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 췌장암 실험결과…"'치료 지속성·전이 억제' 동시 달성"

페니트리움, 표준 항암제 절반 용량만으로 동일 항암효과 나타나
독성·부작용 줄이면서 '치료 지속성·전이 억제' 동시 달성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13 15:16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진근우)는 '췌장암 동물 모델 페니트리움(Penetrium) 병용 실험' 결과, 표준 화학항암제 젬시타빈(Gemcitabine)의 절반 용량만 투여해도 동일한 항암 효과를 유지하면서 전이 억제 효과까지 달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환자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 실험에서 확인된 '가짜내성'(pseudo-resistance) 제거 기전을 췌장암 동물실험에서 재확인한 것이다.

췌장암 동물실험에서 젬시타빈 50mg/kg 단독 투여군의 20일째 종양 성장 억제율(Tumor Growth Inhibition rate, TGI)은 92.61%였으며, 절반 용량(25mg/kg)의 젬시타빈+페니트리움 병용 투여군의 20일째 종양 성장 억제율은 92.07%로 거의 동일한 억제율을 보였다.

이는 종양 내 암연관 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 CAF)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이 형성한 구조적 장벽을 페니트리움이 제거해 약물 전달을 개선시킨 결과다. 젬시타빈 용량을 절반으로 줄였음에도 동일 효능을 확보, 부작용과 독성 부담을 대폭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앞서 진행한 췌장암 오가노이드 실험에서 CAF/ECM 장벽으로 인해 고농도 젬시타빈을 투여하더라도 그 효능이 감소하는 리바운딩 현상이 나타났으나, 페니트리움 병용 시 CAF만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ECM을 정상화시켜 젬시타빈을 종양 깊숙이 도달케 해 암세포 생존율이 0%로 수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페니트리움의 기전은 췌장암 동물실험에서도 동일하게 작용해 전이 예정 부위의 기질 구조를 붕괴시키고 암 전이 억제 효과까지 확인됐다.

췌장암은 대부분 절제 불가능한 3기 이상 진행 단계에서 진단된다. 췌장암은 CAF/ECM 장벽이 두껍고 단단한 대표적 '콜드 튜머'(Cold tumor)로 면역항암제 효과도 거의 없다. 지난 10여 년간 치료제 개발이 정체된 대표적 난치암이다. 이번 췌장암 동물실험 결과는 독성 부담 없이 치료 지속성을 높이고, 전이 억제를 통해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환자 중심의 암 치료'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현대바이오는 췌장암 오가노이드 실험과 췌장암 동물실험 성과를 토대로 한국과 유럽에서 말기 췌장암 환자 대상으로 페니트리움과 젬시타빈의 병용 임상 1상을 순차적으로 신청할 계획이다. 젬시타빈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췌장암 표준치료제이기 때문에 환자 모집이 용이하고, 임상 1상 결과만으로도 기전과 효능을 조기에 입증할 수 있다. 췌장암은 미국과 유럽에서 희귀암으로 지정돼 있어 패스트트랙(Fast Track) 승인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높다.

현대바이오 진근우 대표는 "페니트리움은 가짜내성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해, 절반의 항암제 용량만으로도 종양 억제와 전이 억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며 "췌장암 임상을 시작으로 전 세계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국제 학술지에 현대바이오 '제프티' 임상 결과 분석한 논문 등재

국제 학술지에 현대바이오 '제프티' 임상 결과 분석한 논문 등재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는 지난 1일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최준용 교수 등이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진근우)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제프티(Xafty)의 긴급사용승인을 위한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한 논문 '경증에서 중등증 COVID-19 환자 치료를 위한 니클로사마이드 나노하이브리드의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임상시험(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niclosamide nanohybrid for th

현대바이오, 뎅기열 치료제 과립제형 개발 성공...임상 2/3상 본격화

현대바이오, 뎅기열 치료제 과립제형 개발 성공...임상 2/3상 본격화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진근우)는 베트남에서 진행 중인 뎅기열 치료제 임상 2/3상을 대비해, 소아 및 고령 환자도 복용이 가능한 과립(granule) 제형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베트남 임상기관과 보건당국의 요청으로 2개월 만에 신속히 개발된 이번 과립 제형은 기존 캡슐 제형 대비 복용 편의성과 시장 적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열, 구토, 연하곤란 등 경구 복용이 어려운 환자군에서도 투약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임상 참여자의 복약 순응도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바이오는 이 과립 제형을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임상 승인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임상 승인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진근우)는 모회사 씨앤팜이 신청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 신약 페니트리움(Penetrium, CP-PCA07)과 호르몬 치료제 엔잘루타마이드를 병용 투여했을 때의 안전성, 내약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는 다기관 임상 1상 시험'이 지난 3월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현대바이오는 씨앤팜으로부터 '페니트리움의 전립선암 사업권'을 공식 이전받아, 이번 임상은 물론 향후 개발과 상업화를 직접 주도한다. 이번 임상은 기존 호르몬 치료제인 엔잘루타마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대상 임상 신청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대상 임상 신청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Penetrium) 임상시험(1/2a상)을 신청한다고 25일 밝혔다. 당초 모회사인 씨앤팜이 해당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한 바 있으나, 씨앤팜과 현대바이오는 이 IND를 현대바이오가 진행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씨앤팜은 기존 IND를 자진 철회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의 대상인 전립선암은 전 세계에서 연간 약 120억달러 규모 시장을 형성한 대표적인 고형암이다. 전립선암 환자에 기존 항암제를 투여하면 일시적으로 항암효과가 나타나다가 반복 투

현대바이오·현대ADM, "AACR서 새 항암치료 패러다임 제시"

현대바이오·현대ADM, "AACR서 새 항암치료 패러다임 제시"

현대바이오와 현대ADM은 오는 4월 25일부터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에서 '가짜내성(Pseudo-Resistance)'을 '진짜내성(True-resistance)'으로 잘못 인식해 온 80년 항암치료 역사상 최대 오류를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실증하고 가짜내성을 치료하는 '페니트리움(Penetrium)'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최초의 항암제가 개발된 후 80여 년 동안 세계 의학계와 제약업계는 '처음에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