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강제 수용으로 뺑뺑이 막는다?…"응급실 더 무너진다"

진료 불가능한 상황인데도 수용 강제…"남은 의사 더 떠난다"
현장선 "법 아닌 시스템 문제"…사법 리스크·병상 부족에 무너지는 응급실
"받아도 처벌, 안 받아도 처벌"…책임만 지우는 정책에 의료진 반발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7-04 05:56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응급환자가 여러 병원을 전전하며 치료받지 못하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는 단순한 혼선이 아닌 구조적 문제다.

의료자원의 한계와 책임 구조의 부재 속에 환자는 떠돌고 의사는 떠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응급환자 수용을 거부하지 못하게 하는 법제화' 추진 움직임이 계속되자 응급의학계는 강한 불편함을 드러냈다. "문제는 분명한데, 해결 방식은 틀렸다"는 반응이다.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은 명확하다. ▲중환자실·입원 병상·수술실 포화 ▲전문의 부재 ▲과잉 책임 우려에 따른 기피 ▲과로 누적 등으로 인해 의료기관은 현실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응급의학계는 이에 대해 오랫동안 인프라 확대와 구조적 개선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최근 추진되는 입법 방향은 응급의료기관이 환자 수용을 거부할 수 없도록 법으로 강제하고, 그 책임을 의료진에게 지우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현장의 반발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전라남도 내 한 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 중인 A전문의는 "우리나라 응급의료 정책은 갈수록 포퓰리즘으로 흐르고 있다"며 "정책이 나올 때마다 전문가 의견이 반영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지역별 이송 지침을 강제 적용하면 지금 남아 있는 의사들이 그걸 감당할 수 있는지부터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선 병원 의료진은 응급환자 수용을 거부하는 일이 '편의를 위한 결정'이 아니라, 진료가 불가능한 조건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2차 병원에서 근무하는 B전문의는 "환자를 수용하지 못하는 건 병상이 없거나 수술·입원이 불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이라며 "강제로 수용하면 뺑뺑이는 줄어들 수 있겠지만 그것이 진짜 환자를 살리는 방식은 아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법안이 시행될 경우 응급실을 떠나겠다는 의사들이 속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도 응급의학과 지원율은 줄곧 하락 중이며, 일부 병원은 당직 인력조차 확보하지 못해 응급실 운영을 포기하고 있다.

응급의료계는 반복해서 '법적 보호장치'의 부재를 지적해왔다. 환자를 무조건 수용하라는 지침은 결과 중심의 책임 구조로 이어지고, 이는 의료인을 법적 위험에 노출시킨다.

C대학병원 응급의는 "환자를 무조건 수용해야 할 때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의사는 범법자가 된다. 응급실 수용은 현장의 미묘한 판단에 따른다. 이를 일률적으로 법으로 강제하는 건 절대 좋은 방향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의료계는 '의사가 이기적이다'는 단편적 시선 대신, 왜 현장을 떠날 수밖에 없는지를 먼저 봐야 한다고 호소한다.

A전문의 역시 "응급의들은 긴 근무시간, 체력 부담뿐 아니라 언제든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는 압박 속에서 일한다"며 "최선을 다한 처치에 대해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응급의료 개혁을 말할 때마다 반복되는 목소리는 하나다. "정책은 책상에서가 아니라 현장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

A전문의는 "응급실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현장과는 한 마디 상의도 없이 정책을 결정하는 현실이 더 답답하다"며 "실효성 없는 강제조치보다, 왜 의사들이 떠나는지부터 진지하게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해결 골든타임 임박‥응급의학醫 "잘못된 정책, 사과부터 해야"

해결 골든타임 임박‥응급의학醫 "잘못된 정책, 사과부터 해야"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해를 넘긴 의정 갈등은 여전히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의료계는 사태 장기화로 인해 더 이상 '이전으로의 복귀'는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피해를 최소화하고 회복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금이 해결의 '골든타임'이라고 입을 모은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도 의정 갈등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며, 전 정권의 잘못된 정책 추진에 대한 책임자 문책과 의료계·국민에 대한 공식 사과를 촉구했다. 29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플렌티컨벤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응급의학의사회 이형

국내 응급의료체계, 낙제점 수준‥"사법 리스크 완화 시급"

국내 응급의료체계, 낙제점 수준‥"사법 리스크 완화 시급"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중증 응급환자 대응이 한계에 다다른 가운데, 응급의료 체계 전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이상적인 응급의료 체계가 100점이라면, 현 한국은 40~50점에 불과하다." 29일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 응급의료의 현실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의사회는 응급의학과가 소멸 위기에 놓였으며, 정부가 진정한 개혁을 원한다면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형민 회장은 "의정 갈등 이전엔 60~70점 정도였지만 지금은 응급의료체계가 전반적으로 무너지고 있다. 정부가

응급실 과밀, 일률 대책으론 한계‥"지역별 맞춤 전략 필요"

응급실 과밀, 일률 대책으론 한계‥"지역별 맞춤 전략 필요"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응급실 과밀 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에 동일한 정책을 일괄 적용하는 기존 방식은 한계가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지역 맞춤형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상급 응급실에 경증 환자가 쏠리는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야간·휴일 클리닉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대한응급의학의사회(KEMA)가 수행한 '응급의료기관 방문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응급실 과밀현상 해결을 위한 정책 제언' 보고서를 발간하고, 과밀 해소를 위한 정책 방향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