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의사 1년차 36.6%가 고년차 '필수의료' 전공의

대공협 "의정갈등, 군 입대자의 수련 연속성 보장으로 비로소 종결"

박으뜸 기자 (acepark@medipana.com)2025-08-12 13:31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의정갈등으로 인해 수련이 중단된 채 입영한 공중보건의사의 36.6%가 고년차 필수의료 전공의라고 밝혔다.

올해 1년 차로 입대한 공중보건의사 249명 중 설문에 응답한 인원은 224명(응답률 90%)이었으며, 이 가운데 82명(36.6%)이 고년차 필수의료 전공의였다. 전공과별로는 내과 43명(19.2%), 응급의학과 11명(4.9%), 신경외과 11명(4.9%), 외과 6명(2.7%), 소아과 4명(1.8%), 신경과 4명(1.8%), 흉부외과 3명(1.3%)로 나타났다.

이성환 회장은 "전 정부의 폭압적 행태와 무리한 정책으로 인해 병원에서 주 80시간씩 환자 곁을 지키던 젊은 의사들이 수련을 중단하고 병원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가 의무를 다하기 위해 섬·교도소·산간지대 응급실 등 격오지로 발령받아 복무 중인 고년차 전공의들을 보호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이들은 상당수가 중증·응급환자를 살리기 위한 사명으로 필수의료 전공을 선택했었던 젊은 의사로, 배치 이후 현장에서도 지역 유일한 의사로서 사회적 책무를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환 회장은 군복무로 인한 3년의 시간적 공백 속에서 뒤처지고 있는 고년차 전공의들의 수련 연속성을 보장해야 의정갈등이 진정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필수의료를 포함한 대한민국 의료 현장에 사직 전공의들이 다시 돌아와 환자와 술기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정부가 대승적인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보기

"3년은 너무 길다"‥공보의 단축, 국회·복지부·의사회 공감대

"3년은 너무 길다"‥공보의 단축, 국회·복지부·의사회 공감대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공중보건의사와 군의관의 복무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요구가 다시 힘을 얻고 있다. 수년째 의료계와 정치권에서 제기됐던 복무기간 단축 목소리는 좀처럼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누적 입영자가 3000명을 돌파한 상황에서 보건복지부와 국회의 움직임이 가시화되며 흐름이 바뀌고 있다. 의료계도 "군의료와 지방의료가 무너질 수 있다"며 복무 단축 입법에 지지를 보내고 있다. 현행 공보의·군의관의 복무기간은 3년으로, 군사교육 등을 포함하면 37~38개월에 달한다. 반면 일반 병사의 복

전공의 수련 연속성…재정·제도 등 실질적 개선 없인 불가능

전공의 수련 연속성…재정·제도 등 실질적 개선 없인 불가능

[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전공의 복귀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수련 연속성을 보장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수련 연속성을 위해서는 임신·출산휴가, 군복무, 의료사고 등의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지도전문의 교육 강화, 수련 평가체계 마련, 법적·재정적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개선책이 요구됐다. 특히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건강보험 재정 확충을 위한 의료보험료 인상 등 현실적인 재원 마련이 필요하며, 이러한 부분 없이는 수련환경 개선이 불가능하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의정갈등 여파에 의대생 현역 입대 급증‥"공보의 제도 개선 시급"

의정갈등 여파에 의대생 현역 입대 급증‥"공보의 제도 개선 시급"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정갈등 장기화 속에 의과대학 재학생들의 현역 입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보건의사 제도를 유지하고 보완하려는 노력 없이 새로운 정책만을 기대하는 분위기에 대해, 현장의 공공의료 인력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올해 6월 26일 병무청을 상대로 한 정보공개청구 결과를 인용해, 5월 한 달간 의대생 중 현역 및 사회복무요원으로 입영한 인원이 총 434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의정갈등 이후 누적 입영 인원은 3375명에 이르렀으며, 올해 들어 5개월간의 입

4월 의대생 입영 647명‥대공협 "2029년 대책은 너무 늦다"

4월 의대생 입영 647명‥대공협 "2029년 대책은 너무 늦다"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정갈등 이후 군 입대에 나선 의대생이 올해 4월 한 달간 647명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누적 입영자는 2941명에 이르렀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정부가 예고한 2029년 군복무 단축 대책으로는 대응이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대공협이 지난 5월 29일 병무청을 상대로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입영자는 현역 589명(병무청 현역입영과 추계), 사회복무요원 58명(병무청 사회복무관리과 추계)으로 총 647명이다. 이는 역대 최다 입영자였던 3월의 412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