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수련병원협·대전협, 원만한 복귀 위한 실질적 해법 논의

전공의 수련재개, 세 주체 첫 공식 논의…의협 제안으로 간담회 성사
수련 연속성과 환경 개선, 의료 미래 위한 공감대 형성
"수련병원-전공의 간 직접 대화 지속할 것"…사법 리스크 완화도 과제로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7-16 09:00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의사협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가 15일 오후, 전공의 수련 재개와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3자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논의는 의협 김택우 회장의 제안으로 성사된 자리로, 전공의와 수련병원이 수련 재개를 주제로 공식적으로 마주 앉은 첫 회동이다. 간담회에서는 수련 연속성 보장과 사법 리스크 완화 등 전공의 복귀를 위한 현실적인 조건과 개선 방향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의협 김택우 회장은 "현 의료사태를 하루빨리 해결하기 위해 전공의·수련병원·의료계 대표단체가 모여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수련환경 개선을 비롯해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수련병원협 김원섭 회장은 "국회와 정부와의 대화를 통해 전공의 수련 재개 상황을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공의 수련 연속성을 보장할 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전공의 복귀를 논의하기에 앞서, 수련환경의 질적 향상과 사법적 불안 해소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며 "전공의들이 안심하고 수련을 이어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달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세 단체는 서로를 '원팀'으로 재확인하며, 향후에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이어가기로 뜻을 모았다. 특히 수련병원협의회와 대전협은 전공의 복귀 이후에도 상시적인 대화를 지속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의협에서 김택우 회장, 박명하 상근부회장, 서신초 총무이사, 김성근 공보이사 겸 홍보이사(대변인), 안상준 기획이사, 김충기 정책이사가, 한진 법제이사가 수련병원협회에서는 김원섭 회장을 비롯해 윤승규 부회장(서울성모병원), 김영태 특임이사(서울대병원), 양동헌 교육이사(경북대학교병원), 조병기 총무이사(충북대병원), 대전협에서는 한성존 비대위원장, 김동건 비대위원, 김은식 비대위원, 유청준 비대위원, 이의주 사무지원국 국장이 참석했다.

관련기사보기

의협-수련병원협 "전공의 복귀, 수련 연속성 보장 최우선"

의협-수련병원협 "전공의 복귀, 수련 연속성 보장 최우선"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전공의 복귀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하고, 수련 연속성 보장을 핵심 원칙으로 삼기로 뜻을 모았다. 양측은 14일 오후 의협 대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전공의 복귀 이후 예상되는 복잡한 상황에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특히 수련병원의 정원 문제, 전문의시험 일정, 수련 단계별 이수 기준 등 다양한 변수가 얽혀 있는 만큼,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의협과 수련병원협의회는 무엇보다 수련의 연속성이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었다. 이를 위해 전공의단체와 수련병원 간의 실

국회-전공의 만나…"수련·법적 개선 없인 중증·핵심의료 못 살려"

국회-전공의 만나…"수련·법적 개선 없인 중증·핵심의료 못 살려"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의대생들에 이어 전공의들의 복귀도 급물살을 탈지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회 여당 의원들과 전공의들간 만남을 통해 중증·핵심의료를 살리기 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전공의들은 수련환경 개선과 사법리스트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는 의료체계를 다시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회 여당 의원들은 전공의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사태해결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자는데 뜻을 모았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중증·핵

"의대생·전공의 복귀 이후가 진짜 시작"‥교육·수련 재건 요구돼

"의대생·전공의 복귀 이후가 진짜 시작"‥교육·수련 재건 요구돼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대생 전원 복귀 선언 이후, 의료계 안팎에선 '복귀 이후가 진짜 시작'이라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무너진 교육·수련 환경을 개선하지 않은 복귀는 정상화로 이어질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12일 의대생들은 전원 복귀를 공식화했고, 전공의들도 정부 및 국회와 연이어 만나 수련 복귀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인프라와 수련 체계가 모두 심각하게 흔들린 상태에서 단순한 복귀만으로는 근본적 회복이 어렵다는 평가가 잇따른다. 의대생은 강의실, 실습 환경, 교수 인력 등 교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