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판관비율 33% 근접…업체 절반만 경영 효율화

92개사 총 매출액 대비 판관비 비율 32.8%…전년비 1.8%p↑
2년간 연이어 1분기 판관비 30%대…업계 지출수준 높아져
47개사 판관비율 개선 이뤄…신풍제약·부광약품·유유제약 두각
30~50% 범위 업체 수 가장 많아…3분의 1은 30% 이하 기록

이정수 기자 (leejs@medipana.com)2024-05-24 11:59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⑤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제약·바이오 업계 1분기 판매관리비율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30%를 넘겼다. 특히 지난해보다 2%p 가까이 증가해 판매관리비에 대한 부담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23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1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92개 업체에서 발생된 총 판관비는 2조8249억원으로 전년 동기 2조4012억원 대비 17.6%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92개 업체 총 매출액이 11.1%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6.5%p(포인트) 더 높다.

이처럼 매출액보다 판관비가 더 가파르게 늘어나면서 판관비율도 증가했다. 올해 1분기 92개 업체 총 매출액 대비 총 판관비 비율은 32.8%로 전년 동기 31% 대비 1.8%p 높았다.

판관비는 급여, 수수료, 광고선전비, 접대비, 복리후생비 등 제품 판매활동과 기업 관리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의미한다. 이같은 판관비가 늘어나더라도 매출액이 더 많이 늘어나면 경영 효율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이번 사례처럼 판관비 증가 폭이 매출액 증가 폭을 넘어서면, 이전에 비해 경영 효율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업체별로 보면 결과가 달라진다.

92개 업체 전체 합계로는 판관비율이 높아졌지만, 업체별로 살펴보면 올해 1분기 판관비율이 지난해보다 낮아진(개선) 업체는 47곳이었다. 반대로 판관비율이 늘어난(부진) 업체는 45곳이었다. 비교해보면, 판관비율을 낮춘 업체가 2곳 더 많았다.

92개 업체 중 판관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알피바이오로, 6.2%를 기록했다. 화일약품과 그린생명과학도 10% 이하를 기록하면서 뒤따랐다.

판관비율 20% 이하 범위에서는 JW생명과학, 종근당바이오, 대한약품, 광동제약, 셀트리온제약, 휴메딕스, 대봉엘에스, 종근당 등 8개 업체가 포함됐다. 특히 광동제약과 종근당은 제약·바이오 매출 상위 10위권 업체 중 가장 판관비율이 낮은 그룹을 이뤘다.

이들과 함께 매출 상위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유한양행도 각각 21%, 21.7%로 비교적 안정적인 판관비율을 나타냈다. 또 다른 상위사인 한미약품, GC녹십자, 대웅제약 등은 30%보다 낮은 판관비율을 기록해 업계 판관비율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처럼 판관비율이 30% 이하인 업체 수는 총 30곳이었다. 30% 초과 50% 이하인 업체 수는 42곳으로 가장 많았다. 50% 초과 70% 이하인 업체 수는 13곳, 70% 초과인 업체 수는 6곳이었다.

매출 중위권에서는 신풍제약이 지난해 1분기 63.6%에서 올해 1분기 43.3%로 판관비율을 20.3%p 낮춰 두각을 나타냈다. 부광약품, 유유제약, 코오롱생명과학 등도 판관비율이 5% 이상 낮아져 경영 효율화를 꾀했다.

에스케이바이오팜은 지난해 1분기 130.8%에서 올해 1분기 80.5%로 크게 낮췄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판관비율이 150% 내외를 나타냈다. 판관비율이 100% 이상이면 총 매출보다도 판관비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 외에 에이비엘바이오, CJ바이오사이언스 등도 이 경우에 해당됐다.

한편, 원료의약품 제조업체, 수액제 등 특정분야 주력업체, '상품' 비중이 높은 업체 등은 통상적으로 판관비율이 낮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반대로 연구개발비가 판관비에 포함돼, 판관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관련기사보기

상장 제약·바이오 10곳 중 4곳, 올해 초 사업자금 빠져나갔다

상장 제약·바이오 10곳 중 4곳, 올해 초 사업자금 빠져나갔다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업체 10곳 중 4곳은 올해 초 사업 과정에서 현금이 빠져나갔던 것으로 확인된다. 21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1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 중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을 분석한 결과, 92개 업체에서 총 7024억원 현금이 유입돼 전년 동기 6695억원 대비 4.9% 증가했다. 영업활동

제약·바이오 매출원가비율 0.6%p 상승…개선보다 부진 '多'

제약·바이오 매출원가비율 0.6%p 상승…개선보다 부진 '多'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비율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매출원가비율이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는 소폭 상승했고, 매출원가 부담이 늘어난 업체가 더 많았다. 20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1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매출원가가 없는 에이비엘바이오를 제외한 91개 업체 매출원가비율은 57.2%로 전년 동기 56.6% 대비 0.6

제약·바이오, 수익성 하락세…매출 상하위권 전반에서 나타나

제약·바이오, 수익성 하락세…매출 상하위권 전반에서 나타나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매출 증가에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영업이익률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는 매출 상위권에서도 영업이익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미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과감한 투자 등이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의 2024년도 1분기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총 매출액은 8조6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매출 순항…영업익 대폭 하락

92개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매출 순항…영업익 대폭 하락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4년도 1분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지난해에도 제약·바이오 업계는 외형적 성장을 이어갔지만, 영업이익 면에서 큰 부진을 겪은 것으로 확인된다.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 2024년도 1분기 실적을 집계한 결과, 총 매출액은 8조6052억원으로 전년 7조7450억원 대비 11.11% 증가했다. 이는 지난 수년간 연평균 10% 내외 성장을 기록했던 것과 비슷한 수준이. 9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