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매출 19.9조원(+10.9%)·판관비 6.1조원(+4.9%)…'매출 성장'이 효율 개선 견인
증감은 46곳씩 팽팽…30~50% 구간 기업이 절반 차지
알피바이오 6.05% 최저, ABL바이오 84.99% 최고…SK바사·유바이오로직스 판관비율 '뚝'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20 05:59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판매관리비율(판관비율)이 전년 대비 낮아졌다. 전체 매출 증가율이 판관비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비용 효율이 개선된 것이다. 다만 기업별로는 상승과 하락이 반반으로 갈리며, 구조적 차이는 뚜렷한 모습이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을 분석한 결과, 92개 기업의 상반기 평균 판관비율은 30.65%로 전년 동기 32.39% 대비 1.74%p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판관비 합계는 6조1056억원으로 4.93% 증가했으며, 전체 매출은 19조92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9% 늘었다.

판관비율이 낮아진 기업은 46곳, 높아진 기업 역시 46곳으로 팽팽했다. 매출 확대가 판관비 증가 속도를 상회한 기업들은 개선을 이끌었고, 반대로 매출 둔화 또는 판관비 급증 기업은 효율이 악화됐다.
가장 낮은 판관비율을 기록한 곳은 알피바이오(6.05%)였다. 화일약품(9.07%)도 10% 이하를 기록했다. 두 기업 모두 원료의약품 중심 사업 구조와 제한된 마케팅 비용이 반영된 결과다.

반대로 에이비엘바이오는 84.99%로 가장 높은 판관비율을 기록했다. 다만 전년 동기 256.06%에서 판관비율이 크게 낮아지면서 뚜렷한 구조 개선 흐름을 보였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유바이오로직스도 올해 상반기 극적인 개선을 보였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 상반기 판관비 90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52% 증가하는 동안 매출은 31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5.12% 증가하며 판관비 증가율을 크게 상회했다. 이에 판관비율은 145.92%에서 28.62%로 117.30%p 하락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상반비 판관비율 14.65%로 전년 동기 48.07%에서 33.42%p 낮췄다. 매출이 2.3배 이상 증가했고 판관비는 거의 변동이 없었던 데 따른 것이다.

바이넥스 역시 43.65%에서 29.47%로 14.18%p 낮추며 판관비율 30% 미만으로 진입했다.

파미셀의 경우 올해 상반기 매출이 86.9% 증가하는 동안 판관비 증가율은 4.25%를 기록하면서, 판관비율은 전년 동기 27.29%에서 15.22%로 12.07%p 하락했다.

주요 대형사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구간을 유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8.91%로 전년 대비 1.18%p 하락했고, 유한양행은 18.30%(-2.10%p), 종근당은 17.46%(-1.50%p)를 기록하며 20% 미만을 유지했다.

GC녹십자(26.31%, -1.11%p), 대웅제약(28.11%, -1.38%p) 역시 판관비율을 낮추며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반면, 한미약품은 27.83%로 소폭 상승했다.

셀트리온은 33.01%로 3.38%p 하락하며 비용 효율 개선을 이뤘다.

이번 상반기 수치는 '매출 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비율 개선'이 핵심 배경이다. 외형이 커질수록 판관비 증가 부담은 완화됐으며, SK바사·유바이오로직스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연구개발비가 판관비에 포함되는 업종 특성상, 신약 파이프라인 확충과 임상 확대를 추진하는 기업은 높은 비율을 피하기 어렵다. 실제로 ABL바이오, 바이오니아 등은 매출 급증에도 여전히 70% 이상을 기록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 판관비율 구간별 분포를 보면 ▲30% 미만 28곳 ▲30~50% 44곳 ▲50~70% 17곳 ▲70% 초과 3곳이었다. 업계 평균이 30%대 초반을 유지하는 가운데, 30~50% 사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관련기사보기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원가율 50.7%…전년比 2.26%p↓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원가율 50.7%…전년比 2.26%p↓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매출원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하며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업 절반 이상은 여전히 매출 절반 이상을 원가로 지출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매출보다 원가가 더 큰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는 등 업계 내 양극화가 나타났다. 18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수익성↑…휴젤·에이비엘바이오 눈길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수익성↑…휴젤·에이비엘바이오 눈길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평균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이 시기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휴젤, 영업이익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업체는 에이비엘바이오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평균은 11.97%다. 92곳 영업이익 합계 증가율이 매출액 대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 10.9%↑…영업익·순이익 개선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 10.9%↑…영업익·순이익 개선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상위권 업체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세를 나타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동반 상승하며, 업계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메디파나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를 분석한 결과, 상장 제약·바이오 92곳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상반기 R&D 투자 확대…비율은 하락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상반기 R&D 투자 확대…비율은 하락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국내 상위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상반기 R&D 비용이 전년 대비 확대되는 흐름을 나타냈다. 다만 매출액 증가폭은 따라가지 못하면서 매출액 대비 R&D 비율은 하락한 모습이다. 6일 메디파나뉴스가 2분기 IR 자료를 통해 공개된 경상연구개발비를 토대로 상반기 매출과 경상연구개발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났다. 이날 기준 국내 매출 상위권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가운데 IR 자료를 통해 경상연구개발비를 공개한 회사는 8곳이다. 8개 회사가 올 상반기에 투

매출 상위 상장 제약·바이오사들,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 호조

매출 상위 상장 제약·바이오사들,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 호조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5곳 올해 상반기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합계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 상위권에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한 업체보다 증가한 회사가 많았다. 1일 메디파나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확인한 결과, 잠정 집계된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5곳 올해 상반기 매출액 합계는 12조503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11조409억원 대비 13.24% 증가한 규모다. 매출액 상위권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