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캡시다 임상 중단에 대안 부상 주목

바이러스 벡터 문제 부각…이중항체 안전성 재평가
"BBB 전달 기술 안전성 핵심…빅파마 관심 증가할 듯"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9-17 11:57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이 미국 캡시다 바이오테라퓨틱스(Capsida Biotherapeutics) 임상 중단 사례로 인해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키움증권은 최근 산업 분석 보고서를 통해 캡시다 임상 중단이 에이비엘바이오 기술에 대한 재평가와 빅파마 관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캡시다는 STXBP1 뇌병증을 앓고 있던 18개월~7세 아동 대상 AAV 기반 유전자 치료제 'CAP-002' 1/2상 진행 과정에서 첫 투약 후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 자발적으로 임상 중단을 발표했다.

기존 AAV 치료제는 고용량 투여 시 간 독성과 면역반응, 사망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캡시다는 안전하게 뇌혈관장벽(BBB)을 투과하면서도 통증 및 감각 이상을 일으키는 등쪽 신경절(DRG)과 간에는 가지 않도록 뇌 신경세포 특이적 캡시드를 제작, 유전자 치료 전신 독성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전임상에서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했으나, 1호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원인으로는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이나 간 독성 등 기존 AAV 유전자 치료제에서 보고된 부작용일 가능성이 제기돼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를 활용한 BBB 타깃 플랫폼 기술로 최근 1상에서 안전성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바이러스 벡터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면서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플랫폼이 대안으로 재평가되며 빅파마 관심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BBB 전달 기술 안전성 근거 확보가 핵심 관건으로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며 "바이러스 벡터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며 이중항체 플랫폼이 대안으로 재평가되며 빅마파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사례는 AAV 기반 CNS 유전자 치료제 리스크를 재조명할 것으로 평가된다. FDA는 유전자 치료제 전반에 대해 안전성 감독을 강화하는 추세로, AAV 기반 CNS 유전자 치료제 임상 기준도 한층 엄격해질 수 있어 안전 이슈와 규제 환경 강화 추세가 예상된다는 시각이다.

이는 CNS 질환 표적 유전자 치료제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으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캡시다는 AAV로 뇌혈관장벽(BBB) 투과 분야 선두주자였지만, 이번 사례로 지난 6월 진입한 파킨슨 치료제 임상 역시 중단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BBB 투과 기술 자체의 안전성에 대한 근본적 의구심이 다시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위암 환자 1차 치료제로 'ABL111' 개발 가속

에이비엘바이오-아이맵, 위암 환자 1차 치료제로 'ABL111' 개발 가속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미국 바이오 기업 아이맵(I-Mab)과 공동 개발 중인 'ABL111(지바스토믹, Givastomig)'의 임상 개발을 가속화한다고 9일 밝혔다. 양사는 2026년 1분기에 현재 진행 중인 ABL111(지바스토믹)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1b상 용량 확장(Dose Expansion) 파트의 탑라인(Top-line) 데이터를 발표하고, 추가적인 임상 1b상과 후속 임상 2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ABL111(지바스토믹)은 클라우딘18.2(Claudin18.2)와 4-1BB를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로, 현재

R&D 측면서 에이비엘바이오·한올바이오파마 눈길 끌어

R&D 측면서 에이비엘바이오·한올바이오파마 눈길 끌어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에이비엘바이오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증권업계에서 나왔다.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 1상에서 BBB셔틀 플랫폼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가 나왔을 것으로 보여서다. 또한 한올바이오파마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HL161BKN)' 시장 경쟁력을 평가받을 기업으로 꼽혔다. 5일 이선경 SK증권 연구원은 산업분석 보고서에서 에이비엘바이오를 주목했다. 사노피가 'ABL301' 2상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ABL301 1상 뇌혈관 장벽(BBB) 투과율에서 경쟁력 있

에이비엘바이오, 'ABL301(SAR446159)' 美 임상 1상 결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 'ABL301(SAR446159)' 美 임상 1상 결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대표 이상훈)는 파킨슨병 등 퇴행성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 'ABL301(SAR446159)'의 건강한 성인 대상 미국 임상 1상에서 안전성 및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에이비엘바이오는 2022년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건강한 성인 91명을 대상으로 ABL301 정맥주사 투여 시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과 약력학적 특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을 진행했다. ABL301(SAR446159)의 임상 1상은 단일용량증량시험(Single Ascending Dose, SAD)과 다중용량증량시험(Multi

에이비엘바이오, 'ABL301·111' 임상 진전…BBB·ADC 본격 확장

에이비엘바이오, 'ABL301·111' 임상 진전…BBB·ADC 본격 확장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에이비엘바이오가 사노피와 공동 개발 중인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의 임상 스폰서십을 전면 이관한 데 이어, CLDN18.2 타깃 이중항체 'ABL111'의 트리플 병용요법 임상에서 유의미한 반응률을 확인하며 R&D 사업 성과를 이어갔다. 또 BBB 셔틀 플랫폼의 모델리티 확장과 미국 자회사를 통한 ADC 임상 본격화도 가시화되며, 이중항체 플랫폼 기반 다중 파이프라인 전략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이사는 28일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발표를 맡아 "'ABL301'은 임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