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전면에…성장동력 공식화

2분기 IR 자료서 사업 소개…매출 124억, 전년比 103%↑
핵심 제품 '씽크'…올해 2배 성장 목표, 상반기 초과달성

조후현 기자 (joecho@medipana.com)2025-08-05 05:58

대웅제약 사옥 전경. 사진=이정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대웅제약이 디지털 헬스케어를 전면에 선보였다. 올해 본격 사업화에 나선 데 이어 IR 자료에서 핵심 제품과 경쟁력, 목표를 소개하며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점을 공식화하는 모습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최근 공개한 2분기 IR 자료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부문 실적을 공개하고 신규 성장축으로 소개했다.

이 회사가 IR 자료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건 이번 분기가 처음이다. 지난해 2분기 한국건강관리협회와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공급계약을 체결해 17개 검진센터에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 지난 1분기엔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 thynC)'를 도입했다는 사실 정도만 언급됐다.

회사 IR 자료에 따르면 2분기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발생한 매출액은 124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103% 성장한 수준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매출이 2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 3639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1% 정도다. 회사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등에 비하면 아직까진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지난 1분기 기준 주요 제품 9개 품목 가운데 100억원이 넘지 않는 품목이 3개라는 점과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성장세를 감안하면 성장동력으로 소개하기 충분한 셈이다.

회사 IR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23년 2408억달러에서 2033년 1조6351억달러 수준으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성장률로 보면 21.1% 수준이다.

회사는 연속 혈당 측정기 '프리스타일 리브레',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thynC)', 안저카메라 '옵티나', AI 실명질환 진단 보조 솔루션 '위스키', 반지형 연속 혈압 측정기 '카트비피 프로(CART BP pro)' 등 제품을 대상으로 코프로모션, 판권 계약 등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회사가 중심에 내세운 제품은 씽크다. 씽크는 심전계, 체온계, 산소포화도, 혈압계 등으로 구성돼 심박수와 산소포화도, 호흡수, 체온, 혈압, 활동량, 낙상 여부 등 생체 신호를 실시간 수집하고, 병동 간호사 스테이션 모니터로 24시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EMR(전자의무기록)과도 연동돼 의료진 행정 편의성도 높인다. 경쟁제품과 달리 타 웨어러블 확장성도 열려 있다는 설명이다.

회사는 씽크가 병원 운영 효율성과 환자 안전, 의료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병동 관리 솔루션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5월엔 인천나은병원 스마트 케어 병동 172병상 규모에 씽크가 전면 도입됐고, 1주일 만에 심정지 전조 신호인 심실빈맥을 감지해 의료진 대응을 돕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회사는 국내 70만 병상 가운데 55만 병상까지 씽크 적용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목표는 기존 2배 이상 성장한 1200병상 적용으로, 상반기 중 초과달성한 상태다. 향후 단기 목표인 1만 병상 계약 체결을 빠르게 달성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지난 6월 씽크에 음성인식 기반 의무기록 자동화 솔루션 '젠노트'를 연동하기 위한 업무협약 체결 보도자료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 대한 기대와 목표를 공유한 바 있다.

이 대표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대웅제약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핵심 영역"이라며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시장까지 확장 가능한 경쟁력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보기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확장 드라이브…시장 선도 노린다

대웅제약, '디지털 헬스케어' 확장 드라이브…시장 선도 노린다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약품 사업 중심인 대웅제약이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확장에 드라이브를 건다. 신제품 출시와 기존 제품 고도화를 병행하면서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활동도 추진하는 등 사업 다각화를 넘어 본격적인 시장 선도까지 노리고 있다. 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확장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회사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진출에 본격적인 의지를 드러낸 건 지난해부터다. 이창재 대표는 지난해 시무식에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서의 정체성을 내재화시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히며 5대 경

대웅제약, 2Q 고성장…'나보타' 수출 견인·수익성 14%대 회복

대웅제약, 2Q 고성장…'나보타' 수출 견인·수익성 14%대 회복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대웅제약이 올해 2분기에도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를 앞세워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 특히 북미와 중동 수출 확대가 실적을 견인했으며, 고마진 품목 비중 확대에 힘입어 수익성도 14%대로 회복했다. 다만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는 약가 인하 여파로 역성장을 기록, 하반기 마케팅 전략이 매출 반등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40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79억원으로 36.7% 증가하며

대웅제약·씨어스테크놀로지, ESG 모델 '모비케어 리프레시' 출시

대웅제약·씨어스테크놀로지, ESG 모델 '모비케어 리프레시' 출시

대웅제약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ESG를 실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씨어스테크놀로지(대표 이영신)와 함께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모비케어(mobiCARE)의 재사용 리프레시 제품인 '모비케어 리프레시(mobiCARE REFRESH)'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모비케어는 웨어러블 연속 심전도 기기로, 19g라는 초경량 무게의 무선 제품으로 일상생활 중에도 장기간의 심전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일반 심전도 검사 대비 최대 9일까지 측정이 가능해, 단시간 검

대웅제약,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 사업 본격화

대웅제약,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 사업 본격화

대웅제약이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이어간다고 3일 밝혔다. 3일 이 회사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발표하고,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thynC™)'가 국산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최초로 '원격심박기술에 의한 감시(EX871)' 보험수가를 획득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은 "아프면 병원가서 검사받고 치료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이제는 평소 축적한 건강 데이터로 질환을 사전에 예측하고 관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대웅제약은 이러한 변화에

이런 기사
어때요?

실시간
빠른뉴스

당신이
읽은분야
주요기사

독자의견

작성자 비밀번호

0/200

메디파나 클릭 기사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

포토