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 K-뷰티 흥행에 피부외용제 성장…매출 이끈다

SNS 광고에 해외 관광객 인지도 제고…명동 약국 전면 배치
피부외용제 3개 모두 라인 고속 성장…OTC 매출 리딩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8-13 05:59

명동 소재 약국 전면에 위치한 동아제약 피부외용제 광고. 사진=조후현 기자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동아제약 피부외용제가 K-뷰티 흥행에 힘입어 해외 관광객으로부터 주목받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매출 고속성장으로 이어지며 매출 기여도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12일 동아쏘시오홀딩스 IR 자료에 따르면 동아제약은 상반기 피부외용제 매출 35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63억원 대비 34.98% 증가한 수치다.

품목별로는 '멜라토닝'이 110억원으로 전년 동기 67억원 대비 64.18% 증가하며 피부외용제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애크논'도 125억원으로 전년 동기 96억원 대비 30.21% 증가했고, '노스카나'도 100억원에서 120억원으로 25% 증가하며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이 같은 피부외용제 고속성장엔 제품 강점에 K-뷰티 흥행이 더해진 결과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피부외용제 성장에는 질환 증상에 따른 맞춤 솔루션을 제공, 선택 폭을 확대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해외 SNS에서 K-뷰티를 소재로 한 게시글이 늘어나며 외국인 사이에서 피부외용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고, 구매까지 이어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기자가 찾은 명동 소재 약국에서는 노스카나, 애크논, 멜라토닝 등 제품 사진이 가게 전면에 배치된 사례가 다수 확인됐다.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제품 특성이 부연되기도 했다.

A 약국 직원은 "SNS에서 인플루언서가 하는 광고를 알아보고 찾아 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B 약국 약사는 "외국 관광객이 마케팅 영향으로 동아제약 제품을 찾은 건 이미 오래된 일이다. 몇 년 전부터 나타난 현상"이라고 말했다. 
K-뷰티 흥행 영향이 더해진 피부외용제 제품 매출은 모두 빠르게 성장하며 매출 기여도를 높이고 있다.

2022년부터 회사 IR 자료에 주요제품으로 이름을 올린 애크논 매출은 42억원에서부터 2023년 126억원, 지난해 203억원까지 증가했고, 같은 기간 멜라토닝은 24억원에서 85억원, 116억원까지 성장했다. 2021년 128억원에서 2022년 118억원으로 하락했던 노스카나도 2023년 171억원, 지난해 209억원까지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피부외용제 라인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매출에 기여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라인업이 구축된 2022년 이후 피부외용제가 OTC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73%에서 2023년 24.97%, 지난해 29.8%까지 확대됐다. 올 상반기의 경우 32.13%를 기록했다.

동아제약 OTC 매출은 IR 자료에 따로 표기하기 시작한 2021년 1097억원에서 지난해 1772억원까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전년 대비 성장률은 15.9%를 기록했고, 올 상반기엔 피부외용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6.29%를 기록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피부외용제가 이끄는 OTC 매출 성장이 올해 동아제약 매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IR 자료를 통해 '2분기 동아제약 일반의약품 부문은 여전히 피부외용제가 성장을 주도하며 23.2% 성장했다. 올해 경기침체 영향에도 일반의약품 부문 성장 주도로 지난해와 비슷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보기

동아제약 연매출 7000억 넘어서나…피부외용제 실적 주목

동아제약 연매출 7000억 넘어서나…피부외용제 실적 주목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동아제약이 올해 매출액 7000억원을 기록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피부외용제 등 일반의약품은 이 회사 실적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동아제약은 피부외용제 매출액을 늘리기 위해 신제품 출시, 광고를 이어가고 있다. 2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동아쏘시오그룹 자회사 동아제약 올해 매출액은 7000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상상인증권은 최근 기업분석 보고서에서 이 회사 올해 매출액을 전년 대비 5.3% 증가한 7146억원으로 예상했다. 실적이 증권사 전망에 부합하는 경우, 동아제약은 성장세를 이어간다. 이

동아제약, 좁쌀여드름 치료제 '애크린 겔' 신규 광고 온에어

동아제약, 좁쌀여드름 치료제 '애크린 겔' 신규 광고 온에어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좁쌀여드름 치료제 애크린 겔이 신규 광고를 온에어한다고 18일 밝혔다. 신규 광고 영상은 깨끗한 세안과 꾸준한 피부관리로도 지속 발생하는 좁쌀여드름을 보여주며 좁쌀여드름을 없애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해야 한다고 전한다. 이어 애크린 겔의 주성분인 살리실산 2%를 통한 각질 제거 및 여드름균 증식 억제 효능을 강조하며 "좁쌀여드름 치료에는 애크린 겔"의 나레이션으로 마무리한다. 광고에는 신예 모델인 최희진이 브랜드 모델로 출연해 광고의 몰입도를 더했다. 최희진은 최근 방영된 드라마 '천국보다

동아제약 '노스카나겔', 영타겟 소비자 광고 캠페인 온에어

동아제약 '노스카나겔', 영타겟 소비자 광고 캠페인 온에어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여드름 흉터 치료제 노스카나겔이 영타겟 소비자를 겨냥한 광고 캠페인을 온에어 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TVC 뿐 아니라 노스카나겔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영타겟 소비자들의 Funnel(고객이 제품을 인지하고 구매까지 도달하는 단계)별 디지털 콘텐츠로 구성해 노스카나겔의 제품력을 단계별로 보여줌으로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계획이다. 디지털 콘텐츠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의 숏폼형태(쇼츠, 릴스)를 활용해 영타겟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였으며, 챌린지, 시즌 밈 등의 인기 소재를 적용해 몰입감

동아제약, 색소침착치료제 '멜라토닝크림' 광고 온에어

동아제약, 색소침착치료제 '멜라토닝크림' 광고 온에어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색소침착치료제 '멜라토닝크림' 광고 캠페인을 온에어한다고 17일 밝혔다. TV 광고는 전년도에 이어 배우 박지현이 출연한 광고로 17일부터 재개하며, TV 광고 외에 디지털 콘텐츠를 신규로 선보인다. 디지털 콘텐츠는 주 타겟층인 3040 소비자들의 Funnel(고객이 제품을 인지하고 구매까지 도달하는 단계)별로 구성해 멜라토닝크림에 대한 제품 이해도를 높일 계획이다. 신규 디지털 콘텐츠는 소비자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일상의 소재를 담았다. 색소 침착된 피부 때문에 사진 보정 어플에 의존할 수밖

동아제약, 여드름 치료제 '애크논 크림' 출시 1년만에 '판매 1위'

동아제약, 여드름 치료제 '애크논 크림' 출시 1년만에 '판매 1위'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의 여드름 치료제 '애크논 크림'이 출시 2년만에 외용 여드름 치료제 판매 1위에 올랐다. 애크논 크림은 지난 2020년 7월 동아제약에서 출시한 뾰루지·여드름 치료제다. 항염 효과와 여드름균의 지방분해효소 생성을 억제하는 이부프로펜피코놀과 항균 작용과 여드름균 증식을 억제하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이 주성분이다. 특히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이 기존 뾰루지·여드름 치료제에 비해 함량이 약 3배 높아 뾰루지, 붉은 여드름, 화농성 여드름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외용 여드름 치료제 시장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