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정원 '팜리뷰', 소아 진정 및 진통 약물 요법 정보 제공

조해진 기자 (jhj@medipana.com)2025-08-11 06:00

약학정보원(원장 유상준)은 11일자로 온라인 학술정보지 '팜리뷰'의 2025년 8월 1회차 원고를 발행했다.

이번 호에서는 소아의 치료 과정에서 사용하는 진정 및 진통 약물 요법에 대해 다뤘다. 

소아에게 진정제 및 진통제 사용은 치료 과정에서 필수적이나, 약물의 종류, 용량, 투여 기간에 따라 내성, 금단, 과진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소아의 진정 및 진통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종류와 특성 및 주의사항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약물 관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번 리뷰에서는 구체적으로 ▲소아의 진정 및 진통의 개념과 중요성 ▲소아 진정 및 진통 요법 시 고려 사항 ▲소아 진정 및 진통에 사용되는 약물 ▲소아 진정 및 진통 요법의 최신 동향 및 확장 가능성 등에 대해 소개했다. 

소아는 성장과 발달을 지속해 성인과는 비교할 수 없는 복잡성과 예측 불가능성을 지닌다. 

특히 소아는 생리적·해부학적 특성이 성인과는 달라 약물 반응 또한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소아의 특성, '진정의 연속성(continuum of sedation)'에 대해 이해한 뒤 다양한 평가 도구를 통해 진정 및 진통을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보다 정교하고 개별화된 약물 관리의 필요를 위해 소아의 진정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ex-미다졸람, 케타민, 덱스메데토미딘), 진통을 위한 오피오이드계 진통제들의 용량·용법, 약력학/약동학(PK/PD) 특성, 주요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해당 약물의 장기 사용에 따른 위험요소 및 관리방법과 소아 진정 및 진통 요법의 최신 동향 및 확장 가능성도 제시했으며, 임상에 적용되는 새로운 진통제의 종류와 새로운 진정 기법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이번 원고는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손유정 위원의 기고로 이뤄졌다. 

손유정 위원은 "소아 환자의 진정 및 진통 요법은 성인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소아의 고유한 생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며 "진정에 대해 이해하고 연령을 고려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과 평가 체계에 기반한 약물 사용이 치료의 안정성과 효과를 높이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약사는 개별 소아 환자에게 최적의 약물이 무엇인지 알고, 안전한 투여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치료 성과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약학정보원 팜리뷰는 약학정보원 홈페이지 및 약국 서비스 플랫폼(PharmIT3000, PM+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