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약가, 미국 약가의 25.57% 수준

Rand Corporation 분석 자료 기준
美 약가, OECD 32개국 대비 약 2.78배 높아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8-04 11:45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약가를 낮추기 위해 OECD 최혜국 약가(MFN) 인하 등 다양한 조치를 강구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약가가 미국 약가의 25.57%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바이오협회는 4일 미국 보건복지부 지원을 받아 공공정책 연구기관인 Rand Corporation이 분석한 미국 및 OECD 국가간 전문의약품 약가 보고서를 인용해 OECD 국가 대비 미국 및 다른 국가들의 약가 수준을 비교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2월 공개된 것으로, 미국 정부 및 언론 등이 이 자료를 자주 인용하고 있다. 

보고서에는 OECD 국가 중 미국을 비롯해 33개 국가가 포함돼 있으며, 사용된 약가 및 물량 출처는 2022년 기준 IQVIA MIDAS 데이터다. 

IQVIA가 분류하고 있는 구분을 따라 ▲브랜드 의약품(brand-name originator drug) ▲바이오 의약품(Biologics) ▲브랜드 제네릭(brand-name non-originator, 미국 허가 프로세스 상 505(b)(2) 허가 의약품, 개량신약 포함) ▲제네릭 의약품(unbranded non-originator) 등 의약품을 세부적으로 구분해서 비교했다. 

해당 자료를 바탕으로, 미국의 약가 수준이 OECD 국가 대비 어느 정도 되는지 살펴보면, 미국은 OECD 32개국에 비해 전문의약품 약가가 277.59%, 즉 약 2.78배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브랜드 의약품의 경우는 422%(4.2배) 높고, 미국 매출 상위 60품목은 504%(5배), 바이오의약품은 359%(3.6배) 높았다. 

다만, 제네릭의약품(바이오 제외)의 경우에는 OECD 32개국 약가의 67% 수준으로 낮게 형성됐다. 

국가별로 약가를 비교하면, 가장 큰 차이가 나는 국가는 튀르키예(터키)로 미국의 약가는 1028% 즉,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다른 국가 대비 미국의 약가는 영국 대비 2.7배, 독일 대비 2.9배, 프랑스 대비 3.3배, 일본 대비 3.5배, 한국 대비 3.9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시 말해 한국은 미국 약가의 25.57% 수준의 약가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과 미국의 약가를 세부적으로 비교해보면, 브랜드의약품의 경우 미국이 7배 높고, 미국 매출 상위 60품목은 8.4배, 바이오의약품은 5.7배 높았다. 

즉, 한국의 브랜드 의약품 약가는 미국의 14.2%, 미국 매출 상위 60품목은 11.9%, 바이오의약품은 17.5% 수준으로 집계된다.

관련기사보기

美 트럼프 대통령, 17개 제약회사에 약가인하 요구

美 트럼프 대통령, 17개 제약회사에 약가인하 요구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31일 글로벌 주요 제약회사 17개사에 대해 미국에서의 약가를 향후 60일 안에 인하하도록 명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노보 노디스크 등 17개 제약회사의 최고경영자(CEO) 앞으로 보낸 서한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 내용을 SNS에 공개했다. 서한에서는 4개 개혁을 명령했다. 구체적으로는 △저소득자용 공공의료보험 '메디케이드' 가입자에 다른 선진국에서 제공되고 있는 가장 낮은 가격으로 의약품을 제공한다 △향후 판매되는 신약도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

[수첩] 트럼프가 쏘아올린 공, 약가의 딜레마

[수첩] 트럼프가 쏘아올린 공, 약가의 딜레마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약가 문제는 늘 딜레마다. 환자들은 보다 낮은 가격을 원하고, 제약사 입장에서는 많은 연구개발 비용이 들어간 만큼 높은 약가를 받길 원한다. 환자를 생각한다면 약가는 낮아져야하겠지만, 무작정 낮출 수만은 없다. 약가인하로 인한 매출 감소는 제약사의 수익구조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기업이 치료제 생산을 포기하거나, 일명 '코리아 패싱'과 같이 국내 시장에서 해당 치료제 철수를 결정할 수 있다.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가 국내 시장을 철수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약

[수첩] 정책 녹아드는 공약…약가 제도 공약도 속도 내길

[수첩] 정책 녹아드는 공약…약가 제도 공약도 속도 내길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 공약이 빠르게 정부 사업에 녹아들고 있다. 취임 1개월 만에 진행된 추가경정예산안에는 공약에서 강조된 AI와 신약 개발이 정부 신규 사업으로 모습을 나타냈다. 국회도 차질 없는 사업 진행과 예산 집행을 당부하며 힘을 실었다. 이 대통령은 공약을 통해 AI 3대 강국을 선언하고, 제약·바이오 산업에선 R&D 생태계 조성을 강조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한 대통령 공약 방향성이 빠르게 현장에 적용되는 모습은 고무적이다. 이 같은 정책 방향성이 R&D

국내 바이오시밀러 점유율 왜 낮나?… '체감 약가 차이' 영향

국내 바이오시밀러 점유율 왜 낮나?… '체감 약가 차이' 영향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국내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해외 시장과는 대조적으로 부진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럽과 미국에서 국산 바이오시밀러가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는 반면, 내수 시장에선 여전히 오리지널 의약품 중심의 처방이 유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지난달 30일 발간된 지식재산연구 저널을 인용, 한국 바이오시밀러 기업들이 유럽 및 미국에서 이룬 성과에 비해 국내 내수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고 밝혔다. 한국특허기술진흥원 김태권 책임연구원과 특허청

약가인하됐는데 재고 차액보상 외면 2년…유통업계, 피해 호소

약가인하됐는데 재고 차액보상 외면 2년…유통업계, 피해 호소

[메디파나뉴스 = 조해진 기자] 의약품유통업계가 당뇨병 치료제 '시타글립틴' 약가인하로 발생한 '차액보상' 지연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관련 제약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 중이라는 입장이다. 13일 의약품유통업계에 따르면, 복수의 유통업체들은 2023년 9월 시타글립틴 오리지널 3개 품목 약가가 특허 만료로 인하됨에 따라 약국에 기 공급된 물량에 대한 차액을 보상했다. 제품 급여 가격이 낮아져 손해가 발생한 부분을 보전해주기 위한 조치다. 문제는 이같은 차액 보상 이후 유통업체들이 제품을 공급한 제약사로부터 해당 비용을

美 보건복지부, '최혜국 약가' 기준 공개…OECD 최저가 반영

美 보건복지부, '최혜국 약가' 기준 공개…OECD 최저가 반영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 정부가 의약품 가격 인하를 위한 '최혜국(MFN, Most Favored Nation)' 기준을 공식화하며 약가 개혁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미국 보건복지부(HHS)는 5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환자에게 적용될 의약품 가격을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책정하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하며,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국 공공의료보험기관(CMS)과 HHS는 향후 수 주 내에 주요 의약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MFN 약가 목표치를 개별 통보할 예정이며, 이는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