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에크노글루타이드' 당뇨병 적응증 확장 시도

2형 당뇨병 환자 대상 에크노글루타이드 임상 3상 승인 
中 사이윈드 통해 에크노글루타이드 국내 개발·상업화 권리 확보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8-05 11:57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인 HK이노엔이 적응증 확장을 시도한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IN-B00009(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임상 3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

이번에는 당뇨병 치료제로의 가능성 모색이다. 임상시험은 식이요법과 운동만으로 혈당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IN-B00009 또는 위약을 주 1회 피하주사로 투여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다. 

시험은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군, 제3상 가교 임상으로 설계됐다.

IN-B00009는 HK이노엔이 지난해 중국 바이오기업 사이윈드 바이오사이언스(SCIWIND BIOSCIENCES CO., LTD.)에서 도입한 물질이다. HK이노엔은 해당 물질의 국내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했다. 

이에 HK이노엔은 지난 5월 성인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를 대상으로 에크노글루타이드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국내 임상 3상 시험 승인을 받아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이를 통해 국내 허가를 위한 최종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앞서 에크노글루타이드는 주와 뉴질랜드에서 비만 환자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2상에서 26주 투여 시 안전성 및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중국에서 진행된 현지 비만 환자 대상 임상 3상에서도 위약 대비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비만에서 유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한 만큼, 당뇨병에서도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할 확률이 높다. 

GLP-1 수용체 작용제가 본래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혈당을 조절하는 당뇨병 치료제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대표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위고비 STEP2 연구결과에 따르면, 위고비2.4mg은 2형 당뇨병 환자에서 68주간 사용 시 당화혈색소를 평균 1.6% 감소시켰다. 
 

관련기사보기

HK이노엔, 2분기 영업익 195억…전년比 19.8%↓

HK이노엔, 2분기 영업익 195억…전년比 19.8%↓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HK이노엔은 개별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95억원으로 전년 동기 243억원 대비 19.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631억원으로 전년 동기 2193억원 대비 2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20억원으로 전년 동기 174억원 대비 30.9% 줄었다. 올해 상반기 누계 실적은 매출액 5105억원, 영업이익 449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2%, 7.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95억원으로 전년 동기 279억원 대비 5.6

HK이노엔, GLP-1계열 비만 치료제 국내 임상 3상 승인

HK이노엔, GLP-1계열 비만 치료제 국내 임상 3상 승인

HK이노엔이 비만 치료제 임상 3상에 본격 진입한다. HK이노엔은 지난 7일자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IN-B00009(성분명: 에크노글루타이드)'의 국내 임상 3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 이번 3상 임상시험은 당뇨병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IN-B00009 또는 위약을 주 1회 피하주사로 투여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다. 본 시험은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군 방식으로 설계됐으며

HK이노엔, '케이캡' 美 임상 3상 성공…경쟁사 특허 변수 부상

HK이노엔, '케이캡' 美 임상 3상 성공…경쟁사 특허 변수 부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tegoprazan)'이 미국 임상 3상에서 두 적응증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확보하며 시장 진출의 문턱을 넘었지만, 경쟁사 특허 이슈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케이캡은 HK이노엔이 개발한 P-CAB 계열 신약으로, 미란성 식도염(EE)과 비미란성 식도염(NERD)에 대해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파마(Sebela Pharma)가 임상 3상(TRIUMpH)을 진행했다. 해당 시험은 위약 및 기존 PPI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발표됐다.

'케이캡' 제네릭 속속 등장…HK이노엔, '특허·차별화' 자신감

'케이캡' 제네릭 속속 등장…HK이노엔, '특허·차별화' 자신감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제제 국산 신약 맏형인 '케이캡'이 제네릭 도전에도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시장 확대와 경쟁 가열이 동시에 이뤄지더라도 오리지널리티를 바탕으로 차별화가 가능할 것이란 시각이다. 1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위더스제약 '위더캡정50mg'이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위더캡정은 '테고프라잔고체분산체' 성분 제제를 사용한 HK이노엔 케이캡 제네릭 제품이다. 앞서 지난 4월엔 경동제약이 '테고잔정' 50mg과 25mg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이처럼 케이캡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