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휴젤, 상반기 톡신 매출 첫 1000억…1위 경쟁 치열

상반기 나보타 1154억, 보툴렉스 1019억…1000억 동시 돌파
최근 2년간 상반기 나보타, 연간은 보툴렉스 1위 구도 반복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8-12 05:59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대웅제약 '나보타'와 휴젤 '보툴렉스'가 상반기 나란히 매출액 1000억원을 돌파했다. 상반기 매출에선 대웅제약이 소폭 앞서고 있는 가운데, 국내 톡신 매출 1위 자리를 뒤바꿀 수 있을지 주목된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대웅제약·휴젤 IR 자료 등에 따르면 상반기 대웅제약 나보타는 매출 1154억원을, 휴젤 보툴렉스는 매출 1019억원을 기록했다.

두 회사 모두 상반기 톡신 제품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선 건 올해가 처음이다. 지난해 상반기의 경우 나보타는 902억원, 보툴렉스는 847억원이었다. 올해는 각각 27.87%, 20.28%씩 성장하며 상반기 매출 1000억원을 나란히 돌파했다.

나보타와 보툴렉스는 국산 톡신 제품 가운데 매출 1, 2위를 다투는 제품이다.
 

최근 5년간 매출 실적을 보면 2020년까진 보툴렉스가 1095억원, 나보타가 504억원으로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그러나 나보타가 2021년 796억원, 2022년 1420억원, 지난해 1864억원까지 급성장하며 격차를 좁히고 있다. 같은 기간 보툴렉스 역시 1246억원, 1608억원, 2016억원으로 성장하며 매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상반기 매출과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모두 나보타가 앞서고 있지만, 연간 매출 1위엔 여전히 도전하는 입장이다. 2023년과 지난해 모두 상반기 실적은 나보타가 앞섰지만 하반기엔 다시 보툴렉스가 따돌리며 연간 매출으로는 1위 자리를 지키는 구도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두 제품 모두 매출 대부분을 수출로 올린다. 지난해 기준 나보타는 매출 1864억원 가운데 83.66%에 해당하는 1560억원이 수출에서 발생했고, 휴젤의 경우 톡신과 필러 매출 3308억원 가운데 66.41%에 해당하는 2197억원이 수출에 해당된다. 지난해부턴 세계에서 톡신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북미에 나란히 진출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

미국 시장에 먼저 진입한 건 나보타로, 2019년 FDA 승인을 취득해 파트너사 에볼루스를 통해 현지 상품명 '주보(Jeauveau)'로 출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대웅제약 IR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점유율 14% 수준을 유지하며 현지 미용 톡신 시장 내 2위 포지션을 지키고 있다. 

보툴렉스는 지난해 2월 미간주름을 적응증으로 현지 상품명 '레티보(Letybo)'로 FDA 품목허가를 획득했고, 시장에 안착 중인 것으로 평가된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2분기 톡신 매출 612억원 가운데 100억원이 미국 매출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휴젤이 사업보고서를 통해 공개한 의료 미용 산업 컨설팅 회사 Medical Insight 연구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톡신 시장 규모는 61억4300만달러다. 2022년 47억7009만달러부터 2027년 72억6800만달러까지 연평균 8.8%씩 성장할 전망이다. 북미는 2022년 26억5800만달러에서 2027년 41억1700만달러로 연평균 9.1%씩 성장하며 세계 시장에서 절반이 넘는 점유율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중국 시장의 경우 상황이 반대다. 휴젤이 먼저 2020년 레티보 100유닛, 2021년 50유닛을 승인받아 매출을 올리고 있고, 나보타의 경우 지난달 인허가를 자진 취하한 뒤 이르면 연내 재도전을 준비하는 상황이다. 2분기 휴젤 중국향 톡신 매출은 130억원으로 추정된다.

증권업계에선 올해에도 휴젤이 톡신 선두 지위를 지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SK증권과 키움증권이 추정한 올해 나보타 매출은 각각 2265억원, 2304억원이다. 반면 대신증권과 교보증권, 키움증권 등이 내다본 보툴렉스 매출은 2424억~2515억원 규모다.

관련기사보기

휴젤,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 말레이시아 공식 론칭

휴젤,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 말레이시아 공식 론칭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회장 차석용)이 동남아 의료미용 신흥 시장인 말레이시아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Letybo)'를 공식 론칭했다. 휴젤은 지난 6~7일 말레이시아 최대 규모의 의료 미용 학회인 AMSC(Aesthetic Medicine & Surgery Conference)에 참가해 레티보를 전격 선보였다. 이 자리에는 유럽 내 레티보 대표 KOL(Key opinion leader)로 활동 중인 콘스탄틴 프랑크 (Konstantin Frank)가 연자로 참석해, 레티보의 정밀한 시술 효과

휴젤, 수출 기반 '톡신·필러·화장품' 성장세 지속

휴젤, 수출 기반 '톡신·필러·화장품' 성장세 지속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휴젤이 2분기에도 수출을 기반으로 톡신과 필러, 화장품 등 모든 사업부에서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28일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휴젤 2분기 매출액을 1160억원, 영업이익을 558억원으로 추정했다. 추정대로라면 전년 동기 대비 21.6%, 31.5%씩 성장하게 된다. 회사 성장세는 모든 사업부에서 수출 증가가 주도하는 모습이다. 먼저 톡신 2분기 매출은 6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4%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는 수출이 390억원으로 26.8% 성장하며 주도하고, 국내는 235억

제약사 매출 이끄는 톡신…1Q 성장세, 실적 경신 기대감

제약사 매출 이끄는 톡신…1Q 성장세, 실적 경신 기대감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국내 제약사 톡신 제품이 1분기 나란히 성장하며 실적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각사 매출을 이끄는 품목으로 자리한 K-톡신 성장세가 실적 경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웅제약과 휴젤, 메디톡스 등 국내 톡신 제품을 보유한 3개 회사는 모두 1분기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된다. 대웅제약은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3565억원, 영업이익 38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매출 3358억원, 영업익 297억원 대비 각 6.17%, 30.46% 개선된

대웅제약, '나보타' 중국 허가 신청 3년 반…보완·재신청키로

대웅제약, '나보타' 중국 허가 신청 3년 반…보완·재신청키로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대웅제약이 나보타 중국 품목허가 신청을 취하했다. 대웅제약은 30일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을 통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제출한 나보타 100유닛 허가 신청을 자진 철회키로 결정하고 이날 공문을 발송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2021년 12월 30일 신청서를 제출한 지 3년 6개월여 만이다. 회사는 나보타 100유닛에 대해 '20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에 있어서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 그리고/또는 눈살근(procerus muscle) 활동과 관련된 중등도 내지

대웅제약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계약 체결…중동시장 영향력 확대

대웅제약 '나보타', 쿠웨이트 수출 계약 체결…중동시장 영향력 확대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고순도·고품질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쿠웨이트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중동 시장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다섯번째 중동 진출 사례이며, 걸프만 연안 6국에선 UAE・사우디・카타르에 이은 네번째 진출이다. 걸프만 연안 6국 시장은 미용·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 중동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시장으로 꼽힌다. 쿠웨이트는 1인당 국민 소득이 높고(약 3만2천 달러)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다른 걸프만 연안국과 교류가 활발해 시너지가 기대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