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정병창 회장, 박성우 부회장, 고영휘 편집위원장. 사진=박으뜸 기자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고령층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전립선암'을 두고 대한비뇨기종양학회가 'PSA(전립선특이항원)' 검사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조기 진단이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만큼 국가 차원의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16일 열린 대한비뇨기종양학회 기자간담회에서 정병창 회장(삼성서울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PSA 검사를 통해 조기검진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학회가 PSA 검사를 전면에 내세운 이유는 통계에서 확인된다. 중앙암등록본부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전립선암 신규 환자는 2만754명으로 전체 암 발생의 7.4%를 차지했다. 남성암 발생 순위는 2021년 4위에서 불과 1년 만에 2위로 뛰어올랐다. 그 중 65세 이상 조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16.1명에 달해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한국에서 전립선암 부담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국내 전립선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96%지만, 이는 조기 발견 비중이 높아서 가능한 수치다. 국소 단계에서 발견될 경우 생존율은 100%지만, 원격 전이 단계에서는 49.6%로 절반 이하로 떨어진다.
박성우 부회장(양산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전립선암은 조기 발견 시 완치가 가능하지만 전이되면 치료 성과가 급격히 나빠진다"며 "조기 진단이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라고 설명했다.
여성은 유방암·자궁경부암 국가검진 제도를 통해 조기 발견 기회를 얻지만, 남성에게는 해당 제도가 없어 전립선암은 관리 체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더욱이 국내 전립선암 환자 중 절반 이상이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2010~2020년 등록된 약 7만 1천 명을 분석한 결과 50% 이상이 고위험군으로 분류됐고, 이는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다. 평균 진단 연령은 71세로 60대 이상이 90% 이상을 차지했으며, 75세 이상 환자가 3분의 1에 달해 상당수가 이미 고령 상태에서 진단된다.
전립선암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환자 스스로 인지하기 어렵고 진단이 늦어지기 쉽다. 따라서 조기 진단을 위해 PSA 검사가 핵심적이다. PSA는 전립선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암세포가 늘어나면 혈중 수치가 상승한다. 간단한 혈액검사로 진행돼 환자 부담이 적고 접근성이 높아 정기검진에 포함된다면 관리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전립선암은 PSA 수치, Gleason 등급, 병기에 따라 저위험군(PSA ≤10, Gleason ≤6, 병기 T1-T2a), 중간위험군(PSA >10-≤20, Gleason 7, 병기 T2b), 고위험군(PSA >20, Gleason 8~10, 병기 ≥T2c)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진다. 학회는 PSA 검사가 단순한 조기 진단을 넘어 환자의 위험군을 빠르게 확인해 과잉치료를 줄이고 맞춤형 전략을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고영휘 편집위원장(이대비뇨기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은 "전립선암은 조기 진단 여부에 따라 치료 성과와 생존율이 극명하게 갈린다. PSA 검사는 간단하면서도 정확도가 높은 혈액검사로,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국가 검진 프로그램에 포함해 모든 남성이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회는 조기 진단이 곧 생존 가능성을 늘린다고 분명히 했다. 전립선암 치료가 수술·호르몬치료 중심에서 벗어나 환자의 유전적 특성과 병기, 위험도를 반영하는 정밀의학 시대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유전자 표적치료제(PARP 억제제), 방사성 리간드 치료(PSMA RLT), 면역항암제 등 혁신적 치료법이 도입돼 선택지가 확대됐다.
특히 주목받는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으로, PSMA-PET 검사로 암세포 위치를 확인한 뒤 방사성 동위원소를 결합해 치료까지 이어간다. 해당 치료 옵션은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진행성 환자에게 생존 기간 연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박 부회장은 "전립선암 치료는 이제 환자 개별 특성을 반영하는 맞춤형 정밀의학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다만 첨단 치료는 경제적 부담과 지역 접근성 격차가 여전해 신약 급여 확대와 유전자 패널검사 지원 같은 제도적 보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