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전달체계 재편 필요성 대두…상급병원 과밀화 '뚜렷'

1차 치과의원으로 회송률 5.8%…중증·경증 구분 및 의뢰·회송수가 도입 필요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2025-07-21 11:46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치과의료 전달체계의 구조적 한계가 지적됐다. 대학병원 등 상급치과병원으로 환자 의뢰는 활발하지만, 제도적인 회송체계가 부재해 경증 치과치료까지 상급병원이 떠안는 비효율이 고착화되고 있다는 시각이다.

이에 따라 중증 치과의료를 명확히 구분하고 이에 기반한 의뢰·회송 수가 도입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이는 보건복지부 의뢰로 서울대·강릉원주대·경북대·부산대 등 국립대 치과병원이 수행한 '치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의료·회송 운영(안) 마련 연구' 보고서를 통해 확인됐다.

보고서는 2023년 기준 4개 국립대 치과병원에 의뢰된 1만5,911명의 환자 전자의무기록을 전수 분석해 주요 시사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전체 환자 중 92%가 1차 치과의원에서 발급한 의뢰서를 지참했으며, 이 가운데 75%는 '임상 난이도가 높다'는 사유로 의뢰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료 완료 후 1차 의원으로 회송된 비율은 5.8%에 그쳐 상급 치과병원의 과밀화와 1차 의료기관과의 협진체계 미흡이 과제로 지목된다.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 개선을 위해 치과에 특화된 의료전달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1차 치과의원과 상급 치과병원의 역할 분담 제도화 ▲의뢰·회송 수가 신설 및 의료기관 간 협력 유도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보기

국립대 병원·치과병원 소관 복지부로 변경…학계 의견 '분분'

국립대 병원·치과병원 소관 복지부로 변경…학계 의견 '분분'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국립대병원과 국립대치과병원의 소관부처를 교육부에서 보건복지부로 변경하고, 전공의 대표의 이사회 참여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된 것을 두고 다양한 시각이 확인된다. 학계 일각에서는 공공의료 강화 취지의 부처 변경으로 자칫 국립대병원의 자율성과 인재양성을 그르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또, 이사회에 전공의 참여 의무화는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부정적 시각이 도출된다. 반면, 복지부로 변경되면 진료역량 강화로 교육 및 수련 역량도 동반해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더불어민

모든 병의원·진료분야 중 '치과의원' 비급여 진료비 최다

모든 병의원·진료분야 중 '치과의원' 비급여 진료비 최다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모든 병의원과 진료분야를 통틀어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치과의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해 상반기에 처음으로 의원급을 포함해 전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4년도 상반기 비급여 보고제도' 자료 분석 결과를 3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3월 한 달 간 전체 의료기관에서 행해진 1068개 항목 진료비 규모는 총 1조8869억원으로 조사됐다. 종별로는 치과의원이 7414억원으로 39.3%를 차지하면서 가장 큰 진료비 규모를 나타냈고, 의원 4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