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불안정 의약품 해결책?‥"성분명 처방 아닌 '원내조제'가 답"

대한일반과개원의협의회, 25년 의약분업 한계 지적
"성분명 처방 강제는 실효성 의문, 의료기관 직접 조제가 효율적"
"선택분업 전환으로 환자 편의·보험 지속성 높여야"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9-19 16:35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수급불안정 의약품 문제 해결을 위해 의사에게 성분명 처방을 강제하기보다 의료기관 원내조제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국회에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수급불안정 의약품을 지정하고, 의사가 이들 의약품을 처방할 때 상품명이 아닌 성분명을 기재하도록 의무화하는 약사법 및 의료법 개정안이 제출됐다. 위반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이라는 처벌 조항도 담겼다.

대한일반과개원의협의회는 이를 "2000년 민주당 정부가 시행한 의약분업 원칙을 무너뜨리는 성분명 처방 강제"라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의사가 상품명으로 처방하더라도 약사가 성분명을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동일 상품이 없어도 합법적 대체조제를 거치면 조제가 가능하다"며 "수급불안정 의약품은 원재료 수급 차질이나 낮은 약가 탓에 생산이 중단된 경우가 많다. 정부가 근본 원인을 해결해야지, 성분명 처방으로 갑자기 없는 약이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진정한 국민 편의 방안으로 의료기관의 원내조제 허용을 제안했다. 환자에게 수급불안정 의약품이 필요할 때, 해당 의료기관이 미리 구비해 원내조제를 하면 환자가 처방전을 들고 약국을 전전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정부와 국회에 대해 "25년간 유지돼온 의약분업의 누적된 문제점을 되짚고, 이번 기회에 환자가 조제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분업' 전환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환자가 의료기관에서 조제를 받게 되면 성분명·상품명 논란도 사라지고 불필요한 조제료도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협의회는 "초고령 사회에서 의약분업을 전면 개혁해 환자 편의를 높이고 건강보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그 전 단계로 국회가 수급불안정 의약품 원내조제를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의결해 국민 불편을 줄이고 건강권을 지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보기

성분명 처방 법안 논란‥전라남도醫 "의약분업 폐지가 답"

성분명 처방 법안 논란‥전라남도醫 "의약분업 폐지가 답"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전라남도의사회가 최근 국회에서 발의된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이 대표 발의한 약사법 및 의료법 개정안은 수급 불안정 의약품에 대해 의사와 치과의사에게 성분명 처방을 강제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처벌 규정을 명시한 것이 핵심이다. 의사회는 이 법안이 단순한 행정 규제 차원을 넘어 의사의 전문성을 무시하고 처방권을 침해하며, 특히 고령 환자 안전을 치명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성분명 처방으로 인한 치료 실패는 의료비 증가라는 역설적 결

서울시醫,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에 큰 우려‥"즉각 철회"

서울시醫,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에 큰 우려‥"즉각 철회"

의료계가 '성분명 처방'을 강제하는 법안에 대해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15일 "성분명 처방 강제 법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밝혔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은 의사가 수급 불안정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처방전에 의약품의 명칭 대신 성분명을 기재하도록 의무화하기 위한 의료법·약사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개정안에는 성분명 처방을 하지 않은 의사를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의약분업 근간 흔드는 '성분명 처방'‥대개협 "법안 즉각 철회"

의약분업 근간 흔드는 '성분명 처방'‥대개협 "법안 즉각 철회"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개원의협의회가 성분명 처방 의무화 법안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장종태 의원은 지난 9월 2일 의약품 수급 불안정 문제 대응을 명분으로 '수급불안정 의약품 관리 기구 설치'와 '성분명 처방 의무화'를 담은 의료법 및 약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그러나 대한개원의협의회는 이 법안이 수급불안정 의약품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 채 대한민국 의약분업의 근간만 뒤흔들 수 있다며 강하게 반대 입장을 밝혔다. 대개협은 "법안은 수급불안을 해소한다는 명목 아래 성분명 처방을 의무화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