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기회·강점 노린 선택이었다"

김동중 부사장, GBC서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 설명
4가지 요인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 시장 커질 것으로 전망
고령화, 질병 증가, 과학기술 발전 등 시장 확대 요인 주목
실패 위험 낮고 반도체 생산 능력 활용할 수 있는 CDMO 선택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9-04 05:56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사장. 사진=문근영 기자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 시장에 뛰어들어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서 성공을 거뒀다. 이 회사는 성장하는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기회를 찾아, 위험을 줄이고 강점을 활용했다.

3일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사장은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2025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GBC)'에 참석해 '바이오의약품 시장 전망과 위탁개발생산(CDMO) 선두 기업으로서 삼성바이오로직스 역할 및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그는 이번 발표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의약품 시장에 뛰어든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 회사는 4가지 요인이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키울 것으로 전망했으며, 성공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존에 보유한 역량을 활용하는 CDMO 사업을 선택했다.

4가지 요인 가운데 첫 번째는 'Age-Up'이다. 김 부사장은 "인간 수명이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2050년에 이르면 전 세계에서 50세가 넘는 사람이 전체 인구에서 3분의 1이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나이가 들면 없던 병이 생길 수 있기에 헬스케어나 복지에 대한 수요가 커진다"며 "이렇게 흘러가면 결국엔 의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필요한 의약품이 늘어날 것이라고 봤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요인은 'Disease-Up'이다. 질병, 질환이 늘면서 의약품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는 얘기다. 김 부사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알츠하이머 등을 예로 들며 바이오의약품이 필요한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코로나19 같은 바이러스가 예상치 못한 시점에 출연할 수 있고, 알츠하이머 등 치료방법을 개발해 질병으로 분류하지 않은 것을 질병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면서 "이는 결과적으로 새로운 의약품 수요가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바이오의약품은 항암제가 상대적으로 많다"며 "미국 암환자가 2040년까지 2600만명 발생한다는 예측이 있는데, 이 또한 수요 측면에서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커지는 것과 관련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사장은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세 번째, 네 번째 요인으로 'Science Up'과 'Wealth-Up'을 언급했다.

그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신약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맞춤형 치료가 가능한 의약품이 증가할 것"이라며 "mRNA, ADC 등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치료법이 나오면서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커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Wealth-Up에 대해 "경제 성장에 따라 부가 늘면서 바이오의약품 가격을 감당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 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런 요인에 더해 신약 개발 대비 위험이 낮고 반도체산업에서 보여준 생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CDMO에 진출하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

김 부사장은 이와 관련해 "2000년대 초반 삼성그룹이 앞으로 뭘 먹고 살 것인지 고민하다가 의료기기, 2차전지 등 신사업 후보 5개를 추렸고 그중에 바이오의약품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CDMO를 선택한 건 국내 기업 특성상 10년이 넘는 시간이 걸리고 성공확률이 낮은 신약 개발을 선택하기엔 리스크가 너무 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삼성이 반도체 생산에서 보유한 강점을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데 활용할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며 "다른 회사는 CDMO 공장 건설 후 바이오의약품 양산까지 8년이 걸렸는데, 삼성은 이 기간을 앞당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보기

삼성바이오로직스, 성장세 속 에피스 중장기 전략 제시 과제

삼성바이오로직스, 성장세 속 에피스 중장기 전략 제시 과제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공장 램프업 효과를 바탕으로 2분기 성장세를 지속하면서 하반기까지 성장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다만 하반기 인적분할이 예정된 삼성바이오에피스 중장기 성장전략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도 과제로 제시된다. 24일 증권업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하반기 실적에 대해 긍정적 전망이 나온다. 지난 23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2분기 매출 1조2899억원, 영업이익 475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5%, 9.5%씩 성장한 수치다. 이는 4공장

삼성바이오로직스, 올해 상반기 매출 2조5882억원 달성

삼성바이오로직스, 올해 상반기 매출 2조5882억원 달성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23일 공시를 통해 4공장의 매출 기여 증대와 바이오시밀러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2조5882억원, 영업이익 962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44억원, 영업이익은 3065억원이 각각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결 기준 2분기 매출은 1조2899억원, 영업이익 4756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30억원, 411억원 증가했다. 이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공정공시를 통해 올해 연결 기준 연간 매출 성장 전망치를 직전 20~25%에서 25~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ADC로 '3대축 확장' 본격화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ADC로 '3대축 확장' 본격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4E(Excellence)'를 기반으로 ▲생산능력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지리적 거점 등 3대 축 확장을 통한 톱티어 바이오 회사로의 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사장)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JPMHC)에서 "2024년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E를 통해 굳건한 성장세를 유지해냈다"며 "2025년에도 5공장 준공 및 항체&mi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원' 역대 최대 규모 수주로 새해 시작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원' 역대 최대 규모 수주로 새해 시작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새해 시작과 함께 2조원 규모의 역대 최대 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2025년 첫 수주 성과를 알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14일 공시를 통해 유럽 소재 제약사와 2조 747억원(14억 1011만달러) 규모의 초대형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창립 이래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해 전체 수주 금액(5조 4035억원)의 40% 수준이다. 계약 기간은 2030년 12월 31일까지며, 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