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의료용 마약류 수사권 확보 노력…범죄수익 환수 추진

김영조 식약처 중조단장 "법무부와 수사권 관련 협의 중"
의료용 마약류 수사, 연간 100여 건 달해…전문성 기반 수사 기대
지난해 범죄수익 약 4억5000만 원 거둬들여…올해부터 환수 본격화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4-02-14 06:01

김영조 식품의약품안전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장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올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료용 마약류 수사권 확보, 범죄수익 환수 등 업무에 집중할 계획이다.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용 마약류 수사를 강화하고, 엄중한 처벌을 통해 안전한 의약품 사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김영조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장은 13일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특별사법경찰(특사경) 관련 법을 개정하기 위해 법무부와 협의하는 중이고 사형, 무기 또는 장기 3년 이상 징역이나 금고에 해당하는 죄에 대한 피의자의 범죄수익을 거둬들이겠다"고 강조했다.

식약처가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위생용품 관리법 등 위반 범죄를 수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지난해 마련됐으나, 의료용 마약류 수사 관련 권한은 부여되지 않았다. 의료용 마약류 품목허가부터 제조·수입·유통·판매·투약 등 전 과정을 관리·감독하고 있지만, 수사 권한은 없는 상황이다.

특사경 수사권을 의료용 마약류까지 확대하는 법률안은 지난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하지 못했다. 여당과 야당 사이에선 특사경 권한을 부여하는 공무원 범위를 놓고 의견이 갈렸다. 

법무부는 식약처 소속 공무원에 특사경 권한을 부여하는 입법 취지에 공감했으나,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에 특사경 권한 부여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김 단장은 "경찰에 의뢰하는 의료용 마약류 오남용 수사가 연간 100여 건에 달한다"며 "특사경 법안 개정으로 식약처에서 관련 수사를 처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범죄수익 환수는 관련 편람 제작, 피의자 재산 조사 등을 거쳐 진행될 예정이다. 김 단장은 지난해 스테로이드 제제 불법 제조 관련 범죄수익 약 4억5000만 원을 거둬들였다며, 범죄수익 환수는 불법 의약품 등 판매에서 발생한 수익을 대상으로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첫 번째 환수 사례는 범죄수익 환수에 대한 설명을 뒷받침한다. 식약처는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범죄수익 약 4억5000만 원 대상으로 추징보전(가압류)을 집행했다.

김 단장은 "국토부와 협조해 불법 의약품 관련 피의자 재산조사를 실시했고, 범죄수익금 4억5000만 원을 환수했다"고 부연했다. 최근엔 스테로이드제제 등 전문의약품 불법 제조·판매한 총책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며, 범죄수익 환수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지난해 범죄수익 환수를 시작한 데 이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사형, 무기징역, 3년 이상 징역형, 금고 이상 형 등에 해당하는 범죄로 발생한 수익을 거둬들일 것이다"라고 피력했다.
 

관련기사보기

스테로이드제제 등 '전문의약품 불법 제조·판매' 총책 구속

스테로이드제제 등 '전문의약품 불법 제조·판매' 총책 구속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스테로이드제제 등 전문의약품을 불법 제조·판매한 총책 송모씨(제조·판매 총책, 35세)를 구속했다고 6일 밝혔다. 그는 약사법,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위반했다. 배달책 고모씨(29세)는 검찰에 불구속 송치됐다. 식약처는 전문의약품 불법 제조·판매로 얻은 범죄수익을 환수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수사는 지난해 11월경 전문의약품 불법 유통 혐의로 의약품 도매상 직원 등 7명을 약사법 위반으로 송치한 사건과 연계해 착수됐다. 4개월간 추적 끝에 성과를 거뒀다. 수사 결과

불법 스테로이드 제조·판매한 헬스트레이너, 검찰에 구속 송치

불법 스테로이드 제조·판매한 헬스트레이너, 검찰에 구속 송치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불법 스테로이드, 성장호르몬 등 의약품을 제조·판매한 헬스트레이너 2명을 약사법 및 보건범죄단속법 위반 혐의로 적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식약처는 헬스트레이너를 검찰에 구속 송치하고 범죄수익은 가압류했다. 이들은 2017년 4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중국 판매자로부터 스테로이드, 성장호르몬 등 의약품 성분이 담긴 바이알 상태 반제품을 국제우편으로 받았다. 이후 제품명 등이 인쇄된 라벨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총 23종 불법 의약품을 제조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불법 의약품은 총 약 2만8900바이

식약처-검찰 협력해 불법 스테로이드 제조판매사범 2명 구속기소

식약처-검찰 협력해 불법 스테로이드 제조판매사범 2명 구속기소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이하 식약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과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이하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는 수사 초기부터 긴밀한 협력을 통해 2021년 8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6개월간 합계 6억 2000만 원 상당의 무허가 스테로이드 의약품을 제조·판매한 헬스트레이너 형제 2명을 적발해, 3일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위반죄 등으로 구속 기소했다. 식약처는 선제적 온라인 모니터링으로 불법 제품을 포착하여 성분 분석한 결과, 단백동화스테로이드 성분을 검출했고, 피고인에 대한 계좌추적 및 압수수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