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추가 모집 진행돼도…의료현장 "복귀는 소수에 그칠 듯"

"복귀할 인원은 이미 돌아왔다" VS "점진적 복귀 흐름 형성될 수도"…현장반응 엇갈려
복지부, 사직전공의 복귀의사 있다면 복귀 방안 적극 검토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5-09 05:58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정부가 복귀를 원하는 전공의를 위해 이달 중 전공의 추가 모집을 검토하고 있지만 의료 현장에선 미복귀 사직 전공의 복귀 비율은 소수에 머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제도적 변화나 정치적 변수에 따라 점진적인 복귀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는 신중한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8일 보건복지부와 관련업계 의견을 종합해 보면, 보건복지부는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가 확인될 경우 이달 중이라도 복귀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각종 커뮤니티와 채팅방 등을 통해 '5월 복귀'와 관련한 사직 전공의들의 수요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4일 채팅방을 통해 진행된 전공의 복귀 관련 설문조사에선 사직 전공의 약 100명이 참여해 80%가 '5월 추가 모집 시 수련병원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전공의 복귀 움직임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이미 복귀할 인원은 대부분 돌아왔으며 남은 전공의들은 복귀 의사가 없거나 여건상 어려운 상황이라는 현실적 진단도 나오고 있다. 복귀 수요조사 역시 전체 분위기를 대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A상급종합병원의 한 교수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까지 복귀한 전공의들을 보면 돌아오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있던 이들은 이미 대부분 복귀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있다"며 "아직까지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 중 상당수는 다른 병원에 취직을 했거나 군 입대를 한 경우가 많다. 실제로 제가 속한 외과만 보더라도 전체 전공의 중 절반가량이 군 복무를 위해 입대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사직 전공의 B씨 역시 복귀 움직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B씨는 "복귀를 고민하던 전공의들은 대부분 수련병원으로 복귀한 상황으로 보인다"며 "최근 채팅방 등을 통해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가 언론을 통해 알려졌지만 이는 극히 일부 전공의들의 의견일 뿐 전체 사직 전공의들의 생각이나 분위기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짚었다.

이에 현재의 전공의 미복귀 상황이 단기간에 크게 반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복귀하지 않은 사직 전공의들은 아직까지 대다수의 동료들이 복귀하지 않은 상황에서 개인적으로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기존의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며 "결국 복귀 여부는 개인의 판단을 넘어 집단 내 분위기와 상호 간의 연대감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정부의 추가모집 또는 상시모집 전환과 같은 제도적 변화가 이뤄질 경우 복귀 흐름이 살아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아울러 정치적 환경 변화에 따라 전공의 복귀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B사직전공의는 "정부가 이달 중 전공의 추가모집을 시사한 상황이지만 상시모집 형태로 전환될 여지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러한 제도적 변화가 현실화될 경우 일부 전공의를 시작으로 점진적인 복귀가 이어지고 이러한 흐름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정치권의 관심이나 사회적 논의 방향에 따라 전공의 복귀 흐름이 지금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여지 또한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올해 전공의 모집, 사직전공의 2.2% 지원…2월 추가모집 예정

올해 전공의 모집, 사직전공의 2.2% 지원…2월 추가모집 예정

보건복지부는 레지던트 사직전공의 등의 모집 지원 현황을 20일 발표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15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 원서접수 결과 지난해 3월 기준 임용대상자로서 사직(임용포기)한 레지던트 1~4년차 9220명 중 199명(2.2%)이 이번 사직전공의 모집에 지원했다. 지원자 199명 중 의무사관후보생(입영특례 적용 대상)은 98명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135명(사직(임용포기)자 5,913명 대비 2.3%)이 지원했으며, 비수도권에서는 64명(사직(임용포기)자 3,307명 대비 1.9%)이 지원했다. 인턴 수료(예정)자 등

"사직전공의 경제적 부담 덜자"…의협, 연회비 면제 추진

"사직전공의 경제적 부담 덜자"…의협, 연회비 면제 추진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사직전공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 사업 일환으로 대한의사협회 연회비 면제가 추진된다. 27일 의협에 따르면, 이날 대의원회는 공고를 통해 대의원총회 서면결의를 실시할 것이라고 공지했다. 이번 서면결의 안건은 올해 전공의 연회비 면제 사업 추진 여부다. 재적대의원 과반수 참여와 참여대의원 과반수 찬성이 이뤄지면 의결된다. 사직 전공의 사정을 고려해 회비를 면제하자는 제안은 이미 지난 5월부터 나왔다. 사직서를 내고 투쟁 중인 전공의들은 당시 의업에 종사하고 있지 못한 데다 급여도 받지 못하고 있

PA 법제화 바라보는 사직전공의…"교육받을 권리 확보 기회"

PA 법제화 바라보는 사직전공의…"교육받을 권리 확보 기회"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료대란 이후 간호법 제정으로 PA(진료지원간호사) 법제화가 급물살을 타 업무범위 설정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전공의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PA로 인한 교육환경 훼손 우려는 법제화 이전부터 있었던 만큼, 전공의 목소리가 크게 다가오는 지금을 '교육받을 권리'를 주장할 적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재영 서울대병원 사직전공의는 최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계간의료정책포럼' 기고를 통해 사직전공의로서 PA 법제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공유했다. 장 사직전공의는 의료대란 이후 P

사직전공의 절반 가까이 의료기관 재취업…의원급 56.9% '최다'

사직전공의 절반 가까이 의료기관 재취업…의원급 56.9% '최다'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사직한 전공의 절반 가량이 재취업해 의사로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직 또는 임용포기 레지던트 9163명 중 44.9%에 해당하는 4111명이 취업해 활동 중이다. 종별로 보면, 의원 취업비중이 56.9%(2341명)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로 병원 25.5%(1050명), 종합병원 15.8%(648명), 상급종합병원 1.8%(72명) 순으로 나타났다. 사직 레지던트 중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근무자는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