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안정적 실적 바탕 R&D 모멘텀 기대감

2Q 매출 3845억, 영업익 570억 전망…각각 1.7%↑ 1.9%↓
비만치료제 3상, MASH 2b상 등 하반기 R&D 모멘텀 예정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7-08 11:14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한미약품이 2분기에도 안정적 실적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를 바탕으로 하반기엔 비만치료제, MASH(대사 이상 지방간염) 치료제 등 임상 데이터 발표를 앞두고 있어 R&D를 통한 성장 모멘텀을 실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8일 IBK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한미약품 2분기 연결 매출액은 3845억원, 영업이익은 570억원으로 내다봤다. 전망대로라면 매출은 전년 대비 1.7% 상승 영업이익은 1.9% 하락한다.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6%, 3.4%씩 감소한 수치다.

별도 기준으로는 한미약품은 전문의약품 안정적 성장세에 제품 믹스 개선이 더해지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매출은 2897억원, 영업이익은 38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2.8%, 19.9%씩 성장이 전망된다.

북경한미의 경우 지난해 축적된 재고가 상반기까지 해소되고 있어 매출 95억원, 영업이익 176억원으로 전년 대비 3.7%, 28.4%씩 감소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 전분기 대비 영업비용은 감소해 영업이익률은 6.8%p 회복이 예상된다.

2분기까지 안정적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하반기엔 R&D 모멘텀이 예정돼 있다.

지난 2일 증권사 대상 NDR 결과에 따르면 비만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국내 비만 임상 3상을 오는 9월 종료하고 연말 탑 라인 데이터 발표할 예정이다.

MASH 치료제 '에피노페그듀타이드'는 글로벌 임상 2b상을 오는 12월 마칠 예정으로, 이르면 내년 초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상 3상에 진입할 경우 마일스톤 유입도 기대된다.

4분기엔 EZH1/2 저해제 및 BH3120(PD-L1/41BB) 고형암 임상 1상 중간 결과 발표도 예정돼 있다.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HM15725'의 경우 연내 임상 2상 진입, 'HM17321'은 임상 1상을 개시할 예정이다. IBK투자증권 정이수 연구원은 "두 파이프라인 병용 요법 패키지나 단일 파이프라인 기술이전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IBK 증권은 한미약품 올해 매출은 1조6135억원, 영업이익은 239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전년 대비 7.9%, 10.9%씩 성장하는 수치다.

관련기사보기

한미약품, GLP-1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네이밍 공모전 개최

한미약품, GLP-1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네이밍 공모전 개최

한미약품은 내년 하반기 출시를 앞둔 GLP-1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 제품명을 정하기 위한 네이밍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자사의 의료 전문 포털 HMP(Health & Medical Platform)에 가입된 전국 의사 고객을 대상으로 오는 16일까지 진행된다. 대한민국 의사라면 누구나 HMP(www.hmp.co.kr) 가입 후 네이밍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다. 네이밍 공모를 일반인까지 확대하자는 일부 의견이 있었지만, 의학적 진단을 통해 처방이 이뤄지는 전문의약품이라

한미약품, 로수젯·아모잘탄 패밀리 앞세워 성장 박차

한미약품, 로수젯·아모잘탄 패밀리 앞세워 성장 박차

[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한미약품이 고지혈증 치료제 '로수젯'과 고혈압 치료제 '아모잘탄' 품목군을 기반으로 실적을 늘릴 전망이다. 신규 임상 결과 확보와 신제품 출시로 품목별 매출액을 늘리며 성장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2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 올해 매출액(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1조1500억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전년 매출액 1조1141억원과 비교 시 4%가량 증가한 규모다. 이런 실적 전망이 나온 배경에 고지혈증 치료제 '로수젯'과 고혈압 치료제 '아모잘탄' 품목군이 있다. 두 품목군 매출액이 한미약품 실적

미래의 비만치료제 해낸다"…한미약품, 'ADA'서 연구결과 발표

미래의 비만치료제 해낸다"…한미약품, 'ADA'서 연구결과 발표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이 현재 세상에 없는, 곧 다가올 미래에 인류가 사용할 미래 비만치료제 유형과 개발 가능성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대거 발표했다. 현재 세계적인 열풍이 불고 있는 기존 비만치료제 보다 빠르고(투약 4회차) 강력한 체중 감소 효과를 보인 결과를 비롯해, 비인간 영장류(원숭이) 임상을 통해 체중은 줄이면서도 근육량은 늘린 연구들도 선보이는 등 전세계 비만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혁신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한미약품은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

한미약품, 'HM17321' 비만 시장 게임체인저 가능성 확인

한미약품, 'HM17321' 비만 시장 게임체인저 가능성 확인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한미약품이 근육 감소라는 기존 비만치료제 단점 개선을 목표로 개발 중인 'HM17321'이 전임상에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18일 미국당뇨병학회(ADA)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오는 22일 ADA 포스터 세션에서 HM17321 전임상 연구 결과 3건을 발표한다. HM17321은 '고품질 체중관리'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 선택적 UCN2(urocortin-2) 유사체다. 기존 GLP-1과 같은 인크레틴 요법은 체중 감량 측면에선 효

한미약품 비만 삼중작용제 'HM15275' 상업화 청신호

한미약품 비만 삼중작용제 'HM15275' 상업화 청신호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의 상업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HM15275의 임상 1상 예비 결과, 임상 2상 진행의 가장 큰 근거가 될 약물 안전성 및 내약성 측면에서 합격점을 받으면서다. 미국당뇨병학회(ADA)는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될 'ADA 2025'를 앞두고, 세션에서 발표가 예정된 전체 연구의 초록을 공개했다. 한미약품은 ADA 2025에 참가, HM15275를 비롯한 총 6건의 전임상 및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한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