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큐브, 대장암 임상 2상 돌입…DLT 없이 1b상 완료

넬마스토바트 관련 중증 이상반응 없어…3분기 중 국내 주요 기관 환자등록 확대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12 16:15

에스티큐브는 넬마스토바트와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TAS-102), 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이 치료 불응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b상 단계에서 용량제한독성(DLT) 없이 모든 안전성 평가를 통과함에 따라, 2상 임상 투약을 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임상 2상은 BTN1A1 발현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바이오마커 기반(Biomarker-driven) 임상이다.

1b상에서는 병용투여에 따른 약제 독성 확인 및 2상 권장용량(RP2D) 확정을 목적으로 총 6명의 환자가 시작용량군에 등록돼 투약을 받았다.

안전성검토위원회(SRC) 평가 결과, 넬마스토바트 병용요법은 안정적인 내약성 프로파일을 보였으며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 및 중대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관련 이상반응(TRAEs)은 메스꺼움, 빈혈 등 1~2등급 수준의 경미한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6명의 환자 중 1명에서 4등급 이상의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했으나, 이는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에 기인한 것으로 이에 동반한 발열, 감염 등의 이상사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2상에서는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35mg/m², 베바시주맙 5mg/kg의 표준 용량을 유지하며 넬마스토바트 800mg 병용요법을 진행한다.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2상 환자 투약이 시작됐으며, 올해 3분기 중 서울아산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등 다수 기관에서 환자 등록이 확대될 예정이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1b상에 등록된 환자 중 5명이 BTN1A1 종양비율점수(TPS) 50 이상으로 확인돼, 별도의 재등록 없이 그대로 2상 환자군(총 52명)에 포함됐다"며 "환자들의 BTN1A1 발현 여부를 사전 스크리닝해 초기부터 환자 선별과 등록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장암에서 PD-L1이 거의 발현되지 않는 것과 달리, BTN1A1 발현 환자의 비율은 평균 40% 이상으로 높은 타깃 적합성을 보인다. BTN1A1 기반 정밀임상 전략은 타깃 환자군의 명확성과 시장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설명이다. 특히 3차 치료 표준요법인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 베바시주맙에 면역항암제를 더하는 치료는 BTN1A1 양성 환자에서 내약성, 반응률, 생존기간 개선 등 복합적인 치료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 관계자는 "넬마스토바트는 BTN1A1을 표적하는 세계 유일의 면역항암제로, 고형암 전반에서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며 "BTN1A1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임상 2상은 바이오마커로서의 타당성과 타깃 치료전략의 유효성을 검증할 핵심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11월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넬마스토바트와 카페시타빈 병용요법에 대한 MSS(현미부수체 안정형) 대장암 연구자임상 2상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MSS 대장암은 면역항암제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진 난치성 암종이다. 이수현 고대안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1월 연구자임상 1b상(12명)에서 부분관해(PR) 2명, 안정병변(SD) 10명, 무진행생존기간(PFS) 중앙값 4.4개월 이상의 초기 데이터를 발표한 바 있다. 현재 1b/2상 전체 투약 환자(총 51명)를 대상으로 추적관찰을 진행 중에 있다.

관련기사보기

에스티큐브, '바이오 USA'서 기술이전 교류 확대

에스티큐브, '바이오 USA'서 기술이전 교류 확대

에스티큐브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파트너링 행사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 2025(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 이하 바이오USA)'에 참가해 넬마스토바트의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 전략을 공유하고 글로벌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바이오USA는 미국 바이오협회가 주관하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행사로, 매년 6월 전 세계 주요 제약사, 바이오텍, 투자자, 연구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기술협력 및 사업개발 기회를 모색하는 자리다. 올해 행사는 지난 16일부터 19일까

에스티큐브, AACR서 '대장암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표

에스티큐브, AACR서 '대장암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표

에스티큐브가 BTN1A1이 암의 악성도를 높이고 면역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핵심 조절 인자임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BTN1A1 면역항암요법의 폭넓은 확장 가능성을 제시했다. 26일 에스티큐브는 오는 4월 25~30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5)'에서 초록 2건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대장암의 신뢰도 높은 바이오마커로서 BTN1A1의 역할과 BTN1A1-YAP1 이중표적 면역항암 치료 전략에 대한 연구성과다. 첫 번째 발표주제는 '대장암의 바이오마커로서 BTN1A1과 YAP

에스티큐브, 법차손 이슈 해결하고 신약개발 전념…"임상연구 성과 자신"

에스티큐브, 법차손 이슈 해결하고 신약개발 전념…"임상연구 성과 자신"

에스티큐브가 올해 파이프라인의 본격적인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 지난해 탄탄한 재정적 기반을 확충하고 대장암, 소세포폐암 임상에서 긍정적 성과를 도출한 가운데, 오는 3월 감사보고서 제출 이후에는 관리종목에서 공식 해제된다. 19일 에스티큐브는 2024년 결산 결과 자기자본 대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하 법차손) 비율 22.7%로 관리종목 지정요건을 해소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코스닥 상장기업은 자기자본 대비 법차손 비율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50%를 초과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에스티큐브는 지난해 성공적인 자금 조

에스티큐브, ‘넬마스토바트’ 대장암 1b/2상 IND 식약처 제출

에스티큐브, ‘넬마스토바트’ 대장암 1b/2상 IND 식약처 제출

에스티큐브가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기반 대장암 임상을 본격화한다. 여러 암종에서 발현율이 높은 신규 면역항암 타깃 BTN1A1을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 기반 치료전략에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18일 에스티큐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넬마스토바트'의 1b/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임상은 회사주도임상시험(SIT)으로 진행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을 비롯한 글로벌 규제기관의 허가

에스티큐브 신약, 대장암서 생존율 개선 입증…표준치료 대비 PFS 연장

에스티큐브 신약, 대장암서 생존율 개선 입증…표준치료 대비 PFS 연장

면역항암제 '넬마스토바트'를 개발 중인 에스티큐브가 3차 치료 이상 중증 전이성 대장암에서 질병 진행 없이 생존할 수 있는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을 4.4개월로 늘리며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이는 기존 표준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티바가나 론서프의 평균 mPFS 2개월 대비 2배 이상의 월등한 효과다. 에스티큐브는 오는 23~25일 미국에서 열리는 'ASCO GI 2025(미국 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서 이수현 고대안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연구팀이 '전이성 대장암에서 확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