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능검사 국가검진 도입 결정‥"COPD 조기 진단 기대"

만성폐쇄성폐질환 관리로 사망률·합병증 줄이는 효과 기대
연간 1조4000억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비용 효과성 입증
전문 인력·질 관리·치료 연계 필요성, 학회와 정부 긴밀 협력 약속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9-24 18:20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정부의 폐기능검사 국가건강검진 도입 결정을 환영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열린 '2025년 제1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서 내년부터 56세와 66세 국민을 대상으로 폐기능검사를 실시하기로 확정했다. 이번 조치는 고령화와 대기 오염으로 심화되는 호흡기 질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OECD 회원국 중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나라로 꼽힌다. 이로 인해 호흡기 건강 우려가 커지고 있고, 고령층의 중증 호흡기질환 유병률 또한 증가하는 추세다.

학회는 "숨 쉴 권리"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공중보건 과제라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만성 호흡기질환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흡연·미세먼지로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WHO가 지정한 전 세계 5대 관리 비전염성질환 중 하나다. 국내 40세 이상 유병률은 12.7%(약 359만 명)에 이르지만, 이 중 4%만이 의료기관에서 진단·치료를 받고 있다. 초기 증상이 미미해 질환 인식률이 낮고, 폐 기능이 50% 이상 손상되기 전까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탓이다.

손상된 폐는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필수적이다. COPD 환자는 증상이 갑자기 심해지는 '급성 악화'가 발생하면 3.3년 내 사망률이 50%에 달하며, 심혈관계 질환·폐암 등 합병증도 동반된다. 학회는 폐기능검사가 COPD 조기 발견과 합병증 예방, 사망률 감소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경제적 효과도 크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2017)에 따르면 COPD로 인한 연간 사회경제적 비용은 1조4000억원, 환자 1인당 747만원으로 고혈압(73만원)의 10배, 당뇨병(137만원)의 5배에 달한다.

조기 진단을 통한 치료는 환자 의료비를 대폭 줄이고, 천식·간질성 폐질환 등 다른 호흡기질환 관리에도 기여할 수 있다. 실제로 매년 56세·66세 대상 폐기능검사에 소요되는 예산은 약 116억6770만원으로, COPD가 유발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고려하면 비용 효과적인 투자라는 분석이다.

폐기능검사는 폐활량 측정을 통해 짧게는 5분, 길게는 1시간 내에 진행할 수 있는 간단하고 객관적인 검사다.

학회 유광하 이사장(건국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은 "정부의 이번 결정을 적극 환영한다"며 "검사 도입은 국민 건강 증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확한 검사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과 질 관리 방안 마련이 중요하다. 학회는 환자들이 검진 후 신속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학회 이은주 대변인 이사(고려대 안암병원 호흡기내과)도 "유소견자 관리를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며 "고령화와 대기 오염으로 중증 호흡기질환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조기 진단 체계를 마련해 어르신들의 '숨 쉴 권리'를 보장하고 건강한 고령사회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