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퇴' 인터넷 검색량, 자살과 연관성

최원석 교수팀, 청소년 검색 패턴과 자살 연관성 규명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3-05-09 09:56

국내 청소년 '자퇴(Dropout)' 인터넷 검색량이 자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원석<사진> 교수 연구팀(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현주 교수, 교신저자)은 지난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사망한 13세부터 18세 학생들의 익명화된 자살사망 데이터(교육부,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를 네이버 데이터랩(Naver Datalab)에서 추출한 총 26개 국내 청소년 자살 및 자해 관련 단어 검색량과의 연관성을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또한 검색어 변화와 실제 자살시점과 시간차를 확인하기 위한 교차 상관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인터넷 검색량과 자살 사망 연관성에선 특히 자퇴(Dropout) 검색량이 남성 및 여성 청소년, 전체 인구 모두에서 자살과의 연관성이 있었다. 

자퇴 검색량 변화와 실제 청소년 자살 사망간의 시간 간격은 아주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자살 사망과 검색량 간의 상관성이 가장 높은 시간 간격은 남, 녀, 전체 인구에서 모두 0일 이었다.

추가로 여성 청소년의 경우 자해(Self-harm) 및 성적(Academic Score) 관련 검색량이 자살 사망과 연관성을 보였으며 각각 사망시점으로부터 0일, -11일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인구에서는 자해(Self-harm)와 자살방법(Suicide method) 검색량이 각기 사망시점으로부터 +7일과 0일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다른 국가와 달리 국내에서 우울(depression) 검색량과 자살과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국가 자살예방정책의 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및 의료정보학 분야 국제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IF 7.077) 2023년 4월호에 게재됐다.

정신건강의학과 최원석 교수는 "이전 연구들은 구글 검색 기반이나, 이번 연구는 국내 인터넷 검색 점유율 1위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국내 현실을 비교적 정확히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자퇴(dropout)를 고려하고 있는 국내 학생들에게 자살사고나 자살 가능성에 대한 사전 평가가 자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살은 10~20대 국내 사망 원인 1위로, 코로나 펜데믹 이후 학생 우울, 외로움 및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과 같은 문제가 늘어나는 등 최근 청소년 정신건강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