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첩] 정책 녹아드는 공약…약가 제도 공약도 속도 내길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7-03 12:30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 공약이 빠르게 정부 사업에 녹아들고 있다. 취임 1개월 만에 진행된 추가경정예산안에는 공약에서 강조된 AI와 신약 개발이 정부 신규 사업으로 모습을 나타냈다. 국회도 차질 없는 사업 진행과 예산 집행을 당부하며 힘을 실었다.

이 대통령은 공약을 통해 AI 3대 강국을 선언하고, 제약·바이오 산업에선 R&D 생태계 조성을 강조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한 대통령 공약 방향성이 빠르게 현장에 적용되는 모습은 고무적이다.

이 같은 정책 방향성이 R&D 활성화로 이어지고 신약 개발이란 성과로 나타나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다음 스텝은 예측가능한 약가 로드맵이다. AI도 신약 개발도 결국 기업이 없인 이뤄질 수 없고, 주체가 될 이들이 주문하는 것은 예측 가능한 약가제도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지난 5월 대선을 앞두고 제안한 정책에는 '예측가능한 약가 로드맵'이 포함됐다. 이는 이 대통령 공약에도 'R&D 투자 견인을 위한 약가관리제도 통합 및 예측가능성 확보'로 반영됐다.

이 대통령 당선 이후 업계 관계자에게 기대되는 공약을 묻자 가장 먼저 지목한 것은 약가관리제도 통합과 예측가능성 확보였다. R&D에 대한 지원이나 보상보다, 안정적으로 R&D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먼저란 시각이다.

업계를 대표하는 제약바이오협회가 지난 3월 창립 80주년을 맞아 마련한 혁신포럼에서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도 "제약·바이오산업은 예전에 없던 긍정적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약가인하제도 단순화와 같은 변화를 통해 산업이 더욱 앞으로 나아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대통령이 강조한 핵심 공약이 빠르게 정책으로 나타나는 만큼, 산업 현장이 기대하는 공약 실현도 속도를 내길 기대해본다.

관련기사보기

10개 넘는 약가 사후관리제도…'안심 투자 가능한 정책 필요'

10개 넘는 약가 사후관리제도…'안심 투자 가능한 정책 필요'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약가 제도가 설계돼야 한다는 업계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추진된 약가 사후관리 제도가 10개로 너무 복잡한 데다, 중복 인하로 인해 제약·바이오 산업 성장동력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3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정부가 마련한 약가 사후관리제도는 10개로 확인된다. 이 중 ▲제네릭 등재 시 약가인하(동일제제 등재 시) ▲실거래가 약가인하제도(2년 주기) ▲사용량-약가 연동제(1년 주기) ▲급여적정성 재평가(1년 주기) ▲사용범위 확대 협상

政, 제약바이오 선순환 위한 약가정책 추진…연내 윤곽 예고

政, 제약바이오 선순환 위한 약가정책 추진…연내 윤곽 예고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제약바이오산업 선순환을 목표로 한 약가정책 개편이 추진돼 주목된다. 이는 신약개발 등 사회적 기여에 대해 적극 보상하고 이를 통해 산업이 더욱 발전해서 더 많이 사회에 기여토록 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른다. 이중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2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난 자리에서 약가제도 개편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중규 국장은 "약가제도 전반을 다시 살펴보고 있다. 무조건 약가를 깎는 것만이 좋은 것은 아니고, 보건산업이 선순환 할 수 있는 약가 구조가 필요하다. 신약 R&

제바협, 대선 10대 정책제안 공개…"신약개발 유인책 필요"

제바협, 대선 10대 정책제안 공개…"신약개발 유인책 필요"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내달초 예정된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약 15일 앞두고 본격적인 정책 제안에 나섰다. 신약개발에 대한 지원 확대를 통해 성과를 앞당기고, 성과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투자 환경이 구축된 제약·바이오 생태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19일 창립 80주년을 맞아 발간한 '제28호 정책보고서(KPBMA Brief)'에서는 '대한민국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제21대 대선 제약바이오 정책 제안' 코너가 담겼다. 협회는 이를 통해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 지금이 중요…생존 위한 결정 필요"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 지금이 중요…생존 위한 결정 필요"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우리나라가 신약개발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자리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창립 80주년을 맞아 처음으로 기획해 업계 이목을 끌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21일 오전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 호텔에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주최로 열린 '제1차 제약바이오 혁신포럼'은 '신약개발'을 화두로 진행됐으며, 업계 CEO를 비롯한 관계자와 언론 등 100여명이 참석해 큰 관심도가 확인됐다. 이날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관순 미래비전위원회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