 대체하려는 심리가 나타난다. 의사 설명이나 부작용이 눈에 띄는 약보단 '덜 무서운 선택지'가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문제는 이 같은 심리가 제도 불균형과 맞물리면서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의약품 스타틴은 수십 년간 검증된 치료제임에도 부작용만을 부각 시킨 온라인 음모론에 시달리고 있는 반면, 건기식은 장점을 내세운 광고가 쏟아진다. 의약품은 대중매체 광고가 불가능하지만 건기식은 자유로운 규제 불균형이 정보량 차이로 이어지고, 나아가 의약품 네거티브까지 확장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환자는 검증된 치료제를 기피하고, 덜 검증된 대체재를 신뢰하는 역전 현상에 빠진다. 이는 개인의 선택일 수 있지만, 제도가 키운 착각이기도 하다.

의료현장에선 문제를 방치하면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더 큰 사회적 비용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다.

관련기사보기

스타틴 대신 '홍국'…개원가, 치료 방해 건기식 행태에 한숨

스타틴 대신 '홍국'…개원가, 치료 방해 건기식 행태에 한숨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이상지질혈증 치료에서 약을 기피하고 건강기능식품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어, 진료 일선에서 갖는 우려도 끝나지 않고 있다. 당장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질환 특성에 부작용 우려를 부추기는 음모론이 더해지면서다. 치료시기를 늦춰 치료 효과를 낮추는 것은 물론, 간 수치 증가와 같은 악영향을 더하는 사례로 이어지기도 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상지질혈증 치료를 기피하며 약 대신 건기식을 선택하고, 결국 간 수치 상승 등 부작용을 안은 채 진료실을 다시 찾

[기획] "유튜브에서 먹지 말래"…'스타틴'은 어쩌다 독약이 됐나

[기획] "유튜브에서 먹지 말래"…'스타틴'은 어쩌다 독약이 됐나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급성심근경색으로 실려온 환자에게 왜 약을 먹지 않았냐 물어보면 '유튜브 보고 안 먹었다'고 한다.", "노골적으로 말하자면 악질적이고, 사회적 해악으로 보면 범죄자만큼 나쁘다고 본다." 진료현장에서 심장혈관질환자를 보는 순환기내과 전문의들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심혈관 질환 예방이 필요한 환자에겐 이의가 없는 수준으로 이득이 입증된 '스타틴'이 유튜브를 통해 독약으로 변질되면서다. 개원가부터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까지 순환기내과 전문의들은 어느날부터 스타틴을 꺼려하는 환자를 마주하고 있지만, 정작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