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엽추출물 급여취소 이의신청 오늘 종료…업계, 막판 심혈

19일 급여적정성 재평가 이의신청서 심평원 제출 
급여 유지 근거 마련 위해 일부 자료 보완하기도 
의료 현장도 급여 삭제 우려…"공급중단·약제비용↑"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9-19 05:59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애엽추출물 제제 건강보험 급여 유지를 위해 제약업계가 막판까지 심혈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정한 이의신청서 제출 마감일까지도 관련 근거 자료를 추가 보완하면서다. 이에 제약업계는 내달 열릴 약제급여평가위원회 급여적정성 재심의에서 유지 결론을 받아내겠다는 각오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애엽추출물 제제 보유 제약사들은 오늘(19일) 심평원에 ‘2025년 건강보험약제 급여적정성 재평가 심의 결과’ 이의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법적 마감일은 오는 20일까지지만, 하루 먼저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관련 규정에 따르면 제약사는 약평위 결과통보 후 30일 이내 이의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는데, 20일은 휴무일이기 때문이다. 

앞서 각 제약사들은 급여적정성 재평가 심의 결과를 8월 21일 일괄 통보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만큼 제출 막판까지 급여 유지 논리 마련에 고심했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제출 기한까지 급여 유지 논리 마련에 고심했다"면서 "다만 재심사 결과는 나와 봐야지만 알 것"이라고 말했다.

애엽추출물 제제 최근 3년 평균 급여 청구액은 1215억원으로 큰 시장인데다, 천연물의약품 특성상 외국 임상근거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또 생약제제다 보니 약리활성 작용에 변수가 많다는 점도 업계로선 근거 마련에 애로사항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제약사들은 이의신청을 통해 ▲리얼월드데이터(Real-World Data, RWD) 일부 자료 ▲합성의약품과 다른 평가 기준 등을 보완·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의료 현장에서는 애엽추출물 제제가 급여 삭제된다면, 자칫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남는 대체제가 레바미피드 제제 하나여서 불순물 또는 원료 공급 차질 문제로 이어질 때, 사용 가능한 약이 사라진다는 이유에서다.

또 진통제 병용요법 때 위점막 보호 용도로 애엽추출물 제제를 사용해왔는데, PPI나 P-CAB 제제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아 약제비가 증가하는 '풍선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이다. 

애엽추출물 제제 60mg의 보험상한금액은 111원이지만, PPI 제제인 에스오메프라졸20mg의 보험상한금액은 721원이다. 반면 P-CAB 제제인 케이캡50mg의 보험상한금액은 1300원으로 더욱 비싸다. 

A내과 개원의는 "(애엽추출물 제제는) 20년 가량 내과는 물론 다른 과에서도 폭넓게 급여로 잘 썼고, 환자도 익숙한 약이다. 안전성에서도 신뢰가 있던 약"이라며 "대체제가 없는 건 아니지만, 공급 불안정 이슈나 약제비 증가에 노출될 수 있다. 또 그동안 약을 잘 쓰고 선호하던 환자와 의료진 사이 신뢰 형성에 있어서도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B내과 개원의도 "PPI 제제로 대체하는 건 사실상 다음 단계 약을 앞당겨 쓰는 것"이라며 "비용절감 효과 측면에선 역행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달 7일 열린 제8차 약평위에선 임상적 유용성 근거 없음을 이유로 애엽추출물 제제에 대한 급여 적정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관련기사보기

'애엽추출물' 급여 위기, 의료계도 우려…정책방향성 의문

'애엽추출물' 급여 위기, 의료계도 우려…정책방향성 의문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애엽추출물 제제가 건강보험 급여 퇴출 위기에 놓이자 의료계에서도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애엽추출물 제제가 급여에서 퇴출될 경우 대체 선택지가 하나밖에 남지 않아 공급불안정 우려에 상시 노출되는 데다, 약제비도 풍선효과로 인해 확대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8일 의료계에선 제8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 심의 결과 애엽추출물 제제가 '급여 적정성 없음' 평가를 받은 데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의료계에 따르면 애엽추출물 제제 급여 퇴출이 가져올 수 있는 의료현장 우려는 지난 7일 약평위 회의에서부

천연물신약 재평가 희비‥'위령선·괄루근·하고초' 통과, '애엽' 탈락

천연물신약 재평가 희비‥'위령선·괄루근·하고초' 통과, '애엽' 탈락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제약업계의 관심을 모았던 천연물신약 급여 재평가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위령선·괄루근·하고초'는 급여 적정성을 인정받았지만, '애엽 추출물'은 탈락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25년 재평가 대상 성분은 ▲올로파타딘염산염 ▲위령선·괄루근·하고초 ▲베포타스틴 ▲구형흡착탄 ▲애엽추출물 ▲L-오르니틴-L-아스파르트산 ▲설글리코타이드 ▲케노데속시콜산-우르소데속시콜산삼수화물마그네슘염 등 총 8개다. 이 중 위령선·괄루근·하고초,

또 위기 맞은 천연물신약 '스티렌'…이번에는 헤쳐나갈까

또 위기 맞은 천연물신약 '스티렌'…이번에는 헤쳐나갈까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스티렌(애엽추출물)' 급여 삭제 위기를 맞은 동아에스티가 이번에도 난관을 헤쳐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스티렌의 임상적 가치 재입증을 통한 급여 등재 목록의약품으로서 임상 현장 활용 여부다. 동아에스티는 스티렌이 국내 의료 현장에서 20년 이상 사용되며 그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제품인 만큼, 임상적 유용성을 입증해 나갈 계획이다. 동아에스티, 1호 신약으로 등장한 천연물 의약품 2014년 급여 제한·환수에도 굳건했지만… 지난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평가위원회는 올해 약

동아에스티, 위염치료제 '스티렌' 출시 20주년…45억 정 처방

동아에스티, 위염치료제 '스티렌' 출시 20주년…45억 정 처방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김민영)의 천연물 의약품 위염치료제 '스티렌정'이 출시 20주년을 맞이했다. 지난 2002년 12월 출시된 스티렌 정은 동아에스티 자체 기술로 개발한 천연물 의약품 위염치료제다. 급·만성 위염으로 인한 위점막 병변 개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투여로 인한 위염 예방에 효능·효과가 있으며, 대한민국 기술로 자체 개발된 유일한 오리지널 위점막보호제다. 스티렌 정은 우수한 효능·효과와 활발한 학술 활동을 바탕으로 지난 20년간 약 45억1,355만 정이 처방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