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기] 전진하는 동국제약, 헬스케어 끌고 전문·일반약 밀고

의약품 및 헬스케어 사업 실적 비중, 매출서 70%대 중후반
전문약 매출 지속적으로 늘어…신제품 연구개발 이어가
'마데카솔' 등 앞세운 일반약 실적↑…약국 직거래 확대 영향
헬스케어 사업 실적, 2019년부터 전문·일반약 매출 넘어서
브랜드 런칭 및 품목 늘리며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넓혀

문근영 기자 (mgy@medipana.com)2025-09-01 05:58

과거부터 현재까지 제약사들은 의약품을 중심으로 성장해왔고, 바이오업체들은 그 외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과 전략에 도전하며 변화를 이끌고 있다. 끝없는 성장과 변화는 제한돼있는 내수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각 제약사와 바이오업체는 선택과 집중, 다각화와 전문화 등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주력사업' 확보와 유지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에 주력사업 살펴보기, 줄여서 '주사기' 코너에서는 각 제약사와 바이오업체 성장에 앞장서고 있는 주력사업이 갖는 입지와 영향력, 향후 전망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주>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동국제약이 창립 60주년을 바라보고 있다. 이 회사는 1968년 국내 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후 '대한민국 최고의 토탈 헬스케어 그룹'을 미션으로 설정하고 사업을 키우면서 성장을 꾀하는 중이다.

특히 동국제약은 전문의약품을 비롯해 일반의약품, 헬스케어를 주력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의약품 제조 및 판매뿐만 아니라 혁신형 제약기업으로서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하며,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확장 등을 진행 중이다.

주력 사업 지위는 이 회사 매출액에서 드러난다. 메디파나뉴스가 공시(연결 재무제표)·기업설명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문의약품·일반의약품·헬스케어 사업이 동국제약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각각 23.05%, 18.99%, 34.49%다.

해당 수치를 더하면, 주력 사업 매출액 비중 합계는 올해 상반기 동국제약 실적에서 76%가 넘는다. 비중 합계가 전년 동기 78% 대비 소폭 줄었으나, 2023년부터 70%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품목 앞세워 전문약 매출↑…기술력 바탕으로 R&D 지속

사업 부문별로 구분하면, 전문의약품 사업 매출액은 증가세다. 동국제약은 2019년에 전문의약품 매출액 1000억원 고지를 밟았다. 이후 전문의약품 매출액은 매년 증가했고, 지난해 2000억원을 넘어섰다.

실적이 증가하는 추세는 올해까지 이어졌다. 전문의약품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1054억원으로, 전년 동기 974억원 대비 8.2% 늘었다. 동국제약이 전문의약품 상반기 실적으로 1000억원을 기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실적 확대가 나타난 배경엔 전신마취제 '포폴(프로포폴)', 항암제 '로렐린데포(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제 '로수탄젯(로수바스타틴칼슘, 에제티미브)', 야뇨증 치료제 '데스민(데스모프레신아세트산염)' 등 주요 품목이 있다.

이 가운데 포폴과 로수탄젯 매출액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8.6%, 11.9% 증가했다. 또한 동국제약은 같은 기간 데스민과 로렐린데포 매출액을 각각 연평균 9.5%, 6.4% 늘렸다.

동국제약이 R&D를 거쳐 확보한 기술은 이런 성과를 뒷받침했다. 이 회사는 포폴에 합성·입체 화학기술을 적용했으며 약물전달시스템(DDS)을 기반으로 로렐린데포를 개발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은 실적 성과를 이어갈 새로운 전문의약품 출시로 이어질 전망이다. 약물 방출 속도를 조절하는 기술 '마이크로스피어'를 적용한 말단비대증 치료제 'DKF-MA201'와 체내 약물 독성을 줄이는 기술 '리포좀'을 활용한 진균감염 치료제 'LA-101'을 개발하고 있어서다.
마데카솔 등 일반약 국내 시장 점유율 상승…약국 직거래 늘린 게 주효

일반의약품 사업 부문은 전문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실적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동국제약 일반의약품 매출액은 2018년 1000억원을 넘어선 후 증가세가 이어지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주춤했으나, 이후 최대 실적을 회복한 데 이어 지난해 1614억원까지 늘었다.

연평균 성장률로 나타내면, 일반의약품 매출액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8.1% 증가한 셈이다. 또한 동국제약은 올해 상반기에 일반의약품 매출액(868억원)을 전년 동기 792억원 대비 9.6% 늘리며 실적 성장 흐름을 이어갔다.

주요 품목은 이런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이 회사는 전립선 비대증 개선제 '카리토포텐연질캡슐(쿠쿠르비트종자유엑스(15~25→1))' 국내 시장 점유율을 2023년 80.4%에서 지난해 92.4%로 높인 바 있다.

동국제약이 1970년에 출시한 상처 치료제 '마데카솔'도 시장 점유율이 증가한 품목이다. 회사 자료에 따르면, 마데카솔 국내 시장 점유율은 2022년 29.5%에서 2023년 31.7%로 늘었으며 지난해 35.9%까지 상승했다.

일반의약품 직거래 비중 확대는 이런 성과를 끌어낸 요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동국제약 일반의약품 매출액 중에서 약국 직거래 비중은 2022년 82.5%에서 지난해 85.6%로 증가했다. 이 회사는 고객(약국)과 접점을 늘린 게 마케팅 측면에서 효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동국제약은 일반의약품 R&D로 이런 성과를 이어갈 품목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천연물 추출 기술을 바탕으로 카리토포텐연질캡슐, 마데카솔과 같은 품목을 시장에 내놓기 위해 탈모 치료제, 경구형 치질약을 연구 중이다.
헬스케어 사업, 동국제약 성장 견인…포트폴리오 다각화·유통채널 다변화

주력 사업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헬스케어 사업은 회사 성장을 이끌고 있다. 동국제약은 헬스케어 사업 매출액을 2017년 810억원에서 지난해 2736억원으로 8년 새 3배 이상 늘렸다. 연평균 성장률로 환산 시, 매년 19% 증가한 셈이다.

이 회사 실적에서 헬스케어 사업 매출액이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 사업 실적보다 커진 건 2019년부터다. 당시 헬스케어 사업 연간 매출액(1357억원)은 처음으로 전문의약품(1081억원)과 일반의약품(1210억원) 실적을 뛰어넘었다.

동국제약은 헬스케어 사업 성공 요인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꼽는다. 천연물 원료 쓰임새를 일반의약품뿐만 아니라 더마코스메틱 브랜드로 확장하며, '센텔리안 24'를 런칭하고 품목 라인업을 늘린 게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유통채널 다변화도 헬스케어 사업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다. 이 회사는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등 온라인 유통채널을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고, 해외 인플루언서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했다.

또한 동국제약은 지난해부터 온·오프라인 통합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리브영을 비롯해 다이소, 코스트코 등 오프라인 유통 비중을 확대하며 판매 수수료를 낮추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중이다.

아울러 이 회사는 생활용품과 건강기능식품으로 헬스케어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마데카솔 주요 성분인 센텔라 정량추출물을 기반으로 '마데카 메디패치' 등 의약외품을 개발했고, 건기식 브랜드 '마이핏'을 중심으로 관련 사업을 전개하며 2029년까지 개별인정형 건기식 5개 품목을 출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보기

동국제약, '마이핏 키해피' 8만포 판매 돌파기념 프로모션 진행

동국제약, '마이핏 키해피' 8만포 판매 돌파기념 프로모션 진행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첫 어린이 키성장 건강기능식품 '마이핏 키해피'의 누적판매량 8만포(올 7월 출시 이후 누적 출고량 기준) 돌파를 기념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롯데, 신세계, 현대, 갤러리아 백화점 내 동국제약 마이핏 매장에서는 '마이핏 키해피'의 누적 판매량 8만포 돌파를 맞아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이벤트를 마련했다. 이는 자사 공식 온라인몰인 '동국제약 건강몰' 카카오톡 채널을 친구 추가 후 백화점 매장에 보여주면 '마이핏 키해피 체험팩'을 증정하는 이벤트로, 각 매장에서 재고 소진시까지 진행된다. 또한

동국제약 센텔리안24, 'K-뷰티 부스트 인 뉴욕 2025' 참가

동국제약 센텔리안24, 'K-뷰티 부스트 인 뉴욕 2025' 참가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가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K-뷰티 부스트 뉴욕 2025(K-Beauty Boost NYC 2025)'에 참가해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번 행사는 8월 21일부터 27일까지 뉴욕한국문화원에서 글로벌 마케팅 플랫폼 기업 누리하우스 주최 '서울 뷰티 메트로'를 콘셉트로 한 K-뷰티의 경쟁력을 알리는 행사로, 국내 대표 뷰티 브랜드들이 참가해 현지 소비자 및 업계 관계자와 직접 소통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센텔리안24는 갤러리형 전시 부스와 마데카 크림, 마

동국제약, 상반기 실적 보니…사상 최대 매출·영업익 달성

동국제약, 상반기 실적 보니…사상 최대 매출·영업익 달성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이 올해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12일 영업 잠정실적(공정공시) 공시를 통해 공개된 연결실적내용에 따르면 동국제약은 상반기 누적매출액 4572억원, 영업이익 4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2%, 18.0% 증가했다. 2분기 실적도 매출액 2335억원, 영업이익 2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7%, 15.2% 증가했다. 이는 매출액 증가에 따른 판매비와관리비의 효율성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헬스케어

동국제약 센텔리안24 '마데카 크림' 출시 10주년 맞아

동국제약 센텔리안24 '마데카 크림' 출시 10주년 맞아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의 대표제품 '마데카 크림'이 출시 10주년을 맞았다. 2015년 센텔리안24 론칭과 함께 선보인 마데카 크림은 50여년간 식물성 원료의 연구개발을 진행해 온 동국제약만의 차별화된 성분과 독자적인 피부과학 기술력으로 완성한 프리미엄 토탈 안티에이징 크림이다. 마데카 크림은 브랜드 핵심성분인 'TECA'(테카,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와 다양한 병풀 유래 액티브 성분을 함유해 피부 탄력, 진정, 보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TECA의 원료인 센텔라아시아티카(병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