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바이오 특허 경쟁 승리"…韓, 전략적 IP 확보 절실

美 특허 유지료 개편 시 연 27억달러 부담 전망…특허 전쟁 심화
바이오시밀러·신흥기술 기업, 특허 회피·FTO 전략 강화 필요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04 12:01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9월 4일 '지식재산의 날'을 맞아 바이오산업의 지식재산권(IP) 경쟁력이 화두로 떠올랐다. 지식재산은 신약개발과 산업화의 핵심 자산이지만, 최근 국내 바이오 특허 출원 감소와 글로벌 특허 환경의 급변이 맞물리면서 특허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4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3년 주요국 특허 출원 현황에서 세계 4위(24만3310건)를 기록하며 '산업재산 강국' 위상을 입증했다. 그러나 바이오 분야만 놓고 보면 정반대다. 국내 바이오 특허 출원은 2014년 3357건에서 2023년 1717건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으며, 등록 특허도 같은 기간 2759건에서 2523건으로 줄었다. 협회는 경기 침체와 투자 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업계는 ▲출원 결과 확인까지 걸리는 시간 ▲특허 소송 리스크 ▲높은 비용 부담 등 삼중고에 직면해 있다. 특히 특허협력조약(PCT) 제도로 인해 출원 후 18개월간 기술 정보가 비공개되면서, 경쟁사의 유사 특허를 뒤늦게 확인하고 소송에 휘말리는 사례가 잦다.

여기에 미국은 기존 '정액제' 유지료를 '특허 건당 요율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협회는 한국 기업이 미국에서 보유한 특허 유지 비용이 현재 연 2억7000만달러 수준에서 최대 27억달러까지 10배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IP 확보는 필수이지만, 비용 부담이 급격히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특허 만료를 앞둔 오리지널 제약사들의 에버그리닝 전략,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의 치열한 소송전은 국내 기업에 또 다른 과제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은 글로벌 진출을 위해 특허 무력화 및 소송 대응이 불가피하다"며 "오가노이드, 바이오소부장 등 신흥 기업 역시 FTO(Freedom to Operate) 분석과 회피 전략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궁극적으로 바이오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강력한 특허 포트폴리오 확보가 관건이다. 로슈, 노바티스, 머크,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IP를 기반으로 성장한 것처럼, 국내 기업들도 원천기술 중심의 전략적 특허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협회는 "정부의 특허 패스트트랙과 전담 심사조직 출범이 기업 성과로 이어지려면, 산업계가 글로벌 협력과 지식재산 관리 역량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보기

인도, 해외의존 줄이기 위해 16개 바이오제조 허브 설립

인도, 해외의존 줄이기 위해 16개 바이오제조 허브 설립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인도가 의약품·바이오소재 등 핵심 생명과학 분야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대규모 바이오제조 허브 구축에 나섰다. 1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지난 8월 31일, 국가 바이오기술 정책 ‘BioE3(Biotechnology for Economy, Environment and Employment)’의 일환으로 전국에 16개의 바이오제조 허브를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출범한 BioE3 정책은 바이오기술을 인도 경제의 성장축으로 삼

中, 상반기 혁신신약 승인 '급증'…美, 예산삭감 여파 감소세

中, 상반기 혁신신약 승인 '급증'…美, 예산삭감 여파 감소세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세계 주요국의 신약 허가 동향에서 중국은 급격한 증가세를, 미국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며 대조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중국은 국가 차원의 제도 개선과 우선심사 정책 확대를 통해 승인 신약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미국은 정부 예산삭감과 규제기관 구조조정 여파로 신약 허가 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이 승인한 혁신신약은 총 43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한 수치이며, 지난해 전

NIH 예산 40% 삭감 · FDA 심사지연…美 신약개발 '경고등'

NIH 예산 40% 삭감 · FDA 심사지연…美 신약개발 '경고등'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정부의 보건예산 축소 방침이 현실화되면서, 향후 글로벌 신약개발 생태계에 적잖은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연구개발의 핵심 축인 NIH(미국국립보건원) 예산 삭감과 FDA의 신약 허가 지연이 맞물리며, 미국 내 신약 승인 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22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미국 의회예산처(CBO)는 지난 18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추진 중인 보건당국 예산 삭감이 신약개발 전반에 중장기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EU, 생명과학 '글로벌 리더' 선언…2030년까지 연 100억유로 투입

EU, 생명과학 '글로벌 리더' 선언…2030년까지 연 100억유로 투입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유럽연합(EU)이 생명과학 분야의 글로벌 리더 국가로 재도약하기 위한 야심찬 전략을 발표했다. 생명과학이 헬스케어·식품·지속가능 산업 전반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력을 고려해 연간 100억 유로 이상의 투자를 지속하며, 혁신 가속화·시장 진입 장벽 완화·신기술에 대한 신뢰 확보 등 3대 분야를 중점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7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2일, '2030 생명과학 전략'을 통해 향후 6년간 유럽을 글로벌

中, '혁신 신약 르네상스' 드라이브…고가약 수익화 지원

中, '혁신 신약 르네상스' 드라이브…고가약 수익화 지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중국 정부가 고가 혁신 신약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및 투자 활성화를 골자로 한 신약 연구개발 지원 정책을 발표하면서, 바이오제약 산업의 체질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2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중국 국가의료보장국(NHSA)과 국가위생건강위원회(NHC)는 지난 1일, 국무원의 승인을 거쳐 ‘혁신 약물의 고품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를 공동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의료보험 데이터 개방 ▲상업건강보험을 통한 장기 투자 유도 ▲혁신 신약 전용 보험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