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열홍 사장 "렉라자 성공 비결, 유한양행만의 도전 정신"

후보물질 불과 레이저티닙 도입한 2015년 선도물질 FDA 허가  
"수년 뒤쳐져 절대 성공할 수 없다 했지만…병용 전략으로 극복"
"그 결과 렉라자 글로벌 표준치료 격상…매출 더 커질 것"

최성훈 기자 (csh@medipana.com)2025-09-22 11:02

김열홍 유한양행 연구개발(R&D) 사장. 사진 = 최성훈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상당히 많은 전문가들은 이미 선도 물질(오시머티닙)이 FDA 허가를 받고 시장에 출시됐는데, 왜 지금 치료 시장에 뛰어드느냐. 어떤 분들은 이건 절대 성공할 수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김열홍 유한양행 연구개발(R&D) 사장이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코넥트 임상시험 국제 콘퍼런스(KIC)’에 기조강연을 맡아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레이저티닙)'의 글로벌 성공 비화를 공개했다. 

김 사장은 고려대 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로 재직한 인물로, 암 연구 및 치료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의 석학으로 꼽힌다. 그는 렉라자 임상 등을 수행하다 2023년 3월 유한양행 연구개발(R&D) 사장으로 합류했다. 

그에 따르면 렉라자 글로벌 성공은 유한양행의 '도전 정신'에 있었다. 수년이나 뒤쳐졌던 선도 제품과 경쟁에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었던 비결은 적극적인 R&D 투자였다.  

유한양행이 제노스코로부터 후보물질에 불과했던 레이저티닙을 기술 도입(라이선스 인)했던 시기는 2015년이었다. 

그럼에도 많은 전문가들은 유한양행과 렉라자의 실패를 예상했다고 했다.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오시머티닙)'가 이미 같은해 미국 FDA에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어 회사는 2018년 존슨앤드존슨(J&J)과 레이저티닙 기술수출(라이센싱 아웃) 논의를 시작했음에도, 사람들은 의구심을 가졌다고 했다. 같은해 오시머티닙은 FDA에서 1차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장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김 사장은 "많은 전문가들은 이미 선도 물질이 저렇게 치고 나가는데, 언제 임상을 해서 따라잡을 거냐 절대 성공할 수가 없다는 반응이 대다수였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유한양행과 J&J는 자신이 있었다고 했다. 바로 병용요법 임상 전략을 통해서다. 

김 사장은 "우리는 J&J와 병용요법을 통해 선두 주자를 극복해보자는 전략을 취했다. 또 임상에서 나타나는 3세대 TKI 치료제들의 부작용들을 타깃하는 3상 임상을 동시에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에 2020년부터 유한양행과 J&J는 동시다발적으로 총 5개의 렉라자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을 진행했다고 했다. 그중 하나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치료제로서 렉라자-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MARIPOSA 연구다. 

또 김 사장은 "유한양행은 2021년 렉라자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폐암 치료제로 허가를 받자마자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을 25개나 진행했다"고 했다. 

이를 통해 환자 2700명에게 렉라자 치료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임상의들에게도 관련 경험을 제공했다.

그 결과 지금은 글로벌이 인정하는 폐암치료제가 됐다는 것이다. 특히 올해 3월 유럽폐암학회 연례학술대회(ELCC 2025)에선 MARIPOSA 연구의 최종 전체생존(OS) 데이터가 공개되면서 글로벌 표준요법으로 우뚝 섰다.

김 사장은 "올해 초 장기 생존 데이터가 나오면서 NCCN 가이드라인 카테고리1으로 올라가게 됐다"며 "또 조만간 리브리반트 피하주사(SC) 제형이 승인되면 환자 편의성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시장 점유율을 올릴 거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J&J는 리브리반트+렉라자 병용요법만으로 2027년엔 약 50억달러(한화 약7조원)가까운 연매출을 올릴 수 있을 거라 예상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관련기사보기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OS 연구 NEJM에 정식 게재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OS 연구 NEJM에 정식 게재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에서 유한양행 '렉라자(레이저티닙)'와 존슨앤드존슨(J&J) '리브리반트(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의 전체 생존기간(OS)을 다룬 MARIPOSA 연구가 세계 최고 권위 의학 학술지(IF: 158.5)에 정식 게재됐다. 지난해 6월 NEJM 종양학 분야 첫 게재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 게재다. 지난 7일(현지시간)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은 'EGFR 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아

유한양행, 올해도 2조 매출 돌파‥원료 수출 · 렉라자 기술료 뒷받침

유한양행, 올해도 2조 매출 돌파‥원료 수출 · 렉라자 기술료 뒷받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유한양행이 해외 사업 호조와 렉라자 영역 확장에 힘입어 2년 연속 매출액 2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원료 수출 확대는 해외 사업 실적 증가로 이어지고, 유럽 등 렉라자 출시로 마일스톤 기술료가 들어올 예정이다. 3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 올해 예상 매출액(별도 재무제표)은 2조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모든 증권사는 유한양행이 지난해 국내 제약사 가운데 처음으로 매출액 2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실적을 전년 대비 늘린다고 보고 있다. 이런 전망이 나온 이유는 주요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

유한양행, R&D전담 사장에 김열홍 고려대 의대 교수 선임

유한양행, R&D전담 사장에 김열홍 고려대 의대 교수 선임

유한양행(대표 조욱제)이 3월 2일 R&D전담 사장으로 김열홍(金烈弘, 64세, 사진) 고려대 의대 종양혈액내과 교수를 선임했다. 김열홍 사장은 고려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역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암 연구 및 치료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의 석학으로 꼽힌다. 보건복지부지정 폐암·유방암·난소암 유전체연구센터 소장, 한국유전체학회 회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암센터 센터장, 대한 암학회 이사장, 아시아암학회 회장 등

"'렉라자', T790M 음성 뇌 전이 폐암 표준요법 자격 충분"

"'렉라자', T790M 음성 뇌 전이 폐암 표준요법 자격 충분"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지난해 1월, 국내에서 3세대 EGFR TKI(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에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전까지 대다수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에는 1세대 또는 2세대 약제가 사용돼왔다. 하지만 1·2세대 약제는 '뇌혈관장벽(BBB)' 투과율이 낮아 뇌 전이에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전신 병변은 안정적이지만, 뇌로만 국한돼 병이 진행되는 환자가 상당히 많았다. 결국 1·2세대 약제를 활용한 1차 치료에 실패한 환자 중 일부에게선 내성 인자인 'T790M' 변이가 발현하는데,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