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올해도 2조 매출 돌파‥원료 수출 · 렉라자 기술료 뒷받침

약품, 생활건강 등 주요 사업 부문서 고른 성장 기대
해외 사업 실적, 주요 사업 가운데 매출 증가율 가장 커
자회사 유한화학서 생산한 원료 공급 증가했기 때문
렉라자 마일스톤 기술료, 유럽 등 출시로 지속적 유입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7-31 11:19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이 해외 사업 호조와 렉라자 영역 확장에 힘입어 2년 연속 매출액 2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원료 수출 확대는 해외 사업 실적 증가로 이어지고, 유럽 등 렉라자 출시로 마일스톤 기술료가 들어올 예정이다.

3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 올해 예상 매출액(별도 재무제표)은 2조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모든 증권사는 유한양행이 지난해 국내 제약사 가운데 처음으로 매출액 2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실적을 전년 대비 늘린다고 보고 있다.

이런 전망이 나온 이유는 주요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이 나타날 것으로 보여서다. 증권업계에선 약품 사업을 비롯해 생활건강 사업, 해외 사업 등 올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증가한다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특히 해외 사업 실적 상승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증권사 다수는 이 회사 해외 사업 매출액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이상 늘어날 것이라며, 주요 사업 부문 가운데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한양행이 지난 30일 발표한 실적은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이 회사 올해 2분기 해외 사업 매출액은 1148억원으로 전년 동기 971억원 대비 18.1%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약품 사업 실적 증가율 9.7%보다 높다.

이 회사는 올해 1분기에도 해외 사업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올해 1분기 해외 사업 실적은 874억원으로, 전년 동기 741억원 대비 17.9%가량 증가했다. 17.9%는 약품 및 생활건강 사업 매출액 증가율 대비 높다.

해외 사업 실적이 증가한 이유는 에이즈 치료제 중간체 등 수출액이 늘었기 때문이다. 유한양행은 자회사 유한화학에서 생산한 원료를 해외에 공급하는 중이다. 최근 유한화학은 공장을 증설하고 다른 제약 업체와 원료 공급 계약을 이어가고 있다.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레이저티닙메실산염일수화물)' 마일스톤 기술료는 원료 수출과 더불어 유한양행 올해 실적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국내 제약사 최초로 FDA 허가를 받은 국산 신약이다.

증권업계는 유한양행이 올해 3분기에 렉라자 유럽 출시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3000만달러)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렉라자와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 요법을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승인해서다.

이에 앞서 유한양행은 올해 2분기에 일본 내 렉라자 출시로 마일스톤 기술료 1500만달러를 수령한 바 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을 진행성 또는 재발성 절제 불가능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승인했다.

관련기사보기

유한양행, 2분기 영업익 456억…전년比 190.1%↑

유한양행, 2분기 영업익 456억…전년比 190.1%↑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유한양행은 별도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56억원으로 전년 동기 157억원 대비 190.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562억원으로 전년 동기 5146억원 대비 8.1% 늘어났고, 당기순이익도 390억원으로 전년 동기 245억원 대비 59% 증가했다. 상반기 누적으로는 매출액 1조256억원, 영업이익 543억원, 당기순이익 783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2%, 148.1%, 28.6% 증가한 수치다.

유한양행, 2Q 성장 지속…레이저티닙 로열티·API 수출 확대

유한양행, 2Q 성장 지속…레이저티닙 로열티·API 수출 확대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유한양행이 올해 2분기 고마진 사업 부문인 기술수출 및 원료의약품(API) 수출 확대에 힘입어 뚜렷한 수익성 개선을 이뤄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의 일본 출시 마일스톤과 미국 로열티 수익 반영이 실적 반등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SK증권은 지난 9일 보고서를 통해 유한양행이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5814억원, 영업이익 4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0%, 115.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매출은 시장 컨센서스(5988억원) 대비 소폭 하회하

유한양행, 렉라자 글로벌 진출 속도…레시게르셉트 L/O도 추진

유한양행, 렉라자 글로벌 진출 속도…레시게르셉트 L/O도 추진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유한양행이 자사 개발 폐암 신약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제 시장 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동시에, 알러지 치료제 후보인 '레시게르셉트(YY-421)'의 기술이전 가능성이 부각되며 조기 수익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23일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렉라자와 얀센의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은 마리포사(MARIPOSA) 임상 3상에서 경쟁약인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대비 전체 생존기간(Overall Survival

유한화학, 유한양행 API 생산기지…매출↑·인프라 투자 지속

유한화학, 유한양행 API 생산기지…매출↑·인프라 투자 지속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 자회사 유한화학이 모회사 원료의약품(API) 공급을 돕고 있다. 유한화학은 매출 성장세를 확인하며, 생산 인프라 투자를 이어가는 중이다. 20일 유한양행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미국 제약업체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치료제 생산에 쓰이는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같은 날 맺었다고 밝혔다. 계약 금액은 지난 19일 최초 고시 환율 기준 8089만달러(약 1077억원)로, 지난해 유한양행 연결 기준 매출액 1조8590억원 대비 약

OS 입증에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매출 급상승

OS 입증에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매출 급상승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의 글로벌 매출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뛰어난 치료 성적을 거두며, 임상 현장 활용도가 높아진 덕분으로 추정된다. 존슨앤드존슨(J&J)은 지난 3월 유럽폐암학술대회(ELCC 2025)를 통해 MARIPOSA 연구를 통해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이 타그리소 단독요법보다 1년 이상 생존기간(OS) 연장 입증한 바 있다. 16일(현지시간) J&J은 2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라즈클루즈(렉라자 글로벌 제품명)'+'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의 올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