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제 25대 병원장에 비뇨의학과 이지열 교수 임명

임기는 2025년 9월 1일부터 2027년 8월 31일까지
비뇨기암·로봇수술 권위자…스마트병원 초대 병원장 역임
루테시움·나노나이프 치료 도입 등 최신 의료 선도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8-29 08:23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제25대 병원장에 비뇨의학과 이지열(李知烈·60세) 교수가 임명됐다. 임기는 2025년 9월 1일부터 2027년 8월 31일까지 2년이다.

이 신임 병원장은 1989년 가톨릭의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비뇨기암 분야 권위자로 꼽힌다.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최선의 치료 방안을 모색해 온 전문가다.

서울성모병원에서는 초대 스마트병원장, 로봇수술센터장, 비뇨의학과 임상과장을 역임했으며, 가톨릭 의대에서는 가톨릭암연구소장, 의생명산업연구원 인체유래물중앙은행장을 맡았다. 학회 활동으로는 비뇨기초의학회 회장, 대한전립선학회 회장, 아시아태평양 전립선학회 회장, 아시아태평양 임상유전체학회 회장을 거쳤다. 현재도 가톨릭전립선연구소장과 아시아태평양 비뇨기종양학회 회장을 맡아 활발히 활동 중이다.

이지열 병원장은 지난해 로봇수술 2000례를 달성한 바 있다. 비뇨기암 분야에 로봇수술이 도입된 초기부터 정교한 수술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전립선암·신장암·방광암 등 고난도 암 수술 및 다양한 비뇨기 질환 최소침습수술 발전에 기여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 성과뿐 아니라 수술 후 삶의 질 개선에도 앞장서 왔다.

또한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전이성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방사성 동위원소 기반 루테시움(Lu-177) 표적치료를 시행해왔고, 국소 전립선암에는 전기장을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나노나이프 치료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공하고 있다.

임상연구 기반 확립에도 주력했다. 그는 2006년 아시아 최초로 전립선질환 검체은행(바이오뱅크)을 설립해 전립선암 환자의 조직·유전자·혈액 등을 수집·연구해왔다. 이 연구는 국내뿐 아니라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해외 기관과 협력하며 국제학술지 발표로 이어졌다.

이지열 병원장은 다수의 국내외 연구 논문 발표와 국제 학회 참여를 통해 최신 치료법과 로봇수술 발전을 선도했으며, 후배 의사 교육과 멘토링에도 힘써 비뇨의학과 미래 인재 양성에 기여해왔다.

그는 IT·인공지능 기술을 의료에 접목해 스마트병원을 설립하고 초대 스마트병원장을 지냈다. 수술 환자의 회복을 돕는 스마트 사후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국내외 환자 진료에 활용하기도 했다.

한편, 취임식은 오는 9월 11일 오후 4시 서울성모병원 본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열릴 예정이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