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평균 급여 3316만원…전년比 2.0% ↑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 수 5000명 돌파…SK바이오팜·리가켐 고임금 유지
에이비엘 급여 62.8% ↑ ‘최대폭 상승'…휴젤·팜젠사이언스는 감소해
전체 직원 수 6만2874명…1년 새 2.81% 증가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8-30 05:59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⑬직원수 및 평균급여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직원들의 올해 상반기 평균 급여가 3316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평균 3251만원보다 65만원(2.0%)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직원 수는 6만1158명에서 6만2874명으로 1716명 증가(2.81%)하며 고용 규모도 소폭 확대됐다.

29일 메디파나뉴스가 코스피·코스닥 상장 제약·바이오사 92곳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업계 전반적으로 보상 수준과 고용 모두 증가세를 보였으나 기업별 편차는 두드러졌다.

상반기 평균 급여가 가장 높은 기업은 SK바이오팜으로, 1인당 77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6700만원 대비 14.9% 늘어난 수치로, 남성 8700만원·여성 6700만원으로 성별 격차가 컸다.

리가켐바이오(7600만원)와 에이비엘바이오(7000만원)도 고임금 상위권에 올랐다. 특히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상반기 4300만원에서 올해 상반기 7000만원으로 2700만원(62.8%) 증가하며 전체 기업 중 급여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 외에도 대원제약(4100만원), 일양약품(4000만원), 이연제약(4000만원) 등이 4000만원대를 유지했다. 반면 전통 제약강자인 유한양행은 5500만원에서 4600만원으로 1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별 급여 증감률을 보면 동성제약이 평균 급여 증가율 100%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하나제약(68.8%) 에이비엘바이오(62.8%) 등이 60% 대의 평균 급여 상승을 보였다. 또한, 옵투스제약(17.4%), 유바이오로직스(15.2%), 휴메딕스(10.7%) 등도 두 자릿수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휴젤(-46.0%), 팜젠사이언스(-38.6%), SK바이오사이언스(-17.4%), 유한양행(-16.4%) 등은 급여가 크게 줄었다. 특히 휴젤은 지난해 상반기 6300만원에서 3400만원 수준으로 감소하며 하락폭이 가장 컸다.

다만 사업보고서 상 '1인 평균 금여액'은 임원 보수, 계약직 비중, 고용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 비교 결과만 갖고 분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고려돼야 한다.

이와 함께 직원 수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5273명으로 최다 직원 수를 기록했다. 이어 셀트리온(3003명), GC녹십자(2411명), 한미약품(2400명), 종근당(2347명), 유한양행(2123명) 등이 뒤를 이으며 '2000명 이상 클럽'을 형성했다.

아울러, 92개사의 평균 직원 수는 683명으로, 전년 동기 665명보다 2.81%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제약바이오 업계는 평균 급여와 직원 수 모두 증가세를 보였지만, 기업별 차이는 더욱 뚜렷해졌다. SK바이오팜·리가켐바이오·에이비엘바이오 등 신흥 바이오기업은 고임금과 급여 상승률에서 두각을 나타낸 반면, 유한양행·SK바이오사이언스·휴젤 등 일부 대형사는 오히려 급여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는 앞서 언급한 한계점과 더불어 각 사 지출비용 구조, 연구개발 투자 전략, 인력 운용 기조 차이 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보기

상장 제약·바이오 77곳 中 48.05%, 상반기 이자보상배율 개선

상장 제약·바이오 77곳 中 48.05%, 상반기 이자보상배율 개선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⑫이자보상배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78곳 영업이익 합계가 대폭 늘면서 이자보상배율 평균이 증가했다. 37곳은 이자보상배율을 개선하며 이런 변화에 영향을 미쳤고, 이자비용이 늘거나 영업이익이 줄면서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진 기업이 눈길을 끌었다. 27일 메디파나뉴스가 공시 자료를 확인한 결과,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78곳 올해 상반기 이자보상배율 평균은 9.47배로 전년 동기 6.56배 대비 상승했다.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ROE 평균↑…기업별 희비 갈려

상장 제약·바이오, 상반기 ROE 평균↑…기업별 희비 갈려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⑪자기자본순이익률(ROE)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올해 상반기 자기자본순이익률(ROE) 평균이 소폭 증가했다. 91곳 가운데 41곳은 순이익 증가 등 변화가 나타나며 ROE 평균 상승을 이끌었다. 나머지 50곳 중에서 다수는 순손실 확대 등 경영실적 악화가 나타났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1곳 올해 상반기 자기자본순이익률(ROE) 평균은 2.78%

87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R&D 인력 8188명…전년比 0.15%p↓

87개 제약·바이오, 상반기 R&D 인력 8188명…전년比 0.15%p↓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⑩연구개발 인력 현황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직원 중 평균적으로 100명 중 13명이 연구개발(R&D) 분야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연구개발 인력은 증가했지만, 전체 인력 증가 폭에 못 미치면서 비중은 소폭 하락했다. 25일 메디파나뉴스가 코스피·코스닥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87곳이 제출한 올해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전체 직원 수는 6만276명으

제약·바이오사 잉여금 54조 돌파…셀트리온 17.7조 '곳간 1위'

제약·바이오사 잉여금 54조 돌파…셀트리온 17.7조 '곳간 1위'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⑨ 잉여금 및 사내유보율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92곳의 올해 상반기 잉여금 총액이 54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셀트리온이 17조7000억원을 상회하며 '곳간 1위' 자리를 지킨 가운데, 휴젤은 유보율 2만%를 넘기며 재무 안정성 지표에서 독보적 위치를 보였다. 25일 메디파나뉴스가 92개 상장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집계한 결과, 이들 기업의 총 잉여금은 54조1238

제약·바이오 '현금성 자산' 반년 간 2.6%↓…삼성바이오 최다

제약·바이오 '현금성 자산' 반년 간 2.6%↓…삼성바이오 최다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2025년도 상반기 경영실적 분석 시리즈] ⑧현금성 자산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92곳의 현금성 자산이 전기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보유 규모는 줄었지만, 기업별 자금 운용 전략에 따라 희비가 엇갈렸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유일하게 1조6000억원대를 돌파하며 업계 최다 보유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22일 메디파나뉴스가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92개 제약·바이오사의 올해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