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ETC 성장 지속…하반기 '케이캡' 해외 확대 기대

글로벌 임상 종료 앞둔 '케이캡'…수출 확대·기술이전 가능성 주목
음료 리콜 영향에 H&B 부문 부진…하반기 수익성 개선 관건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2025-07-14 11:48

HK이노엔 판교 스퀘어. 사진=HK이노엔 제공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HK이노엔이 올해 2분기 ETC(전문의약품) 중심의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며, 대표 제품 '케이캡'의 해외 진출 확대와 함께 하반기 수출 모멘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다만 HB&B(식음료 및 뷰티) 부문은 품질 이슈에 따른 제품 회수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며 전체 수익성에는 일부 부담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업계는 최근 HK이노엔이 올해 2분기 매출 2461억원~2534억원, 영업이익 201~208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매출 2530억원, 영업이익 250억원)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2%~15.5% 성장했으나, 영업이익은 14.8%~17.1% 감소한 수치다.

이번 실적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ETC 부문의 꾸준한 성장이다. 케이캡은 2분기 국내 처방액이 533억원(+14.4%)을 기록했으며, 상반기 누적 처방액은 1047억원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했다. 같은 계열 경쟁약들이 출시된 상황에서도 소화성궤양용제 내 케이캡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1%p 오른 15%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수액제제, 심혈관계 제품(카나브 시리즈), 항암제 및 항생제 부문도 고르게 성장하면서 의약품 부문 전체 매출은 2336억원으로 전년 대비 20.5%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수액제제는 2분기 기준 346억원, 항암제 부문은 398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카나브 시리즈의 약가 인하 우려가 있었으나 보령의 약가 인하 정지 신청이 인용되며 유지된 약가로 판매가 계속될 예정"이라며 "심혈관계 의약품, 수액 제제 및 신규 도입한 아바스틴이 항암제 부문 매출을 견인하며 ETC 중심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HB&B 사업부는 음료 제품 품질 이슈에 따른 리콜 조치로 매출이 198억원(-22.4%)으로 감소했다. 이는 '컨디션' 매출 감소와 함께 '헛개수', '티로그' 등 주요 브랜드 외주생산 제품에서 무균 충진 공정상 문제가 발생한 데 따른 것으로, 회사는 7월 중 전량 회수 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케이캡'의 글로벌 진출 확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현재 미국 임상 3건 중 2건(NERD 적응증 및 장기 안전성 시험)은 종료됐으며, EE 적응증 임상도 오는 9월 1일 종료될 예정이다. 파트너사 세벨라는 4분기 FDA에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할 예정이며, 허가는 2026년 말~2027년 초로 예상되고 있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케이캡의 해외 판매가 지속 증가 중"이라며 "인도 판매가 하반기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중남미 수출 금액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 시장에서 처방도 증가하면서 판매 로얄티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안타증권은 HK이노엔의 올해 연간 매출액을 1조202억원, 영업이익을 1035억원으로 전망했으며, 유진투자증권은 각각 1조110억원, 980억원으로 예측했다. 두 증권사 모두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과 함께 케이캡의 해외 성과가 향후 기업가치 재평가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보기

HK이노엔,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HK이노엔,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HK이노엔(HK inno.N)은 2024년 ESG 경영 전략과 주요 활동 및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HK이노엔은 2022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이해관계자들과 ESG경영 관련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 네 번째 발간한 이번 보고서에는 '유럽지속가능성 보고 기준(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이하 ESRS)'을 반영해 글로벌 수준의 재무 공시 체계를 갖추고 정보의 신뢰도를 높였다. HK이노엔은 ESRS가 제안하는 '이중 중요성

HK이노엔, 'K-CAB' 글로벌 진출 확대…IV·R&D 삼각 성장

HK이노엔, 'K-CAB' 글로벌 진출 확대…IV·R&D 삼각 성장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HK이노엔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K-CAB)'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본격화하며, 수액제(IV) 생산능력 확대와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한 '삼각 성장 구도'를 구축하고 있다. 23일 HK이노엔 IR 자료에 따르면, K-CAB은 지난해 글로벌 처방액 1억4300만달러, 매출액 1억2200만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24.3%, 40.2% 증가했다. 올해 1분기에도 처방 3700만달러, 매출 3400만달러를 기록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K-CAB은 현재 미국, 중국을 포

'케이캡', 美 진출 불확실성 해소…HK이노엔 성장동력 확대

'케이캡', 美 진출 불확실성 해소…HK이노엔 성장동력 확대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 미국 진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 P-CAB(칼륨 경쟁적 위산 억제제) 제제 경쟁약 '보퀘즈나' 독점권 연장 청원이 승인되면서 제네릭 진입 우려가 해소된 것이다. 1조 클럽 진입을 앞둔 HK이노엔이 추가 성장 동력을 확보해 주목된다. 10일 업계 등에 따르면 FDA는 지난 7일 패썸 파마슈티컬스(Phathom Pharmaceuticals) 보퀘즈나 정제 독점권 연장 관련 청원을 승인했다. 보퀘즈나는 신규 화학물질로서 독점권을 10년간 인정하고 사실상 시장독점기

HK이노엔 반려동물 아토피 신약 3상 승인…30조원 시장 진출

HK이노엔 반려동물 아토피 신약 3상 승인…30조원 시장 진출

HK이노엔이 JAK-1 억제제 계열의 반려동물(반려견) 아토피피부염 치료 신약으로 30조원 규모 글로벌 반려동물약품 시장에 도전한다. JAK-1 억제 기전을 활용해 반려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아토피피부염 신약을 개발 중인 기업은 국내에서 HK이노엔이 유일하다. HK이노엔은 최근 반려동물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IN-115314'가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3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승인에 따라 HK이노엔은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반려견을 대상으로 IN-115314와 아포퀠정(오클라시티닙, Ocla

HK이노엔, '케이캡' 美 임상 3상 성공…경쟁사 특허 변수 부상

HK이노엔, '케이캡' 美 임상 3상 성공…경쟁사 특허 변수 부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tegoprazan)'이 미국 임상 3상에서 두 적응증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확보하며 시장 진출의 문턱을 넘었지만, 경쟁사 특허 이슈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케이캡은 HK이노엔이 개발한 P-CAB 계열 신약으로, 미란성 식도염(EE)과 비미란성 식도염(NERD)에 대해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파마(Sebela Pharma)가 임상 3상(TRIUMpH)을 진행했다. 해당 시험은 위약 및 기존 PPI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발표됐다.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