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 치료 접근성 높인 식약처 GIFT…허가 속도↑ 지속

2022년 9월부터 3년간 GIFT로 39개 품목 허가…23개 성분
39개 中 희귀질환 치료제 58.97%…허가 심사 기간 단축
39개 품목 허가하는 심사 기간, 평균 70일로 나타나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으로 뽑혀 급여 등재 기간↓
올해 15개 품목,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대상으로 선정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9-03 06:00

박재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속심사과 과장. 사진=문근영 기자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지난 3년간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 수십 개가 식품의약품안전처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GIFT)'를 거쳐 국내 허가 목록에 오르며, 중증·희귀질환 치료제 등 품목에 대한 환자 접근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속적으로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 공중보건 위기 대응 의약품 등 GIFT 품목에 대한 허가 심사 속도를 높이며 환자 치료 기회가 커질 수 있게 힘쓸 예정이다.

2일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 취재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 9월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를 구축한 후 지난 7월까지 GIFT를 통해 39개 품목(23개 성분)을 허가했다. 

GIFT는 식약처가 중대한 질환 또는 희귀질환 치료제,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 등 글로벌 혁신 의약품을 우선심사 대상 품목으로 선정하고, 기업이 해당 품목을 신속하게 시장에 출시하고 환자에게 공급하도록 심사 기간 단축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식약처가 지난 3년 동안 GIFT로 허가한 39개 품목은 중증질환 치료제 10개, 희귀질환 치료제 23개,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 5개, 공중보건 위기 대응 백신 1개로 나뉜다. 

비율로 나타내면 중증질환 치료제 25.64%, 희귀질환 치료제 58.97%,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 12.82%, 공중보건 위기 대응 백신 2.56% 등이다.

이와 관련, 박재현 식약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속심사과 과장은 전문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제약기업이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 지정 관련 신청서를 정부에 제출하면 보완 작업을 거쳐 주성분, 효능·효과 등을 기재한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 지정서'를 발급하고, 허가 신청 시 해당 자료를 제출하면 심사 기간을 단축하는 방식으로 운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39개 품목을 대상으로 허가 심사를 진행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70일(근무일 기준)로 나타났다"며 "허가 심사가 예상보다 늦어진 1개 품목을 제외하면, 23개 품목 허가 심사를 70일 이내 끝냈고 나머지 15개 품목을 허가하는 데 걸린 기간도 90일이 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가 진행하는 의약품 허가 심사 법정 처리일은 근무일 기준으로 120일이다.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 도입 및 운영으로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을 허가하는 데 걸린 기간은 120일보다 짧다.

특히 식약처가 허가한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 39개 품목 가운데 18개는 치료제가 존재하지 않는 중증·희귀질환에 쓰이는 품목이다. 정부는 허가 심사 기간을 단축해 국내에서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는 날짜를 앞당겼다. 

또한 GIFT 품목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을 통해 약가 협상 속도가 높아졌으며, 약가 우대를 받았다.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은 중증·희귀질환 치료제 등 의약품을 대상으로 식약처 허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가 평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약가 협상을 동시에 진행하는 사업이다.

박 과장은 이에 대해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 대상 5개 품목 가운데 3개가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를 거쳤다"면서 "이 가운데 소아·신경모세포종 치료에 쓰이는 1개 품목은 허가 후 약가를 받는 데 6개월이 걸렸다"고 부연했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혁신 신약이 허가 후 급여 목록에 오르는 데 걸리는 평균 기간은 1년이 넘는다.

이어 그는 "GIFT 품목 중에서 혁신형 제약기업 개발 신약은 복지부 고시 개정에 따라 약가 평가에서 우대를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 3월 복지부는 관련 내용을 담은 '약제의 결정 및 조정 기준' 고시를 개정한 바 있다.

아울러 식약처는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환자가 치료할 수 있는 길을 넓히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중증·희귀질환 치료제 등 15개 의약품이 GIFT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박 과장은 "2022년 규제혁신 1.0 대표과제인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체계 도입으로 희귀의약품을 신속하게 심사해 중증·희귀질환 치료제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확대하는 데 힘썼다"며 "앞으로도 환자에 필요한 의약품을 빠르게 도입할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빌베이' 약평위 통과…GIFT·허가평가협상 시범사업 결실

'빌베이' 약평위 통과…GIFT·허가평가협상 시범사업 결실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 정체증(PFIC) 환자의 소양증 치료체 '빌베이캡슐 200,400,600,1200㎍(오데빅시바트1.5수화물)'이 허가심사 단축 제도를 통해 한층 빠르게 결실을 이루게 됐다. 빌베이는 10일 제7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 결과에서 급여 적정성을 인정받았다. 입센코리아 관계자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빌베이 약평위 통과는 그동안 치료제가 없었던 담즙정체성 희귀 간 질환 분야에서 한 획을 그은, 매우 뜻깊은 모멘텀"이라고 의의를 밝혔다. 이어 "품목허가 신청 이후 약 1년

신약 접근성 바꾸는 '허가·평가·협상'‥'폐동맥 고혈압' 희소식

신약 접근성 바꾸는 '허가·평가·협상'‥'폐동맥 고혈압' 희소식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환자 10명 중 3명이 5년 안에 사망하는 희귀난치성 질환 '폐동맥고혈압'. 국내 약 3600명의 환자들은 기존 치료제로는 증상 완화 외 뚜렷한 대안을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20년 만에 등장한 신기전 치료제가 정부의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에 선정되면서, 접근성에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허가·평가·협상 병행 시범사업'은 생존을 위협하는 중증·희귀질환 치료제의 건강보험 등재를 앞당기기 위한 정책 실험이다. 보건복지부는 2023년부터 이 제도를

식약처, 희귀약 임상 등 지원…제품화 속도↑·GIFT 강화

식약처, 희귀약 임상 등 지원…제품화 속도↑·GIFT 강화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품화 가능성과 사회적 시급성이 높은 희귀·난치성 치료제 등 품목이 허가 단계에 진입하도록 돕는다. 아울러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GIFT)와 연계해 품목 허가 속도를 높이고, 관련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18일 식약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만나 희귀·난치성·중증 질환 치료제, 혁신의료기기 등 제품 20개를 선정할 것이라며, 해당 제품에 담당자를 배정해 허가 단계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고

식약처, 의약품 등 제품화 지원 강화…GIFT 체계도 개선

식약처, 의약품 등 제품화 지원 강화…GIFT 체계도 개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규제지원 서비스를 강화해 의약품, 의료기기 등 제품화를 도울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GIFT)를 보완하고 환자, 제약업체 등 맞춤형 체계를 구축한다. 13일 식약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 김희성 사전상담과장은 서울시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년 신기술·신개념 글로벌 의약품 개발·제품화 지원 간담회'에 참석해 업무 추진방향을 설명하며, 지난해와 비교 시 달라진 점에 관해 설명했다. 그가 언급한 변화는 '식품·의

오유경 식약처장 "규제혁신 멈추지 않을 것…국민안전 최우선"

오유경 식약처장 "규제혁신 멈추지 않을 것…국민안전 최우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내년에 '규제혁신'을 이어갈 계획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지난 규제혁신 성과를 짚으며,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낡은 규제를 새롭고 견고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장수 식약처장으로 등극한 오유경 처장은 3일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내년 업무계획을 세울 때, 규제혁신 4.0 추진을 염두하고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규제혁신은 환경 변화에 맞춰 국민의 안전 울타리를 좀 더 새롭고 견고하게 지키는 것"이라며 "매년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규제혁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