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50% 육박…재무 건전성 변화 주목

91곳 부채비율 평균, 지난 6월 말 49.01%…전년比 2.68%p↑
자본 합계 1.05% 증가하는 동안 부채 합계 1.11% 늘어
91곳 中 50곳, 부채비율 증가…한국유니온제약 재무 부담↑
나머지 41곳 부채비율↓…JW신약, 자본 2배↑·부채 31.6%↓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8-21 11:56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⑥부채비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부채비율 평균이 50%에 가까워졌다. 자본 합계가 증가했으나 부채 합계가 더 큰 폭으로 늘어서다. 91곳 중에서 50곳은 부채비율이 상승했고, 재무 건전성 변화가 큰 업체가 눈길을 끌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부채비율 평균은 지난 6월 말 기준 49.01%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46.32%와 비교 시, 2.68%p 늘었다.

부채비율 평균 상승은 부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91곳 자본 합계는 57조82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2조8187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채 합계는 지난해 25조4804억원에서 올해 28조3386억원으로 1.11%(2조8582억원) 늘었다.

업체별 부채비율 증감을 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50곳은 지난 6월 말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91곳 부채비율 평균이 상승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반면, 나머지 41곳 부채비율은 하락했다.
한국유니온제약 재무 부담 늘어…부채비율 20%p 미만 증가한 업체 가장 많아

재무 부담이 증가한 50곳 가운데 부채비율이 40%p 이상 늘어난 회사는 6곳이다. 조아제약·한독·대봉엘에스·메디포스트 등 4곳은 자본이 감소하고 부채가 증가하면서 부채비율이 상승했다. 진양제약은 자본이 36.03% 늘고 부채가 2.6배 이상 증가하면서 부채비율이 높아졌다.

특히 한국유니온제약은 지난 6월 말 부채(652억원)가 전년 동기 대비 5.28% 감소했고 자본(16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93.28% 줄면서, 부채비율이 3833.2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0곳 중에서 11곳은 지난 6월 말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20%p 이상 40%p 미만 상승했다. 11곳 가운데 동성제약·삼일제약·동구바이오제약 등 3곳은 부채비율이 30%p 이상 증가했고, 나머지 8곳 부채비율은 20%p 이상 30%p 미만 늘었다.

8곳 가운데 GC녹십자와 경보제약 부채비율은 100%를 넘어섰다. 아울러 SK바이오사이언스와 파마리서치는 지난 6월 말 부채가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하며, 부채비율이 10%대에서 40%대로 상승했다.

지난 6월 말 부채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0%p 초과 20%p 미만 증가한 업체는 33곳이다. 현대약품·알리코제약·서울제약·대웅제약·한국파마 등 5곳은 부채비율이 10%p 이상 20%p 미만 늘었다.

나머지 28곳 중에서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일동제약이다. 이 기업 부채비율은 264.37%로, 전년 동기 263.33% 대비 1.04%p 상승했다. 지난 6월 말 자본과 부채가 전년 동기 대비 3.74%, 3.36% 줄어든 결과다.

JW신약·SK바이오팜·에이비엘바이오 등 부채비율 두 자릿수로 감소한 기업 눈길

이와 달리, JW신약 부채비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67.05%로 전년 동기 199.75% 대비 132.7%p 하락했다. 자본이 2배 이상 증가하고 부채가 31.58%가량 감소한 게 부채비율 감소로 이어졌다.

SK바이오팜·코오롱생명과학·에이비엘바이오 등 3곳은 부채비율이 60%p 이상 100%p 미만 줄었다. 공시 자료에 따르면, 코오롱생명과학은 부채가 증가했으나 자본이 2배 이상 늘면서 상쇄했다.

특히 SK바이오팜과 에이비엘바이오는 자본이 늘고 부채가 감소하며, 부채비율이 세 자릿수에서 두 자릿수로 줄었다.

부채비율이 40%p 이상 60%p 미만 하락한 곳은 JW중외제약·제일약품·이수앱지스 등 3곳이다. 업체 3곳은 모두 지난 6월 말 기준 자본을 전년 동기 대비 늘리고, 부채를 줄였다. JW중외제약은 부채비율이 134.19%에서 82.53%로 감소했다.

명문제약과 국전약품은 부채비율이 20%p 이상 40%p 미만 감소한 기업이다. 명문제약은 지난 6월 말 자본이 전년 동기 대비 21.83% 증가하고 부채가 8.08% 늘면서 부채비율이 하락했다. 국전약품 부채비율 감소는 자본이 증가하고 부채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부채비율이 0%p 초과 20%p 미만 감소한 업체는 32곳이다. 32곳 가운데 신일제약·휴온스·HK이노엔·신신제약·하나제약·동국제약·삼성바이오로직스·보령·삼성제약·JW생명과학 등 10곳은 부채가 증가했으나 자본이 더 큰 폭으로 늘면서 부채비율이 하락했다.

관련기사보기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판관비율 30.65%…전년比 1.74%p↓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④판매·관리비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판매관리비율(판관비율)이 전년 대비 낮아졌다. 전체 매출 증가율이 판관비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비용 효율이 개선된 것이다. 다만 기업별로는 상승과 하락이 반반으로 갈리며, 구조적 차이는 뚜렷한 모습이다. 19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을 분석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원가율 50.7%…전년比 2.26%p↓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원가율 50.7%…전년比 2.26%p↓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③매출원가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평균 매출원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하며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업 절반 이상은 여전히 매출 절반 이상을 원가로 지출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매출보다 원가가 더 큰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는 등 업계 내 양극화가 나타났다. 18일 메디파나뉴스가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연결·개별 재무제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수익성↑…휴젤·에이비엘바이오 눈길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수익성↑…휴젤·에이비엘바이오 눈길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②영업이익률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평균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이 시기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휴젤, 영업이익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업체는 에이비엘바이오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평균은 11.97%다. 92곳 영업이익 합계 증가율이 매출액 대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 10.9%↑…영업익·순이익 개선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매출 10.9%↑…영업익·순이익 개선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①영업실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상위권 업체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세를 나타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동반 상승하며, 업계 수익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메디파나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연결·개별 재무제표 기준)를 분석한 결과, 상장 제약·바이오 92곳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