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물질 발굴 성공률 크게 높아진 점 AI의 가장 큰 가치"

PD-1 비반응 환자 타깃 'SJN301' 소개…비용 절감·기간 단축 성과
삼진제약 이수민 전무, 임상 설계에도 AI 적용…데이터 한계·규제 과제는 여전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9-24 11:30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개발센터 전무가 24일 KIC2025 'AI Applications Across the Drug Development Lifecycle' 세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최인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AI는 단순히 시간을 단축하는 도구가 아닙니다. 신약개발의 전략 자체를 바꾸고 있습니다."

삼진제약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신약개발의 효율과 성공 가능성을 동시에 끌어올린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24일 'KIC 2025' 일환으로 진행된 'AI Applications Across the Drug Development Lifecycle' 세션에서 삼진제약 연구개발센터 이수민 전무는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사례와 한계, 향후 전략을 소개했다.

이 전무는 "전통적 방식으로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데 평균 4~5년, 약 1조원이 소요됐지만 AI 활용 시 1~2년 내 절반 이하 비용으로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전무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실제로 발굴 기간을 2~3년 단축하고, 비용도 50% 이상 줄일 수 있었다. 그는 "무엇보다 발굴 성공률 자체가 크게 높아진 점이 AI의 가장 큰 가치"라고 덧붙였다.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개발센터 전무가 24일 KIC2025 'AI Applications Across the Drug Development Lifecycle' 세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최인환 기자

삼진제약은 AI를 이용해 발굴해낸 신약 후보물질 사례로 PD-1 억제제 비반응 환자를 겨냥한 'SJN301'을 공개했다. 이를 위해 회사는 트라이얼 인포메틱스, 인셀리브, 아산병원과 협력해 수천만 개 화합물을 가상 스크리닝했고, 2~3주 만에 300여 개 화합물을 추려 4개의 히트 화합물을 확보했다.

이 전무는 "실험만으로는 수년이 걸릴 과정을 AI로 단기간에 압축했다"며 "확보된 화합물은 약효, 독성, 약물동태까지 AI로 예측·최적화했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트윈과 QSP 모델로 종양 미세환경 반응, 병용 효과, 부작용 가능성까지 시뮬레이션했다"고 덧붙였다.

삼진제약은 AI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환자군 세분화, 바이오마커 최적화, 예상 반응률 설정 등 임상 프로토콜을 데이터 기반으로 설계했다. 이 전무는 "전문가 경험에 의존하던 임상 설계가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됐다"고 강조했다.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개발센터 전무. 사진=최인환 기자

발표에서는 한계도 지적됐다. 이 전무는 "AI가 최적화 단계에서는 아직 성능이 충분하지 않고, 퍼스트인클래스 타깃 발굴의 정확도도 제한적"이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양자컴퓨팅 기반 플랫폼 'Q-drug X'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삼진제약은 지금까지 국내외 15개 이상의 AI 기업과 약 30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전무는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며 경험을 축적해왔다"며 "AI 전문가뿐 아니라 화학·생물학·임상 전문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발표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그는 "현재 AI는 임상 데이터를 대체하기보다는 프로토콜 설계와 환자군 설정까지 활용되고 있다"며 "용량 설정과 코호트 구성 예측에는 도움을 받았지만, 허가 자료로 제출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정밀한 유전체·약물 반응 데이터 확보가 쉽지 않고 개인정보 보호와 비용 문제가 큰 장애"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AI 신약개발에 대한 인식 변화도 언급했다. 이 전무는 "2017년 시작 당시에는 불신이 컸지만, 성공률이 입증되면서 2020년 이후 인식이 크게 달라졌다”며 “지금은 국내 제약사 대부분이 자체 AI 팀을 운영할 정도로 AI는 필수 영역이 됐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보기

제약 오픈이노베이션 새 키워드…"협업·데이터·리포지셔닝"

제약 오픈이노베이션 새 키워드…"협업·데이터·리포지셔닝"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가 단순한 라이선스 계약을 넘어 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전략적으로 재정비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나아가 핵심 키워드로는 협업 모델의 다변화, 임상 데이터 기반의 가치 창출, 그리고 리포지셔닝 전략이 제시됐다. 23일 오후 서울 롯데호텔에서 'KIC 2025' 일환으로 진행된 'Beyond the Deal: Global Pharma's Open Collaboration Strategies and Insights' 세션에서는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지아이

"韓 임상시험, 항암 강점 넘어서…비종양 확장·규제 개선 시급"

"韓 임상시험, 항암 강점 넘어서…비종양 확장·규제 개선 시급"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한국 임상시험이 세계 6위권 승인 건수를 기록하며 글로벌 강국의 입지를 다졌지만, 항암제 중심 성과에 치중한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고령화와 만성질환 확산, 글로벌 신약 개발 트렌드 변화에 맞춰 비종양 영역 확대·환자 접근성 강화·규제 유연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현장에서 쏟아졌다. 23일 서울에서 열린 KIC 2025 'Korea’s Clinical Trials at a Crossroads: Revisiting Strength

김열홍 사장 "렉라자 성공 비결, 유한양행만의 도전 정신"

김열홍 사장 "렉라자 성공 비결, 유한양행만의 도전 정신"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상당히 많은 전문가들은 이미 선도 물질(오시머티닙)이 FDA 허가를 받고 시장에 출시됐는데, 왜 지금 치료 시장에 뛰어드느냐. 어떤 분들은 이건 절대 성공할 수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김열홍 유한양행 연구개발(R&D) 사장이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코넥트 임상시험 국제 콘퍼런스(KIC)’에 기조강연을 맡아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레이저티닙)'의 글로벌 성공 비화를 공개했다. 김 사장은 고려대 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로 재직한 인물로, 암 연

삼진제약, 안정적 실적 바탕 R&D·신사업 성장 동력 모색

삼진제약, 안정적 실적 바탕 R&D·신사업 성장 동력 모색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삼진제약이 상반기 외형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에 더해 안정적 실적을 바탕으로 R&D와 백신 신사업 등 성장 동력 마련에 나섰다는 점도 주목된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상반기 매출액 1455억원, 영업이익 12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1433억원보다 1.5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33억원보다 3.57% 감소한 수치다. 이 회사는 최근 5년 사이 외형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2020년 2352억원에서 성장을 지속, 지난해엔 매출 3000억

삼진제약,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기관 최종 선정

삼진제약,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주관기관 최종 선정

삼진제약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이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임무 신규 지원' 과제에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과제를 통해 삼진제약은 양자컴퓨팅과 인공지능(AI)을 융합한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 'Q-DrugX(Quantum Drug Exploration.퀀텀 기술을 활용한 신약기술개발)'의 본격적인 착수와 기존 기술로 'undruggable(약물화 불가능)'하다고 평가된 난공략성 질환 영역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나서게 된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