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케이캡 앞세워 3Q 매출·영업익 두 자릿수↑ 기대

3분기 매출 2700억 상회 전망…전년比 20%가량 증가
같은 기간 영업익, 전년比 30% 이상 늘어난다고 예상
전문약 사업, 실적 증가 견인…케이캡 매출 확대 주효
백신, 수액 매출도 증가 기대…HK이노엔 실적↑ 뒷받침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10-13 11:55

사진=문근영 기자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HK이노엔이 올해 3분기에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두 자릿수 이상 늘릴 수 있다는 증권업계 전망이 나왔다. 증권사들은 전문의약품 사업 실적 증가를 언급하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에 주목했다. 같은 기간 백신과 수액도 전문의약품 사업 매출액 확대에 영향을 미칠 품목으로 꼽혔다.

1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 올해 3분기 매출액(개별 재무제표)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SK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22.5% 늘어난 2810억원을 예상했고, 키움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19.2% 증가한 2736억원을 전망했다.

증권사들은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두 자릿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SK증권과 키움증권은 HK이노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을 각각 313억원, 295억원으로 추정하며 전년 동기 대비 40.6%, 32.6% 늘어난다고 내다봤다.

이 회사 3분기 실적 확대를 이끌 사업 부문은 전문의약품이다. 증권업계는 HK이노엔 올해 3분기 전문의약품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하며 25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테고프라잔)'은 전문의약품 사업 부문 실적 확대를 견인할 품목으로 꼽힌다. 이선경 SK증권 연구원은 경쟁 제품이 모습을 드러냈으나 국내 처방 실적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 3분기 케이캡 매출액을 535억원으로 예상하며 전년 동기 대비 49.9% 늘어날 것으로 봤다. 신민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동일 계열 품목과 경쟁하기보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시장을 대체하며 케이캡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증가한다고 예상했다.

케이캡 수출도 주목할 대목이다. 증권업계 전망을 종합하면, HK이노엔은 케이캡 수출액을 지난해 3분기 25억원에서 올해 3분기 46억원으로 87%가량 늘린 것으로 보인다.

신민수 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지난 5월 인도에서 이뤄진 케이캡 허가를 언급하며 수출 실적을 올해 3분기 매출액에 반영할 것으로 봤다. 그러면서 케이캡 수출액이 역대 분기 최고치를 경신한다고 전망했다.

증권업계는 케이캡 로열티도 HK이노엔 올해 3분기 실적 증가에 기여한다고 추정했다. 이 회사는 중국 파트너기업 뤄신과 기술수출 계약을 맺고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서 '타이신짠(케이캡 중국 제품명)'을 허가받은 후 출시한 바 있다.

키움증권은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지난 1월 중국에서 보험 급여 목록에 오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며, 올해 3분기 케이캡 로열티를 35억원으로 예측했다. 이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백신은 케이캡에 이어 HK이노엔 전문의약품 실적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꼽히는 품목이다. 이 회사는 질병관리청과 코로나 백신 '코미나티주' 수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계약금액은 2139억원이다.

이선경 연구원은 HK이노엔이 코로나 백신 매출액을 내부 회계 처리 방식에 따라 총액 인식에서 수익 인식으로 변경했다며, 전년 동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코로나 백신 매출액 102억원이 생길 것으로 봤다.

아울러 증권업계는 수액도 전문의약품 실적 성장을 뒷받침한다고 전망했다. 증권사들은 HK이노엔 올해 3분기 수액 매출액을 370억원 수준으로 예상하며, 전년 동기 대비 8%가량 늘어난다고 추정했다.

한편, 전문의약품 사업 실적이 증가하는 가운데 컨디션, 헛개수 등 HB&B 사업 매출액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SK증권과 키움증권은 HK이노엔 올해 3분기 HB&B 사업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줄어 200억원 수준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보기

HK이노엔, 케이캡 글로벌 모멘텀 강화…ETC·수액제 성장세 지속

HK이노엔, 케이캡 글로벌 모멘텀 강화…ETC·수액제 성장세 지속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HK이노엔이 간판 제품 '케이캡'을 중심으로 ETC 부문과 수액제제 성장세를 이어가며 글로벌 확장 모멘텀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FDA 허가 신청과 유럽 파트너 계약 추진이 맞물리면서 중장기 성장 기반이 한층 견고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2일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HK이노엔의 파트너사 세벨라(Sebela)가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의 EE·NERD 적응증에 대한 NDA를 연내 제출할 예정이며, 허가 시점은 2026년 말~2027년 초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FDA 승인 및

HK이노엔 케이캡, 인도서 제품명 'PCAB' 공식 출시

HK이노엔 케이캡, 인도서 제품명 'PCAB' 공식 출시

HK이노엔(HK inno.N)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인도에 공식 출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HK이노엔은 케이캡이 인도에서 공식 출시됐다고 17일 밝혔다. 현지 영업과 마케팅은 글로벌 제약기업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 Ltd.)'가 맡는다. 케이캡은 인도에서 'PCAB(피캡) 50mg'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5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치료에 대해 허가를 받았다. HK이노엔은 지난 2022년 닥터레디와 인도와 신

HK이노엔, '비원츠' 앰버서더로 제로베이스원 '한유진' 발탁

HK이노엔, '비원츠' 앰버서더로 제로베이스원 '한유진' 발탁

HK이노엔(HK inno.N)이 슬로우에이징 스킨케어 브랜드 '비원츠(bewants)'의 앰버서더로 5세대 K팝 대표 아이돌 그룹 제로베이스원(ZB1, ZEROBASEONE)의 '한유진'을 발탁했다고 11일 밝혔다. HK이노엔은 제로베이스원의 멤버 한유진의 맑고 투명한 '청춘 아이콘' 이미지와 비원츠가 지향하는 이미지가 부합한다고 판단해 한유진을 앰버서더로 선정했다. HK이노엔은 앰버서더 기용을 시작으로 한유진과 함께하는 SNS 신규 캠페인 '맑은결 셀피 루틴'을 진행한다. 바쁜 일상 속 빠르고 간단한 스킨케어 루틴을 제안해, 소비

HK이노엔 52주 신고가…'케이캡' FDA 허가 신청·L/O 기대↑

HK이노엔 52주 신고가…'케이캡' FDA 허가 신청·L/O 기대↑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HK이노엔 주식 가격이 52주 신고가를 달성했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 미국 3상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청을 앞둔 상황에서다. 증권업계는 HK이노엔이 연내 유럽 기업과 케이캡 기술이전 계약까지 체결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8일 한국거래소(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HK이노엔 주가는 장중 5만3100원까지 올랐다. 해당 가격은 52주 신고가다. 이는 HK이노엔 주가가 지난해 10월 7일 5만2000원을 찍은 후 약 10개월 만이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해

HK이노엔, 2분기 영업익 195억…전년比 19.8%↓

HK이노엔, 2분기 영업익 195억…전년比 19.8%↓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HK이노엔은 개별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95억원으로 전년 동기 243억원 대비 19.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631억원으로 전년 동기 2193억원 대비 2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20억원으로 전년 동기 174억원 대비 30.9% 줄었다. 올해 상반기 누계 실적은 매출액 5105억원, 영업이익 449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2%, 7.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95억원으로 전년 동기 279억원 대비 5.6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